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고예방
2. 응급처치
1. 응급처치의 일반원칙
2. 심폐소생술
3. 출혈(혈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
4. 쇼크
5. 질식
6. 화상
7. 중독
8. 골절
9. 염좌
10. 열손상
2. 응급처치
1. 응급처치의 일반원칙
2. 심폐소생술
3. 출혈(혈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
4. 쇼크
5. 질식
6. 화상
7. 중독
8. 골절
9. 염좌
10. 열손상
본문내용
로 옮긴다.
② 목, 가슴, 허리부분의 조이는 것은 다 느슨하게 풀어놓는다.
③ 오한을 방지하기 위해 따뜻하고 가벼운 것으로 덮어준다.
④ 주위를 조용하게 해준다.
⑤ 호흡이 멈추거나 불규칙해지면 즉시 인공호흡을 하면서 병원으로 옮긴다.
8. 골절
⑴ 종류
① 단순골절 - 뼈 자체에만 골절이 있고 다른 기관에는 이상이 없는 것
② 복합골절 - 골절된 부위가 피부나 점막을 뚫고 손상을 주는 것으로 이 경우에 잘 치료하지
않으면 균이 침입되어 골수염으로 진전될 수있다.
③ 완전골절 - 뼈가 완전히 횡으로 부러진 상태
④ 불완전골절 - 뼈의 일부가 연결된 부위로 있는 상태
⑤ 분쇄골절 - 뼈가 3조각 이상인 경우
⑥ 돈입 골절 - 한쪽 골편이 다른 쪽에 가서 박힌 상태로 장골의 경우 길이가 짧아진다.
⑵ 원인
: 외상, 노화성, 내분비계의 이상 등
⑶ 증상 및 징후
: 동통, 감각과민, 부종, 타박상, 기능상실, 관절가동범위의 이상, 비정상적인 움직임, 기형, 출혈, 쇼크, 뼈와 뼈가 부딪히는 마찰음 발생
⑷ 응급처치
① 골절부위를 움직이지 말고 가능하면 똑바로 눕힌다.
② 가장 깨끗한 것으로 덮어서 골절 부위를 덮어 감염을 방지한다.
③ 머리에서 발끝까지 관찰하여 호흡, 출혈 여부를 관찰한다.
④ 출혈이 있으면 직접압박법이나 지압법을 이용하여 지혈한다.
⑤ 골절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부목을 대어 고정시킨다.
⑥ 몸을 따뜻하게 하고 쇼크처치를 한다.
⑦ 진통제를 요구할 때 진단 확인까지 주지 않는다.
⑧ 골절이 크면 병원이나 119에 연락하여 즉시 병원으로 이송한다.
9. 염좌
⑴ 정의
: 비틀리거나 걷다가 삐어서 관절을 묶는 인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 생김.
⑵ 증상
: 혈액이 빨리 유출되어 금방 부종이 온다.
⑶ 응급처치
① 부종시 다리를 올린 상태에서 휴식하며 상처입은 쪽에 무게를 주지 않는다.
② 탄력 붕대를 사용한다.
③ 36시간 정도 경과해야 부종이 가라앉으며 부종이 사라지면 뜨겁지 않게 온찜한다.
10. 열손상
열생산량보다 열소실량이 적어져 체온이 크게 상승하거나 땀이 많이 나서 신체에 수분 및 전해질이 부족해지거나, 피부 가까이 혈관의 확장으로 말초혈관 순환량이 많아지고 내부장기의 혈류량이 감소되어 쇼크가 일어나는 것이다.
응급처치는 대상자를 서늘한 그늘로 옮기고 옷을 벗긴 뒤 체온을 낮춘다.
소금물을 주어 수분과 염분을 보충한다.
⑴ 열성경련
: 심하게 땀을 흘린 후 염분 부족으로 발생.
증상 - 복부경련, 사지의 가벼운 저린 감각, 메스꺼움, 빈맥, 창백, 축축한 피부
⑵ 열성허탈
: 수분과 염분 소실 및 말초혈액 저류로 인해 발생
증상 - 갑작스런 의식상실, 허탈, 두통, 피로, 현기증, 메스꺼움, 복부경련, 심한 발한, 창백, 저 체온, 빈맥, 빈호흡
⑶ 열사병
: 뜨거운 태양아래나 높은 온도에서 오래 있을 때 땀이 제대로 나지 않아 체온이 급격히 41 이 상으로 상승하는 것.
증상 - 뜨겁고 붉게 상기된 피부, 강한 맥박, 두통, 현기증, 갈증, 혼수상태, 경련
② 목, 가슴, 허리부분의 조이는 것은 다 느슨하게 풀어놓는다.
③ 오한을 방지하기 위해 따뜻하고 가벼운 것으로 덮어준다.
④ 주위를 조용하게 해준다.
