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 ITP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 IT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간호정보조사지

2. 진단명 학습

3. 진단검사

4. 대상자의 약물

5. 간호과정

6. 대상자교육평가

8. 참고자료

본문내용

때문에 혈소판 헌혈을 반복할 수 있다. 혈소판 수혈은 일종의 성분수혈이기 때문에 수혈 받는 환자 역시 수혈 혈액에 의해 감염될 수도 있지만 일반 헌혈에 비해서는 그 정도가 매우 낮다.
11) 혈소판이 낮을 경우 조심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
혈소판 수치가 낮을 경우 상처가 나지 않게 주의하시고 만일 상처가 나면 10분 이상 출혈 부위를 누른다. 멈추지 않으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구강출혈을 예방하기 위해서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고 이쑤시개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의치는 잇몸에 자극을 주므로 잘 맞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혈소판 감소 시에는 혈변이 생길 수 있는데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변비를 치료해야 한다. 배변 시 힘을 많이 주게 되면 직장과 항문의 모세혈관들이 터지게 되고 치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뇌압이 증가하게 되어 뇌출혈 같은 심각한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변비약을 잘 사용하고 배변습관을 규칙적으로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고혈압이 있는 분은 반드시 주치의와 상의하여 적절한 고혈압 치료제를 처방 받아 혈압을 안정시켜야 한다. 혈소판 기능을 저하시키는 약제 특히 아스피린을 포함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의 사용은 특히 혈소판 감소증 상태에서 출혈성 위험을 높이므로 피해야 하고 투약에 대한 결정은 주치의가 하도록 해야 한다.
4) 혈관이상에 의한 출혈성 질환
⑴ 알레르기성 자반 ( allergic purpura, anaphylactoid purpura)
1) 진단요법
① 사지에 나타나는 자발성 발진
② 담마진 (urticaria)
③ 다발성 관절통 및 관절염
④ 위장관의 동통 및 출혈
⑤ 혈뇨
2) 임상적 소견 : Rheumatic 열 때와 비슷하게 유주성 다발관절염 (migratory polyarthritis) 을 호소하면서 피부, 특히 하지부근에 출혈성 반점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의 경우 복통이나 장출혈이 동반된다. 약 50%에서 신장염이 합병되는데, 그 정도는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가장 특징적인 소견은 피부병변으로서 처음에는 직경이 몇 mm 정도 크기의 선홍색을 띠고 피부표면으로부터 두드러진 발진을 보이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개가 합치면서 큰 자반 (palpable purpura) 을 형성하게 된다. 생기는 호발부위는 발목, 넓적다리(하지), 그리고 팔꿈치 등이다.
3) 감별진단 : ITP 와 감별해야 하므로 혈소판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전신적 세균감염, 특히 수막구균균혈증인 경우도 비슷한 피부병변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혈액내 세균배양을 시행해야 한다. DIC 에 의한 출혈반과도 감별해야 한다.
4) 합병증 : 가장 중요한 합병증은 신장염으로서 약 50% 정도에서 합병이 된다. 그 중 약 10%에서는 신부전증까지 야기 시킬 수 있다.
5) 치료 : 특수한 치료법은 없다. 관절통, 복통이 경할 경우에는 aspirin 또는 acetaminophen으로 경감이 된다. 효과가 없는 경우 corticosteroid 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심한 복통과 함께 장출혈이 계속될 때는 사용하는 것이 좋다.
5) 응혈인자 장애로 인한 출혈성 질환
⑴ 개념 : 응혈인자의 장애는 일종의 단백 이상증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이것은 1차성인 선천성 결핍증과 2차적으로 인한 후천적 결핍증으로 대별할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선천성 응혈인자 결핍증은 열가지인데 그 중 Ⅷ 및 Ⅸ 인자의 발생빈도가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혈우병이라 하면 Ⅷ 및 Ⅸ 인자 결핍을 연상하는 것이 보통이다.
⑵ 치료 : 신선한 혈장을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신선한 혈장을 구할 수 없을 때 혈액은행에 보관되었던 혈장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혈장으로 응고에 필요한 만큼의 활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량의 혈장이 요구되며, 이것은 순환기에 부담을 가져올 위험이 있기 때문에 소량으로도 활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제 Ⅷ 응고인자를 농축한 혈액제제가 개발되어 유효하게 사용되고 있다.
6) CYCLOSPORINE 요법
이탈리아의 연구자들은 장기간 저용량의 CYCLOSPORINE요법이 표준치료법에는 저항성을 나타낸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ITP)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했다. 이 연구에서 혈소판 수치가 30×109/L 이하인 12명의 환자는 경구용 cyclosporine 5 mg/kg/day를 6일 동안 투여 받았고, 혈청 cyclosporine 농도를 200-400 ng/mL로 유지하기 위해 2.5-3 mg/kg/day의 유지용량을 투여 받았다. 치료에 반응을 보인 환자의 경우, 약물을 10-12개월마다 2주 동안씩 투여중지하고 관해 상태가 유지되는지를 평가받았다. Cyclosporine은 평균(median) 40개월 동안 투여하였다. 36.8개월의 평균 추적조사 기간 후 5명의 환자는 완벽한 반응을 보였고(cyclosporine 투여 중지 후 3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정상 범위의 혈소판 수치를 나타냄), 1명은 부분적 반응을 보였으며(cyclosporine 투여 중지 후 3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80×109 - 120×109/L의 혈소판 수치를 나타냄), 4명은 유지요법에 완벽한 반응(지속적으로 cyclosporine을 투여하는 동안 정상적인 혈소판 수치를 나타냄)을 보였다. 9명의 환자는 추적조사 기간 동안 장기간 관해 상태를 유지했다. 부작용은 심각도 면에서 중등도로 일시적이었다. 연구자들은 cyclosporine 치료요법이 표준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와 같은 심각한 임상적 상황에서 ITP에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으며, 돌연변이 발생이나 골수독성을 피하기 위해 면역억제 화학요법 전의 투여를 고려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Blood 99:1482-1485, 15 Feb 2002
7) steroid나 immune suppression therapy에 의해 response하지 않을 때 splenectomy 하는 이론적 근거
(1) antiplatelet antibody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2) platelet 파괴 장소 제거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4.09.13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9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