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서울은행 소개
연혁 및 실적
Ⅱ. 본론
1. 서울은행의 경영실패 요인.
1) 조직의 문제
(1) 신탁은행 흡수합병.
(2) 그 밖의 조직적인 문제
2) IMF 여파
3) 정부의 대응
4) 매각 협상과정의 지연
Ⅲ. 결론.
<참고자료>
1. 서울은행 소개
연혁 및 실적
Ⅱ. 본론
1. 서울은행의 경영실패 요인.
1) 조직의 문제
(1) 신탁은행 흡수합병.
(2) 그 밖의 조직적인 문제
2) IMF 여파
3) 정부의 대응
4) 매각 협상과정의 지연
Ⅲ.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갈등을 겪기도 했다 .
다른 시중은행들은 거액여신이 나간 몇몇 대기업이 갑자기 부실해지면서 위기를 맞았지만, 서울은행은 구조적인 취약점 때문에 위기를 자초했다는 시각이 많다 . 밑에서 일하는 직원보다 지시하는 간부가 더 많은 기형적 인적구성, 결집하지 못하는 조직, 그로 인한 생산성 저하… . 특히 90년대 들어 적자가 대폭 늘어나고 부채가 자산보다 많아지며 국민에게 약 6조원이라는 매각비용을 안긴 채 주인이 외국인으로 바뀌고 말았다 .
문제는 구조조정 결과 탄생한 한빛-국민-조흥은행 등도 서울은행과 비슷한 문제를 가질 소지가 있다는 점이다 . 벌써부터 은행 문화 차이에서 오는 직원간 갈등, 경영권을 둘러싼 경쟁 등이 나타나고 있다 . 은행은 이미 합병됐지만 노조는 그대로 둘로 나뉘어 다툼을 벌이는 기형적인 현상도 보인다 .
서울은행은 화학적인 통합 없는 물리적 합병이 「재앙」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값비싼 「반면교사」(반면교사)다 . < 박종세경제과학부기자
문책경고 퇴직임원에 적용…'솜방망이 징계' 한국일보
막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된 제일.서울은행에 대한부실책임을 물어 신억현(辛億鉉) 서울은행장 대행과 류시열(柳時烈) 전 제일은행장을 포함한 두 은행 전.현직 임직원 176명이 무더기로 제재를 받았다.
그러나 두 은행에 막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된 반면 연임이 제한되는 문책경고는 모두 퇴직임원에만 적용되는 등 제재수위가 낮아 솜방망이징계라는 지적이 일고있다.
금융감독원은 28일 제일.서울은행에 대한 부문검사(99.10~11월) 결과 지난 97년부터 2년간 부실업체에 대한 여신취급 등으로 제일은행은 총 8천135억원, 서울은행은 총 7천822억원의 부실채권이 각각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이에따라 제일은행의 경우 이철수(李喆洙).신광식(申光湜) 전행장과김유홍(金裕洪) 전상무에 대해서는 문책경고를, 류시열.박기진(朴基鎭) 전행장과 정광우(鄭光宇) 전상무 등 전직 임원 18명에 대해서는 주의적경고를 내리는 한편 직원65명에 대해서는 문책요구조치했다.
서울은행은 손홍균(孫洪鈞).장만화(張滿花).김준협(金俊協) 전행장에 대해 문책경고를, 신억현 현 행장대행과 신복영(申復泳) 전행장을 비롯한 임원 24명에게는 주의적경고 조치를 각각 내리고 역시 63명의 직원은 문책조치했다.
검사결과 제일은행은 지난 97년3월부터 99년 9월말까지 총 1천339개업체, 3조9천80억원의 부도가 발생했으며 재무구조가 부실한 업체에 대한 부당여신취급과 한도초과 여신집행, 대출금 연체업체에 대한 신규여신취급, 외화유가증권 부당매입 등으로 총 8천135억원의 부실채권이 발생했다.
