근대 건축의 형성 및 전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대 건축의 형성 및 전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양건축의 유입
개화에 따른 건축적 대응
식민통치시설의 확산
민족자본과 기독교 세력의 서양식 건축
식민지 도시와 도신건축
주택의 여러모습
서구식 주택양식의 소개(1940년대-1960년대)
집합주거의 개막과 거실 중심적 구조의 정착 및 농촌의 변화(1970년대)
대규모단지 개발과 다가구, 다세대 주택의 등장(1980년대)
수요자 중심의 주거공간, 사이버와 초고층 아파트(1990년대이후)

본문내용

대)
한편 도시는 아파트의 시대라 불릴만큼 집합주거의 보급이 확대되었다. 60년대 중반 공업화, 도시화, 핵가족화에 가속도가 붙으면서 주택공급확대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62년 국내 첫 아파트 단지인 마포 아파트가 등장하며, 69년 건립된 한강 아파트는 중앙 공급식 난방시설이라는 건축기술적 발달을 대변하는 설비를 갖춰 중산층이 아파트를 선호하는 계기가 되었다. 70년대 중반 민간업체들의 아파트 건설붐이 일고 대규모 단지 개발 방식이 확산되면서 도시의 주거형태는 단독 및 연립 주택에서 아파트 단지 중심으로 급격히 바뀌어 갔다. 아파트 투기붐이 일어나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였다. 아파트 시대가 정착되면서 안방의 역할이 줄어들고 거실이 주거공간의 중심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안방이 담당했던 종합기능들이 거실, 부엌, 식당 등 전문 공간으로 분리되며 거실중심의 생활양식이 자리를 잡아가게 되었다. 이같은 현상은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에서도 70년대 이후 나타났으며 아파트에 마당 대용으로 다용도실을 설계하거나 부엌 후면에 발코니를 설치하는 방식이 정착되기 시작하였다.
1971년 시작된 이른바 새마을 운동은 우리 농촌을 크게 바꾸었다. 농어촌의 주택 개량은 농어촌의 거주 생활문화를 계승하여 근대적인 생활양식에 적응하고, 전통 문화를 유지하면서, 살기에 편리하고 동시에 농어촌의 모습을 아름답게 가꾸고자 하는 민족적인 대역사라는 명분으로 시작하였다.
지붕개량사업은 농촌주거의 본격적 개량사업과 취락 정비사업을 착수하기 이전에 먼저 새마을운동의 점화사업으로 전개되었다. 농어촌의 초가지붕을 기와나 슬레이트 또는 함석 등으로 바꾸어 얹음으로 해서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남은 볏짚을 이용하여 고공품을 생산하거나 공업원료로 사용하여 농외 소득을 증대할 뿐 아니라 연료나 퇴비로 활용하여 산림자원을 보호하고 시간을 아끼는 다목적 효과를 노렸다. 지붕개량사업은 주거환경이 개선되고, 근대화된 농촌으로 탈바꿈시키는 선도적 역할을 하였다. 지붕개량사업만으로는 농촌주택의 약한 하부구조나 노후불량을 감당하기 힘들어, 전면적으로 개축이나 신축으로 대치하게 하는 농촌표준주택사업은 주택의 보수 또는 농어촌 주택의 건설방향을 유도하는 정책이었다. 이 사업은 지붕 개량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어 농촌주택 환경의 기초적 개선이 어느 정도 이룩된 시점인 1975년 9월에 지침이 내려와 1976년이 시험기간으로 정해지게 되었다. 1단계의 지붕개량사업을 발전시켜 2단계 새마을 운동의 선도사업으로 농어촌 주택개량사업이 시작되어 80년대의 근대화된 이상적 농촌을 보려고 한 것이다.
