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 광고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사회에서 광고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치에 미치는 영향
2. 사회에 미치는 영향
3. 경제에 미치는 영향
4. 문화에 미치는 영향

Ⅲ. 결론

본문내용

중앙일보, 1995년 10월 24일자, 사회면
또한 문화를 현세대에서 다음세대로 전수하는 기능도 한다. 이러한 광고의 역할과 영향, 기능은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Ⅲ. 결론
위에서 광고에 대한 두 가지 논점을 살펴보았다. 광고는 확실히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벌이가 되는 수단이고 자본주의를 이끌어 가는 매개체이다. 하지만 이윤 극대화라는 목적에만 집착하여 부작용을 일으키는 광고도 종종 보게 된다. 두 논점의 차이점은 똑같은 현상을 Merrill교수와 Dennis 교수가 서로 다르게 본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광고가 나쁘다는 이유로 광고를 없앨 수 있는가? 과연 광고가 진실하다고 혹은 진실하지 않다고 할 수 있는가? 언론의 자유는 보장되어 있는가? 광고는 그다지 진실하지도 않고 또 언론의 자유도 그리 충분히 보장되어 있지도 않다. 그러나 현실에서 양자는 서로 절충하지 못하고 있다. 광고에 대한 올바른 규제도 부족하고 올바른 자유를 언론에 허용하지도 않는다. 우리의 언론은 정치권력과 연결되어 있는데 그 정도가 매우 지나치다. 그런데도 정치과정에서의 통신이나 설비의 이용도는 낮은 편이다. 이 이유로서는 중앙집권적이고 지도자 중심으로 운영되는 권위주의적 정치체제 그 자체가 큰 원인인 것 같다. 결국 현 우리 광고도 역시 정치적인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정치와 경제가 결탁한 상황에서 특별히 악영향을 끼치는 광고가 등한시되는 사실은 중요하지 않다.
이 사회의 정보는 대부분 광고를 통하여 우리에게 전달되고 우리는 그러한 정보를 현실에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광고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그 막대한 영향이 꼭 긍정적인 영향만 있지는 않다. 당연히 부정적인 영향도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광고의 영향이 순기능적 영향과 역기능적 영향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 김우룡, 정인숙, 현대 매스미디어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사, 1995
광고를 전달하는 매체도 이제는 다양화 되었다. 예전에는 신문과 잡지 등의 지면을 통한 광고가 주를 이루었지만, 공중파 매체인 라디오와 텔레비젼의 등장으로 광고의 매체는 증가하였다. 현재에 와서는 인터넷을 통한 배너광고 등으로 그 영역은 더욱 확대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예전의 신문이나 잡지 광고 등이 소멸되지는 않았다. 즉, 광고의 매체영역은 과거의 영역과 현대의 영역이 비중의 차이는 있지만 병행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병행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정보시대는 곧 광고시대를 일컫는다. 광고는 다양한 미디어를 통하여 형성되고 전파된다. 또한 미디어를 차지하는 내부적인 요소에서 광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광고와 미디어는 필요충분적인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다. 또한 사회에 미치는 광고의 영향이 중요하고 거대하지만, 그 내부에는 부정적인 영향(역기능적 효과)도 많이 내포하고 있기에 모든 광고에 신뢰를 두어서는 안 될 것이다.
<參考文獻>
한 민희, 장 대련, 광고 경영론, 서울: 학현사, 1994
박 종렬(편), 정치 광고와 선거 전략, 서울: 청림출판, 1987
김 종균, 신문정치광고에 관한 일 연구:
14대 대통령선거 민자당의 정치광고를 중심으로. 언론 사회 문화. 제4호 1994
김 우룡, 정 인숙, 현대 매스미디어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 1995
중앙일보, 1995년 10월 24일자, 1997년 4월 15, 16일자
이 준웅, 언론의 틀 짓기 기능과 여론의 변화. 언론과 17호, 100-135쪽,1997
황 근, 강 상현,미디어 정치시대 선거방송 정착을 위한 연구.
한국방송개발원, 1996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9.16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73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