서울은행도 역시 부실업체에 대한 여신취급과 한도초과, 외화여신 부당취급, 기업어음(CP) 부당매입 등으로 총 7천822억원의 부실채권이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두 은행은 이같은 부실심화로 자산관리공사(옛 성업공사)의 부실자산 매입을 제외하고도 제일은행 5조7천86억원, 서울은행 4조8천201억원의 막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됐다.
그러나 이에비해 연임이 제한되는 문책경고는 모두 퇴임한 임원에 국한되는 등제재의 수위가 낮아 실효성이 없다는 비난이 제기되고 있다. 엄청난 규모의 공적자금이 투입된 만큼 적극적인 손해배상이나 구상권 행사 등을 통해 이에대한 책임을엄중히 물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대해 금감원 강기원(姜起垣) 은행검사1국장은 류시열, 신복영 두 행장의경우 부실여신중 상당부분이 취임이전에 취급된 것이나 사후관리에 최선을 다했다고보기는 어렵다는 판단하에 주의적경고 조치했다고 말했다.
금감위, 소액주주 주식 완전 소각 한국일보
금융감독위원회는 3일 서울은행을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 감자명령을 내리는 한편 예금보험공사에 대해 공적자금 투입을 요청했다.
금감위는 이날 임시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서울은행 경영정상화조치를 의결했다.
남상덕(南相德) 금감위 제2심의관은 공적자금 지원규모는 한빛.조흥 및 제일은행의 예에 따라 부실채권을 매입하고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10%로 개선하는데 필요한 수준으로 부실채권 매입분 1조1천억원을 포함해 약 4조5천억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실무절차에 2주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해 공적자금 투입시기는 오는 20일경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은행은 지난 6월말 현재 총자산 27조원, 부채 27조3천억원으로 자기자본이3천억원 잠식된 상태이며 BIS비율은 마이너스 10.0%다.
남 심의관은 앞으로 해외매각이나 자산건전성 분류기준 강화에 따라 추가지원이필요할 경우에는 공적자금 투입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서울은행의 경영진을 조속한 시일내에 국제적으로 공개선정해 경영을맡김으로써 국제수준의 금융기관으로 육성할 계획이라며 모건스탠리사가 구체적인일정 등 공모계획을 수립중이라고 남 심의관은 밝혔다.
감자와 관련, 소액주주 주식은 완전소각하되 주식매수청구권을 부여해 사실상유상소각의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는 한편 정부소유 주식은 공적자금 투입으로 은행의 순자산가치가 납입자본금 수준까지 보전되는 점을 감안해 절차 간소화 차원에서병합하되 소액주주의 주식매수청구가격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로 했다고 남 심의관은 말했다.
감자비율과 매수청구가 등은 내주초 소집될 서울은행 이사회에서 결정될 것이라며 제일은행의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 결정될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현재 서울은행 주식은 재경부가 46.7%, 예금보험공사가 46.7%의 지분을 각각 보유하고 있어 정부지분이 93.4%에 달하고 나머지 6.6%만을 일반주주가 갖고 있다.
금감위는 서울은행이 거래기업의 부실로 정상경영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지난 98년 1월 증자 8천억원, 부실채권 매입 1조9천억원 등 2조6천억원의 공적자금을 긴급지원했으나 그후 금융.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자산건전성 분류기준 강화, 한계기업부도, 부실채권 정리 등으로 과거 부실요인이 현재화됨에 따라 재무상태가 크게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서울은행은 자기자본과 연동돼 결정되는 대출 및 유가증권 투자 등제반 한도가 소진돼 외부로부터의 자금지원 없이는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불가능 한상태라고 금감위는 밝혔다.