지붕개량사업은 첫째, 지붕을 잇는 제반경비를 절약, 둘째, 볏짚의 재활용으로 농가소득증대, 셋째, 청소나 위생상태 향상, 넷째, 화재의 위험감소 등이 있었다. 반면 농어촌 주택개량사업은 첫째, 환경적 측면에서 농어촌의 구각을 벗고 산뜻한 문화주택과 편리한 마을환경을 이룩하였다. 둘째, 정신적 측면에서 새로운 환경에 힘입어 스스로 자조의욕이 계발되어 진취적 농촌 기풍이 조성되었다. 셋째, 경제적 측면에서 설계의 표준화에 따른 자재의 개발을 위하여 건축관계산업이 발전했고, 주민의 측면에서 주택은 자산적 가치가 증대되었고, 농어촌 사회의 문화복지기반을 확고히 다지는 성과를 창출하였다.
이에 반해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첫째, 문화주택을 짓는데 드는 비용으로 인해 주민들에게 부담으로 돌아갔고, 둘째, 저렴한 주택개량을 위해 기본 재료의 자체생산이 요구되었고, 셋째, 조상 때부터 내려온 옛집을 허는데 결단과 이해가 필요했고, 또 새로운 대지구입의 부담이 증가하였고, 넷째, 기술의 지원이나 보급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모든 사업을 단기간에 추진함으로 인해 농가부채증가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
대규모단지
개발과 다가구, 다세대 주택의 등장(1980년대)
1970년대 아파트 건설붐은 90년대까지 이어지며 20층 이상의 고층 아파트가 건설되고 단지의 배치도 다양해지게 된다.
도시 차원의 종합계획을 통해 단지 개발이 이뤄져 79년 말 과천 신도시를 시작으로 목동 신시가지와 아시아 선수촌, 올림픽 선수촌 아파트 단지등이 조성되었다. 계획적이고 대규모로 추진된 주거지 조성방식은 90년 들어 일산 분당등 5개 신도시에서 뚜렷히 나타난다. 80년대에는 다가구 다세대 주택의 급증이 뚜렷했다. 다세대의 동거를 꺼리지 않는 전통 정서를 이용해 영세주택업자들이 주로 중저소득층을 대상으로 공급을 확대하였다. 절대 공급이 여전히 부족한 상황에서 물량위주의 주택 공급이 이루어진 까닭에 획일적인 주거 공간을 탈피하지는 못하였다.
수요자
중심의 주거공간, 사이버와 초고층 아파트(1990년대이후)
대구 전시컨벤션 센터 현대건축의 형태적, 구조
적 다양성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아파트
대우 트럼프월드와 대림아크로빌
백운옥 대구 남부에 위치한 집합주택으로 전통과 현대의 조화라는 측면에서 주목받는 건물이다.
건설붐은 90년대까지 이어지며 20층 이상의 고층아파트가 건설되고 단지 배치도 다양해진다. 초고층 주상복합은 최고급 시설과 호텔식서비스를 갖춰 한 건물 안에서 레저 업무 생활을 함께 할수 있는 원스톱리빙(ONE-STOP-LIVING SYSEM) 개념이 적용됐다. 대우 트럼프월드, 대림 아크로빌, 삼성 타워팰리스 등이 그것으로 비싼 값에도 수요자들이 몰려 들어 21세기 주거의 한축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이버는 새천년 주거공간의 새로운 주제 이다. 삶의 모습을 바꿔 놓고 있는 인터넷이 주택에 녹아들기 시작했다. 첨단 정보 통신망을 이용해 모든 생활을 편리하게 할수 있는 사이버 건물이 눈앞의 현실로 다가왔다. 한편 전통생활에 대한 향수를 겨냥해 전원 주택의 공급도 그 활기를 띠고 있다.
참고자료: 우리문화 이웃문화 [신영훈-문학수첩]
한국건축의 역사 [김동욱-기문당]
한국건축사 [윤장섭-동명사]
한국 근대건축사 연구 [윤일주-기문당]
사진자료: 서울문화재(http://www.metro.seoul.kr/kor2000/seoulguide/seoulart/place/historical/cont2.html)
서울대백년사(http://seoul600.visitseoul.net/)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9.11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3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