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이론
3. 실험기구
4. 참고서적
2. 이론
3. 실험기구
4. 참고서적
본문내용
6 = 115
.
출력신호전압과 원래의 입력신호전압과의 저항비
V_c /V_s
를 전압이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들은 혼동해서 쓰이는 일이 많다. 확실히 구별하기 위해서 이쪽을 종합전압이득이라고 불러
A_vs(=V_c / V_s )
로 표시하겠다.
A_vs
는 별로 크지 않다.
전력이득
위의 그림의 회로를 전력증폭이란 관점에서 평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출력신호전력
P_l
과 입력신호 전력
P_e (=V_e I_e )
와의 비율을 전력이득(power gain)이라고 한다. 즉
A_p == P_l over P_e
또 하나의 파라미터는 출력신호전력과 "입력신호원 v_s가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전력"과의 비율이며 이것을 변환이득(transducer gain)이라고 한다. 최대전력 공통정리에 의하면 내부저항
R_e
를 가진 신호원
V_s
(실효값)가 부하에게 공급할 수 있는 최대의 전력은
V_s^2 / 4R_e
이다. 따라서 변환이득은 다음식으로 주어진다.
A_pt = P_l over {V_s^2 /4R_e }
3. 실험기구
직류전원장치, EVM, 트랜지스터(KSC900), 저항
4. 참고서적
전자공학의 기초(이영근 저) 274-281page
.
출력신호전압과 원래의 입력신호전압과의 저항비
V_c /V_s
를 전압이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들은 혼동해서 쓰이는 일이 많다. 확실히 구별하기 위해서 이쪽을 종합전압이득이라고 불러
A_vs(=V_c / V_s )
로 표시하겠다.
A_vs
는 별로 크지 않다.
전력이득
위의 그림의 회로를 전력증폭이란 관점에서 평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출력신호전력
P_l
과 입력신호 전력
P_e (=V_e I_e )
와의 비율을 전력이득(power gain)이라고 한다. 즉
A_p == P_l over P_e
또 하나의 파라미터는 출력신호전력과 "입력신호원 v_s가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전력"과의 비율이며 이것을 변환이득(transducer gain)이라고 한다. 최대전력 공통정리에 의하면 내부저항
R_e
를 가진 신호원
V_s
(실효값)가 부하에게 공급할 수 있는 최대의 전력은
V_s^2 / 4R_e
이다. 따라서 변환이득은 다음식으로 주어진다.
A_pt = P_l over {V_s^2 /4R_e }
3. 실험기구
직류전원장치, EVM, 트랜지스터(KSC900), 저항
4. 참고서적
전자공학의 기초(이영근 저) 274-281page
추천자료
BJT 트랜지스터 모델링
555 타이머
중량 측정 계기
공통 베이스,컬렉터,이미터 증폭기(CB,CC,CE)
SPI 직렬 통신모드
과제-어머니 진단후 운동프로그램 작성 (노인건강과운동)
히브리적 사유와 헬라적 사유의 비교 정리
Digital 회로 Simulation Tool Tutorial - multisim
BJT와 저항을 이용하여 Inverter 및 Nor-gate 를 설계
(예비,결과) 실험4 접합 다이오드의 특성
SPI 직렬 통신 프로그램 [마컴 예비레포트]
CMOS Inverter, Tri-state
전자회로실험 교안
오디오 증폭기 설계(전자회로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