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의 자동차 산업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과 일본의 자동차 산업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기업간 연계와 혁신

Ⅲ. 일본 자동차산업의 혁신네트워크

Ⅳ. 한국 자동차산업의 혁신네트워크

Ⅴ. 맺음말

본문내용

네트워크 조직은 일본과 한국의 자동차산업에서 공통으로 발견된다. 일본과 한국 자동차산업에서 지식전달과 공동의 문제해결을 추구하는 조직형태가 등장하는 배경을 보면, 일본에서는 1950년대의 군납과 1960년대 무역자유화의 추진, 한국은 1980년대 수출전략형 승용차 개발 등 두 나라 모두 국제경쟁에서 제기된 품질문제에서 찾을 수 있다. 강한 연계를 바탕으로 하는 긴밀한 지식전달 메카니즘이 구축되기 이전에는 미국의 거리두기(arm's length) 관계와 비슷한 약한 연계의 조직형태가 존재하였다는 것도 공통된 현상이다.
한편 해외기술의 학습과정을 조기에 종료하고 점진적 기술혁신에 주력했던 일본의 거래네트워크가 해외기술의 학습에 주력해온 한국보다 네트워크의 폐쇄성이 강하지 않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핵심기술이 네트워크의 내부와 외부중 어디에서 창출되는가 하는 점에서 일본과 한국이 다르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일본 자동차산업의 혁신네트워크는 강한 연계와 긴밀한 네트워크 구조라는 점에서 한국과 동일하지만 네트워크가 내부지향적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도요타의 네트워크는 도요타의 생산 노하우뿐 아니라 부품업체에 존재하는 기존의 다양한 지식을 전달하고 확산하기 위한 것이다. 고도로 연관된 강한 연계의 네트워크는 암묵적 기술의 확산에 효과적이다. 서로 중복되는 연계(redundant ties)는 잠재적으로 가치있는 지식의 소재를 쉽게 파악하도록 하고 암묵적 지식의 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고도로 연관된 강한 연계, 생산기술은 개별기업이 아니라 네트워크가 소유한다는 도요타의 관행은 네트워크내의 구성원간 협력과 지식전달을 촉진하고 있다. 하지만 내부지향적인 도요타의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외부에서 발생하는 기술정보 흡수가 용이하지 않다. 그로 인해 급속한 기술변화에 대응하는 근본적 혁신(radical innovation)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점이 잠재적인 한계이다.
Afuah(2000)는 워크스테이션 제조업 분야의 사례를 통해 기술변화로 인해 협력파트너의 역량이 쓸모없는 것으로 될 때, 과거 경쟁력의 원천이 되었던 협력적 관계가 오히려 장애가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한국 자동차산업의 혁신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외부 지향적이다. 그러므로 외부로부터 입수되는 기술정보와 노하우를 네트워크내부로 전달하는데 효과적이고 기술학습에 적합하다. 완성차업체를 통한 경로와 부품업체를 통한 이중의 기술도입 학습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어서 도입기술의 학습과 전파에 강점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네트워크 내부에서의 자체 기술개량이나 개선에는 커다란 취약성을 보이고 있다. 도요타의 자발적 학습팀에 대응하는 부품업체간의 소규모 학습조직과 활동이 부진하다. 부품업체에서 창출되는 암묵적 지식이 전달되는 메카니즘도 취약하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내 점진적 혁신능력의 취약성은 전자화와 모듈화 등 자동차산업의 기술변화가 급속하게 진전되고 있는 상황에서 해외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높임으로써 한국자동차산업의 기술능력 발전을 제약하는 장애요인이 될지도 모른다. Y

키워드

자동차,   도요타,   일본,   한일,   한국,   기아,   현대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9.16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72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