다른 시중은행들은 거액여신이 나간 몇몇 대기업이 갑자기 부실해지면서 위기를 맞았지만, 서울은행은 구조적인 취약점 때문에 위기를 자초했다는 시각이 많다 . 밑에서 일하는 직원보다 지시하는 간부가 더 많은 기형적 인적구성, 결집하지 못하는 조직, 그로 인한 생산성 저하… . 특히 90년대 들어 적자가 대폭 늘어나고 부채가 자산보다 많아지며 국민에게 약 6조원이라는 매각비용을 안긴 채 주인이 외국인으로 바뀌고 말았다 .
문제는 구조조정 결과 탄생한 한빛-국민-조흥은행 등도 서울은행과 비슷한 문제를 가질 소지가 있다는 점이다 . 벌써부터 은행 문화 차이에서 오는 직원간 갈등, 경영권을 둘러싼 경쟁 등이 나타나고 있다 . 은행은 이미 합병됐지만 노조는 그대로 둘로 나뉘어 다툼을 벌이는 기형적인 현상도 보인다 .
서울은행은 화학적인 통합 없는 물리적 합병이 「재앙」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값비싼 「반면교사」(반면교사)다 . < 박종세경제과학부기자
문책경고 퇴직임원에 적용…'솜방망이 징계' 한국일보
막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된 제일.서울은행에 대한부실책임을 물어 신억현(辛億鉉) 서울은행장 대행과 류시열(柳時烈) 전 제일은행장을 포함한 두 은행 전.현직 임직원 176명이 무더기로 제재를 받았다.
그러나 두 은행에 막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된 반면 연임이 제한되는 문책경고는 모두 퇴직임원에만 적용되는 등 제재수위가 낮아 솜방망이징계라는 지적이 일고있다.
금융감독원은 28일 제일.서울은행에 대한 부문검사(99.10~11월) 결과 지난 97년부터 2년간 부실업체에 대한 여신취급 등으로 제일은행은 총 8천135억원, 서울은행은 총 7천822억원의 부실채권이 각각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이에따라 제일은행의 경우 이철수(李喆洙).신광식(申光湜) 전행장과김유홍(金裕洪) 전상무에 대해서는 문책경고를, 류시열.박기진(朴基鎭) 전행장과 정광우(鄭光宇) 전상무 등 전직 임원 18명에 대해서는 주의적경고를 내리는 한편 직원65명에 대해서는 문책요구조치했다.
서울은행은 손홍균(孫洪鈞).장만화(張滿花).김준협(金俊協) 전행장에 대해 문책경고를, 신억현 현 행장대행과 신복영(申復泳) 전행장을 비롯한 임원 24명에게는 주의적경고 조치를 각각 내리고 역시 63명의 직원은 문책조치했다.
검사결과 제일은행은 지난 97년3월부터 99년 9월말까지 총 1천339개업체, 3조9천80억원의 부도가 발생했으며 재무구조가 부실한 업체에 대한 부당여신취급과 한도초과 여신집행, 대출금 연체업체에 대한 신규여신취급, 외화유가증권 부당매입 등으로 총 8천135억원의 부실채권이 발생했다.
서울은행도 역시 부실업체에 대한 여신취급과 한도초과, 외화여신 부당취급, 기업어음(CP) 부당매입 등으로 총 7천822억원의 부실채권이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두 은행은 이같은 부실심화로 자산관리공사(옛 성업공사)의 부실자산 매입을 제외하고도 제일은행 5조7천86억원, 서울은행 4조8천201억원의 막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됐다.
그러나 이에비해 연임이 제한되는 문책경고는 모두 퇴임한 임원에 국한되는 등제재의 수위가 낮아 실효성이 없다는 비난이 제기되고 있다. 엄청난 규모의 공적자금이 투입된 만큼 적극적인 손해배상이나 구상권 행사 등을 통해 이에대한 책임을엄중히 물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대해 금감원 강기원(姜起垣) 은행검사1국장은 류시열, 신복영 두 행장의경우 부실여신중 상당부분이 취임이전에 취급된 것이나 사후관리에 최선을 다했다고보기는 어렵다는 판단하에 주의적경고 조치했다고 말했다.
