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환경공약을 평가한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울시 환경공약을 평가한다

서울시 환경공약을 보는 시각

서울시 환경공약 평가

환경공약 실천을 위한 제언

본문내용

서는 안된다. 차제에 현재의 서울시 환경 문제 중 중요하고 시민에게 불편을 주는 사항이면서도 공약으로 제시되지 못한 것은 없는 지 살펴 보아야 한다. 공약에서 누락된 것 중에는 악취방지 대책, 소음규제 대책, 어린이를 중심한 시민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공무원의 환경의식 강화를 위한 연수프로그램 개발, 생물다양성 보호 및 지구온난화 방지 둥 지구환경보호를 위한 서울시 차원의 대책 등이 있다.
환경공약의 실천가능성 여부를 두고 비판의 소리를 높이기 보다는 환경문제가 곧 나 자신의 문제이니 스스로 해결하겠다는 시민참여의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물과 공기와 흙이 더럽혀진 회색서울이 되고나면 경제, 교육, 도시계획, 문화, 여성등의 분야에서 아무리 많은 공약들이 성공적으로 실현된다고 하더라도 제 빛을 내지 못하게 된다. 녹색서울이 되어야 여러 분야의 공약들이 제 빛을 발할 것이다.
1) 허범,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개발(2)-정책의제의 편성과 정책공약의 관리," <자치행정> 1995.7월, pp.43-50.
2) 조선일보, "서울포청천 시정구상 (5)환경-공약대로만 되면 <푸른도시>" 1995.7.15 참조
3) 조순 서울시장 만들기 운동본부, <서울살리기 조순의 약속>, 정책 및 공약발표회, 1995.6.13 pp.127-141. 이와 함께 정용택, "지방선거 승리를 위한 민주당의 환경정책," <환경과 생명> 1995년 여름호, pp.128-135. 및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우리 서울 이렇게 바꾸자: 지방자치시 대의 서울시정 개혁 청사진-제5장 환경> 참조.
4) 허범, 전게서, pp.49-50. 참조.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9.12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6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