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드의 발달단계이론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들어가는 말

Ⅱ.발달단계이론
1.구순기
2.항문기
3.생식기기
(1)외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2)엘렉트라 콤플렉스
4.잠복기
5. 성숙기

Ⅲ.발달단계이론에 대한 비판
(1) Erich Fromm
(2) 융
(3) Erikson
(4)「외디프스 콤플렉스」 비판
(5) 엘렉트라 콤플렉스 비판

Ⅳ.나오는 말
참고도서

본문내용

Elektra)는 희랍 전설에서 아버지를 사랑하기 때문에 자기 어머니를 죽인다. 이는 바로 아들에 있어서의 대신에 딸에 있어서의 외디푸스 콤플렉스를 말한다. 그러나 프로이드는 이 두 이성간의 관계에 있어 그 유사성을 강조하고 싶어하기 때문에 융(Carl Gustav Jung)이 인용한 이<엘렉트라 콤플렉스>란 용어를 사용하기를 거절하였다.
그래서 프로이드는 말하기를 “나는 엘렉트라 콤플렉스란 용어의 인용에 있어서 아무런 진척이나 장점도 보지 못한다. 그리고 나는 이 용어를 추천하고 싶지 않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프로이드에 있어서 엘렉트라 콤플렉스는 딸아이에 있어서 외디푸스 콤플렉스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 뿐 아니라 그에게 있어서 소녀의 콤플렉스는 소년의 콤플렉스 보다 훨씬 더 명백하다. 그러나 우리가 외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해 논한 것은 또한 이 엘렉트라 콤플렉스에도 적용된다.
이 엘렉트라 콤플렉스 또한 외디푸스 콤플렉스에 있어서와 같이 과격한 형태에 있어서는 예외적이며 병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형태에 있어서는 다시 말해서 아버지에 대한 소녀의 확실한 사리(私利)가 빈번하게 충분히 관찰되는 의미에서는 이 콤플렉스는 정상적이다. 이와 반대로 만일 소녀가 자기의 여성적 기질의 자연적인 발전이 방해될 만큼 아버지에 대한 주의와 경모(敬慕)를 갖는다면 이는 큰 폐가 된다. 따라서 이런 소녀는 아버지 같은 전형(典刑)에 편광되고 무의식적으로 동화되어 자기 여성적인 면을 잃어버리기 쉽다. 그리고 이런 여자는 그에게 자기 아버지 같은 이상적인 남성보다 못한 자와는 결혼하기 힘들며, 결혼 한다 하더라도 때때로 <아내-어머니>(Eheweib-Mutter)의 형이 되기 쉽다.
이러한 콤플렉스는 외디푸스 콤플렉스가 어머니가 아들에게만 자기 전 총애를 주고 딸을 경시할 때 일어나듯, 아버지가 딸에게만 자기 애정을 주고 아들을 경시할 때 흔히 일어난다.
엘렉트라 콤플렉스는 외디푸스 콤플렉스와 같이 침체된 어린이의 정서에서부터 뿐만 아니라 또한 이와 같은 기질을 형성할 수 있는 가정에서 그 반응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영적 지도자나 전문가는 어린이들로 하여금 그들의 정서적 발달에 참된 빛을 보도록 지도해 주고 그들 부모들에게는 자녀들에게 편파적인 사랑을 주지 않도록 지도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동섭교수의 정동섭, 「복음과 실천 제18집. 1995 침례신학대학교 출판부
비판 이유는 유아기에서부터 성적인 동기와 파괴적인 본능에 의하여 행동이 동기화된다고 해석한 것, 외디프스 콤플렉스나 일렉트라 콤플렉스 이론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모든 인간에게 근친 상간이나 쾌락적 충동이 있다고 주장한 것, 현재 인간행동 이해의 근거로서 유아기의 경험과 억압된 무의식의 내용만을 중요시함으로써 인간의 자율성과 책임성, 합리성을 무시하고 결정론적이고 비합리적인 관점에서 인간을 이해한 점 등이다.
Ⅳ. 나오는 말
우리는 정신분석이론이 인간 이해의 폭과 깊이를 넓혀주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위의 발달단계 역시 프로이드 자신의 치료경험과 자아분석 그리고 광범한 임상관찰을 토대로 한 최초의 포괄적인 성격이론이며, 심리치료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행동을 좌우하는 중요한 역동적인 힘의 근원은 무의식에 있으며, 무의식적인 갈등이 부적응과 신경증 내지 정신질환의 근원이 된다는 이론이다.
한편 프로이드가 공헌한 점을 요약하면
담대하고 통찰력 있는 탐구를 통해 최초의 체계적인 성격이론을 개발했다.
인간 성격의 발달에 있어서 유아기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자녀교육과 부모교육에 대한 각성과 연구를 자극하였다. 사실 이전까지 전혀 관심을 갖지 않았던 유아기의 교육환경에 대해 주목케 함으로써 유아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능케 하였다. 특히 인생초기의 인간관계가 그 이후의 대인 관계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하나님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을 시사해주었다.
지금까지도 이 발달단계이론이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고 실제로 여러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제 많은 학자들이 프로이드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보다 더 나은 이론들로 수정, 보완, 확대시켜 나감으로써 그의 학문적 약점들을 극복한 새로운 이론들을 정립하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그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인간이해의 새로운 시각이 열렸으며 또한 그의 이론이 심리학사에서 새로운 이론적 지평을 이록해 놓았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왜냐하면 프로이드 이후의 이론들은 프로이드 이론이 있으므로 해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피아제의 인지 발달이론, 에릭슨의 사회 심리적 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 발달이론, 파울러의 신앙 발달이론 등이 그것이다.
이렇게 프로이드 이론이 심리학사, 아동학에서 차지하고 있는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그에 대한 연구가 매우 빈약한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또한 인간의 성격 형성에 있어서 유아기가 매우 중요하다고 볼 때, 연구만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유치원 교육이나 초등학교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고 여겨진다.
< 참고도서 >
김성태 저, 「발달 심리학」, (서울: 법문사, 1978),p.23
S.프로이드 저, 민희식 역,「정신분석 입문」.(서울: 두로,1995)
Cavin S. Hall, 유상우 역, 「프로이트 심리학입문」, (서울: 홍신문화사, 2003)
S.프로이트 저, 오태환 역, 「정신분석 입문」, (서울: 선영사,2003)
데이비드 스태로드 클라크 저, 최창호 역, 「한권으로 읽는 프로이트」, (서울: 푸른숲, 2002)
장인혁외 3인 공저, 「인간의 행동발달과 환경」, (서울: 수문사,1974)
프로이드 저, 이재광 역,「프로이트의 두 발자취」, (서울: 하나의학사,1995)
Joseph Sander 저, 이무석. 오무근 공역, 「안나 프로이트의 하바드 강좌」, (서울: 도서출판 하나의학사, 2000)
최외선 저,「여성과 성역할」
Freud, A General Introcuction to Psychoanalysis
Hall & Linczey, The Theory of Personality
<학위논문>
조숙,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인간학에 관한 연구」, 장로회 신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4.09.17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75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