⑤ 호흡이 멈추거나 불규칙해지면 즉시 인공호흡을 하면서 병원으로 옮긴다.
8. 골절
⑴ 종류
① 단순골절 - 뼈 자체에만 골절이 있고 다른 기관에는 이상이 없는 것
② 복합골절 - 골절된 부위가 피부나 점막을 뚫고 손상을 주는 것으로 이 경우에 잘 치료하지
않으면 균이 침입되어 골수염으로 진전될 수있다.
③ 완전골절 - 뼈가 완전히 횡으로 부러진 상태
④ 불완전골절 - 뼈의 일부가 연결된 부위로 있는 상태
⑤ 분쇄골절 - 뼈가 3조각 이상인 경우
⑥ 돈입 골절 - 한쪽 골편이 다른 쪽에 가서 박힌 상태로 장골의 경우 길이가 짧아진다.
⑵ 원인
: 외상, 노화성, 내분비계의 이상 등
⑶ 증상 및 징후
: 동통, 감각과민, 부종, 타박상, 기능상실, 관절가동범위의 이상, 비정상적인 움직임, 기형, 출혈, 쇼크, 뼈와 뼈가 부딪히는 마찰음 발생
⑷ 응급처치
① 골절부위를 움직이지 말고 가능하면 똑바로 눕힌다.
② 가장 깨끗한 것으로 덮어서 골절 부위를 덮어 감염을 방지한다.
③ 머리에서 발끝까지 관찰하여 호흡, 출혈 여부를 관찰한다.
④ 출혈이 있으면 직접압박법이나 지압법을 이용하여 지혈한다.
⑤ 골절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부목을 대어 고정시킨다.
⑥ 몸을 따뜻하게 하고 쇼크처치를 한다.
⑦ 진통제를 요구할 때 진단 확인까지 주지 않는다.
⑧ 골절이 크면 병원이나 119에 연락하여 즉시 병원으로 이송한다.
9. 염좌
⑴ 정의
: 비틀리거나 걷다가 삐어서 관절을 묶는 인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 생김.
⑵ 증상
: 혈액이 빨리 유출되어 금방 부종이 온다.
⑶ 응급처치
① 부종시 다리를 올린 상태에서 휴식하며 상처입은 쪽에 무게를 주지 않는다.
② 탄력 붕대를 사용한다.
③ 36시간 정도 경과해야 부종이 가라앉으며 부종이 사라지면 뜨겁지 않게 온찜한다.
10. 열손상
열생산량보다 열소실량이 적어져 체온이 크게 상승하거나 땀이 많이 나서 신체에 수분 및 전해질이 부족해지거나, 피부 가까이 혈관의 확장으로 말초혈관 순환량이 많아지고 내부장기의 혈류량이 감소되어 쇼크가 일어나는 것이다.
응급처치는 대상자를 서늘한 그늘로 옮기고 옷을 벗긴 뒤 체온을 낮춘다.
소금물을 주어 수분과 염분을 보충한다.
⑴ 열성경련
: 심하게 땀을 흘린 후 염분 부족으로 발생.
증상 - 복부경련, 사지의 가벼운 저린 감각, 메스꺼움, 빈맥, 창백, 축축한 피부
⑵ 열성허탈
: 수분과 염분 소실 및 말초혈액 저류로 인해 발생
증상 - 갑작스런 의식상실, 허탈, 두통, 피로, 현기증, 메스꺼움, 복부경련, 심한 발한, 창백, 저 체온, 빈맥, 빈호흡
⑶ 열사병
: 뜨거운 태양아래나 높은 온도에서 오래 있을 때 땀이 제대로 나지 않아 체온이 급격히 41 이 상으로 상승하는 것.
증상 - 뜨겁고 붉게 상기된 피부, 강한 맥박, 두통, 현기증, 갈증, 혼수상태, 경련
추천자료
투약사고와 간호사의 역할
[보건교육]노인의 가정 내 안전사고 예방교육
간호과실(낙상, 투약사고)
[어린이(아동, 영유아)를 대상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교통안전, 소방안전, 재난안전, 약물안...
영유아기에 가정에서 발생하는 아동의 안전사고와 예방대책
[보건교육A] 중년(노년)의 안전사고 예방교육 - 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을 적용 : 사회...
[보건교육E]초중고등학생 안전사고 예방교육 - 그린의 PRECEDE-PROCEED모형을 적용 - 사회적 ...
(보건교육D형)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을 적용한 노인의 안전사고 예방교육
보건교육 - 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을 적용한 노인의 안전사고 예방교육
간호실무에 있어서 왜 비판적 사고가 요구되는가?
성인간호학 비판적사고 - 8장 순환기계, 9장 혈액계 (비판적 사고를 위한 사례)
암환자간호(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암환자응급상황)
아동건강교육_어린이 통학 차량 사고 예방과 안전을 위하여 운전자와 교사의 안전교육 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