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중범죄의 심리와 병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 론
2.개 념

(1)군중심리의 특이성
(2)군중과 지도자
(3)혁명의 병리적(病理的) 측면
4.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 남아 있음을 고한다. 이래서 대개 지금까지 정상적이고 무구했던 사람들의 15 6명이 어느집에 침입하여 금품을 강탈하고 불행하게도 그 곳에 있던 사람들을 모두 살해한 것이다. 범죄 후 그들은 다시 집에 돌아와서 아무일도 없었던 것 같이 다시 밭[41] 에서 일을 시작하는 것이다. 이들의 집단은 전혀 특별한 심리를 갖고 있다. 그들에게는 하등 범죄자에게 특유한 성질이 인정되지 않는다. 그들은 합법적으로 사람에게 속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과의 구별을 모른다. 이러한 범죄는 「로서아」인구의 거의 85%를 점하고 있는 농민의 문화 수준을 고려에 넣지 않고서는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몇세기에 긍하여 농민의 전생활을 압박하고 있던 사회적으로 좋지 않은 환경이 농민경제의 원시성(原始性), 나아가서는 농민정신의 원시성을 일으켰다.
_ 이와 같이 군중범죄는 군중암시(群衆暗示)에 쏠려서 본래의 범죄자 전에 원래 선량한 자들도 이성을 잃고 범행에 가담하게도 되는 것이나 언제나 주택과 직업이 없는 평소의 범죄자, 부랑자, 무정부상태에서 범죄적인 본능을 소생시킬 수 있는 잠재범죄자 야심적인 모험가 등 광신적인 정신병자 등에 의하여 행하여진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9.15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7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