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학파 별 화폐수요이론의 특징과 내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고전학파의 화폐수요이론
2. 케인즈이론
3. 프리드만의 신화폐수량설
4. 근대적 케인즈의 화폐수요이론

본문내용

에 있어서의 이자율에 대한 기대(즉 증권가격에 대한 기대)가 화폐와 증권의 선택을 결정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이 이론은 기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그 반면에 이 이론에 의하면, 투자자는 보유할 수 있는 두 가지 자산(즉 화폐와 증권) 중의 하나만을 보유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사람들은 예상이자율 여하를 막론하고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화폐와 증권의 두 가지를 나누어 보유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상식적일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케인즈의 이로은 사람들의 실제적인 자산선택행위를 설명하는데에는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다고 하겠다.
② 토빈의 투기적 화폐수요
토빈의 자산선택 이론에 입각한 투기적 화폐수요이론은 사람들이 증권과 같은 수익자산을 선호하면서도 또 다른 한편으로는 자기자산 중 일부를 안전자산인 화폐의 형태로 보유하여 가급적 위험을 회피하고자 하는 자산보유자의 성향에 따른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즉 케인즈에 있어서는 사람들이 화폐를 보유하고자 하는 이유가 증권가격의 변동에 대한 기대 때문인 것으로 본 데 반하여 토빈의 경우는 증권가격의 변동에 대한 기대 여하를 막론하고 사람들은 자산보유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항상 어느 정도는 이자는 붙지 않으나 안전자산인 화폐를 보유한다는 것이다.
위 그림에서 어떤 경제주체가 증권과 화폐의 두 가지 자산 보유수단을 가지고 있다고 하자. 이 그림의 종축은 기대자산수준(w)을 나타내고 횡축은 위험도(표준편차)를 나타낸다. 만일 그 경제주체가 자신의 자산 전부를 화폐의 형태로 보유한다면 그는 w
`_{ 0 }
의 점에 위치할 것이다. 이 점에서는 자산에 대한 기대수익률이 0이지만 위험도 0이 된다. 반면 만일 자산 전부를 증권의 형태로 보유한다면 그는 A점의 위치에 있게 될 것이다. 이때 그의 기대자산 수준은 w
`_{ 0 }
(1+r)이고, 동시에 OB만큼의 위험부담을 안고 있다. 여기서 r은 이자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점 w
`_{ 0 }
와 점 A를 연결하는 직선은 두자산으로 구성되는 포트폴리오의 효율적 접경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림에서 I
`_{ 0 }
, I
`_{ 1 }
, I
`_{ 2 }
는 두 자산에 대한 선호를 나타내는 무차별곡선이다. 이때 균형점은 w
`_{ 0 }
E/w
`_{ 0 }
A의 증권을 선택할 것이다.
만일 이자율이 r
`_{ 0 }
에서 r
`_{ 1 }
으로 상승하면 w
`_{ 0 }
A는 w
`_{ 0 }
A 으로 이동하고 균형점은 E
`_{ 0 }
에서 E
`_{ 1 }
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그림과 같이 화폐수요가 감소하고 증권수요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E
`_{ 1 }
점이 E
`_{ 0 }
점의 좌측 상단에 있게 되는 경우처럼 화폐수요가 증가하고 증권수요가 감소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무차별곡선의 위치가 어떻게 결정되느냐 하는 문제는 이론적 측면보다는 실증적인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으로 총자산의 증가는 투기적 화폐수요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일반적으로 총자산이 증가하면 소득을 증가시키고 이는 다시 저축을 증가시키며 저축의 증가는 화폐수요와 증권수요를 모두 증가시키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자산선택이론으로서의 토빈의 화폐수요함수는 자산규모(w), 기대이자율(r) 및 위험도(
sigma
)의 함수, 즉L=L(w, r,
sigma
)으로 표시된다. 결론적으로 총자산이 증가하면 투기적 화폐수요는 증가할 것이고 이자율의 상승은 투기적 수요를 감소시킬 것이며 위험의 증대는 투기적 화폐수요를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분석에서 알수 있듯이 토빈의 투기적 화폐수요모형은 화폐를 하나의 저축수단으로 보고 있다는 점과, 자산보유자는 자신의 자산을 화폐나 증권의 형태로 다같이 분산 보유한다는 점에서 케인즈모형과 차이가 난다. 그리고 케인즈이론에서처럼 사람들이 주관적인 「정상이자율」에 기준하여 화폐 아니면 증권을 보유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이자율」에 대한 큰 분석 없이 경제주체의 자산보유이로에 입각하여 투기적 화폐수요를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케인즈의 화폐수요이론에 의하면 거래적 수요는 소득의 함수이고 투기적 수요는 이자율의 함수로 이원화되어 있는 데 반하여 케인즈 이후의 케인지안들의 화폐수요이론에 있어서는 거래적 수요도 소득 및 이자율의 함수이고 투기적 수요도 소득 및 이자율의 함수로 되어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9.12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4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