금감위, 소액주주 주식 완전 소각 한국일보
금융감독위원회는 3일 서울은행을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 감자명령을 내리는 한편 예금보험공사에 대해 공적자금 투입을 요청했다.
금감위는 이날 임시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서울은행 경영정상화조치를 의결했다.
남상덕(南相德) 금감위 제2심의관은 공적자금 지원규모는 한빛.조흥 및 제일은행의 예에 따라 부실채권을 매입하고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10%로 개선하는데 필요한 수준으로 부실채권 매입분 1조1천억원을 포함해 약 4조5천억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실무절차에 2주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해 공적자금 투입시기는 오는 20일경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은행은 지난 6월말 현재 총자산 27조원, 부채 27조3천억원으로 자기자본이3천억원 잠식된 상태이며 BIS비율은 마이너스 10.0%다.
남 심의관은 앞으로 해외매각이나 자산건전성 분류기준 강화에 따라 추가지원이필요할 경우에는 공적자금 투입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서울은행의 경영진을 조속한 시일내에 국제적으로 공개선정해 경영을맡김으로써 국제수준의 금융기관으로 육성할 계획이라며 모건스탠리사가 구체적인일정 등 공모계획을 수립중이라고 남 심의관은 밝혔다.
감자와 관련, 소액주주 주식은 완전소각하되 주식매수청구권을 부여해 사실상유상소각의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는 한편 정부소유 주식은 공적자금 투입으로 은행의 순자산가치가 납입자본금 수준까지 보전되는 점을 감안해 절차 간소화 차원에서병합하되 소액주주의 주식매수청구가격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로 했다고 남 심의관은 말했다.
감자비율과 매수청구가 등은 내주초 소집될 서울은행 이사회에서 결정될 것이라며 제일은행의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 결정될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현재 서울은행 주식은 재경부가 46.7%, 예금보험공사가 46.7%의 지분을 각각 보유하고 있어 정부지분이 93.4%에 달하고 나머지 6.6%만을 일반주주가 갖고 있다.
금감위는 서울은행이 거래기업의 부실로 정상경영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지난 98년 1월 증자 8천억원, 부실채권 매입 1조9천억원 등 2조6천억원의 공적자금을 긴급지원했으나 그후 금융.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자산건전성 분류기준 강화, 한계기업부도, 부실채권 정리 등으로 과거 부실요인이 현재화됨에 따라 재무상태가 크게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서울은행은 자기자본과 연동돼 결정되는 대출 및 유가증권 투자 등제반 한도가 소진돼 외부로부터의 자금지원 없이는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불가능 한상태라고 금감위는 밝혔다.
추천자료
PR 성공한 기업과 실패한 기업의 사례
성공한 기업 & 실패한 기업 사례[아이러브스쿨, 다음]
실패한 밴처기업사례
기업윤리 실패사례
기업 성공/실패사례 (엔씨소프트,아이리버)
신제품 개발의 성공 요인과 실패 요인- 신제품 개발의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 신제품 개발을...
[기업인수합병] 기업인수합병(M&A)의 절차와 성공 및 실패사례
[경영학개론] 미래의 기업 경영환경 변화에 대한 분석 및 예측방법과 대응전략에 대하여 기술...
BMW 해외직접투자 사례연구 (기업선정이유, 기업 소개, BMW 현황, BMW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
BMW 해외직접투자 사례연구보고서 (기업선정이유, BMW 기업소개, BMW 현황, BMW의 성공요인과...
[ERP사례] ERP 도입 사례, 도입 성공 기업, 실패 기업 사례 분석
[마케팅 실패사례] 월마트 (WALMART) - 월마트 기업분석, 월마트 swot 분석, 월마트의 실패.pptx
[마케팅실패 기업사례] 마케팅개념과 마케팅실패 사례(페이스북,이베이,이케아,본죽,농심,81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