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기 실업 고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중년기 & 실업의 이해

(1) 중년기
① 중년기 생물학적 측면
② 중년기 심리적 측면
가. 중년기의 발달과업 -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나. 매슬로우 욕구체계
③ 중년기 사회적 측면
가. 빈 곤
나. 가족


(2) 실 업

① 실업의 정의
② 실업의 유형


3) 중년기 실업의 현황

(1) 전체 실업자 및 실업률
(2) 실업자와 실업률 추이
(3) 중년기 실업자 및 실업률


4) 중년기 실업의 원인

(1) 경기적 실업
(2) 마찰적 실업
(3) 구조적 실업
(4) 계절적 실업

5) 중년기 실업의 영향
(1) 실업자 개인
가. 경제적 문제
나. 비자발적 실직으로 인한 심리적 불편감
다. 스트레스 유발원으로서의 실직

(2)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① 실직이 가족 전체에 미치는 영향
②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3) 사회 전체에 미치는 영향 (김기남, 1998)



6) 생태체계모델 적용

(1) 제도적 가치체계
가. 고용보험법
나. 근로기준법
다. 산재보험법

(2) 조직체계
가. 고용안정센터
나. 근로복지공단
다. 노동부 (고용보험의 운영주체)
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마. 한국노동연구원
바. 상담실, 민간 사회복지 서비스기관
사. TV
아. 고용실업대책전북도민운동 실업자종합지원센터

(3) 지역사회체계

(4) 사회복지사체계

3. 결 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관이다.
한국노동연구원
노동관계 제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분석함으로써 합리적인 노동정책 개발과 노동문제에 관한 국민일반의 인식제고에 이바지하게 함에 목적이 있다.
상담실, 민간 사회복지 서비스기관 (복지관, 아동학대예방센터, 알콜상담센터, 자조모임)
지역사회 내에 있는 실업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실업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개인의 문제, 가족의 역기능 문제를 대상으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스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그런 정보와 자원을 연결해준다.
TV
실업의 심각성과 현재구조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일반 국민, 제도(정책)의 변화를 유도한다.
예, 실업탈출 국민운동본부 http://www.kbs.co.kr/1tv/sisa/findjob
< 실업탈출 국민운동본부프로그램의 목표 >
▶ 기존의 구인구직 프로그램이 아닌 사회적 시스템을 바꿀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향.
▶ 왜곡된 고용구조를 해결하고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실직적인 사회적 대안을 제시.
▶ 전국에 상설채용박람회 및 상담 센타 운영과 홍보 적극 지원.
▶ 구직자와 구인업체의 실직적인 만남 제공.
▶ 정부, 민간단체 등 실업문제 해결을 위해 힘쓰는 단체들에 대한 소개·홍보.
고용실업대책전북도민운동 실업자종합지원센터 http://www.jbuc.or.kr
민간차원의 실업극복의지를 모아 안정적으로 실업자들의 자활의지를 돕고, 실업자 권익신장 제고를 위한 각종 지원사업 등 실업자들을 위한 종합적인 지원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실업자들의 사랑방, 민간단체들의 네트워크, 정부의 실업대책의 파트너로서 구인.구직상담, 실업자들의 자활지원과 직업능력개발, 실업자 복지, 실업정책에 대한 정책기획 및 조사연구, 홍보.교육 등의 활동을 펼치기 위함이다.
전북실업자종합지원센터 사업목표
민-관 협력을 통한 실업대책 사각지대의 최소화
One-stop Service를 통한 실업자종합지원
민-민 협력을 통한 실업대책 네트워크 구성
주요사업
사회적 일자리 창출ㆍ기업 사업
종합 상담 사업
희망의 카드 사업
지역 네트워크 구축사업
청소년 실업예방사업
지역사회체계
현재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실업이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전반의 문제로 인식한다.
사회복지사체계
중개자 - 클라이언트와 지역사회의 자원이나 서비스를 연결해주는 역할
분석가 / 평가자 - 현재의 사회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분석하는 역할 (현재 구조적인 문제 : 사회안전망 문제 - 급여의 적접성, 선정조건, 대상자의 범위 등등)
옹호자 -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역할 (비정규노동자 등)
주창자 - 현재 실업문제의 문제를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역할
결 론
IMF 이후로 실업을 사회문제로 보는 시각이 많이 생겨나게 되었다. 그 이전에는 개인의 능력부족으로 취급했던 실업을 사회의 구조적인 변화에 따른 불가피한 결과로 인식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실업 중에서 청년실업과는 중년기실업 다른 점을 많이 있다. 청년층은 현재 실업자(율)이 많이 증가를 하고 있고 여러 가지 사회적 대책을 나오고 있다. 문제의 심각성을 볼 때 청년층 실업보다는 중년기 실업이 심각하다. 중년의 실업은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정폭력, 아동학대, 이혼, 범죄, 정신건강 등)로 발전 가능성이 많이 있다. 중년기 실업자와 가족을 지원하는 사회안전망, 민간 사회복지 서비스 등이 확충되어야 할 것이다.
중년기 실업문제에서 사회복지사가 개입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생각을 해봐야 할 것이다. 현재의 제도(정책) 하에서는 클라이언트에게 유용한 정보와 자원연결을 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보다 거시체계를 바꿔나가려면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무엇이 문제이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도 서 )
이인정·최해경. 199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p.250-251
제리화이트 부부. 1991. 「중년기와 그리스도인」서울 : 네비게이토출판사. p. 12.
Charles Zastrow 저 / 김규수 등역, 200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눔의 집. p.357, p.249, p.391-392.
정인수. 1999. 「청년층 실업현황과 고용촉진대책」 한국노동연구원
배무기. 1997. 「노동경제학」 경문사. p.132, p.134
( 논 문 )
김기남. 1998. "[사회학] 일과 실업 - 그 사회학적 의미" 고시연구. 고시연구사(연구)
金玔洙. 1999. "失職者 再就職敎育의 現況과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단국대학교. p.10-11
김유순. 1998. "실직자를 위한 위기개입 프로그램" IMF 위기여성지원센터 워크샵 자료집.
김은미 · 이선미. 1998. "고실업시대의 가족 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33
김진웅. 1985. "한국의 수요부족실업과 비수요부족실업", 노동법과 노동대책. 일신사. p.389-406
노연희. 1998. "실직자의 정서적, 인지적, 신체화 반응 및 대처 행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p.2, p.3-4
경미란. 2001. "중년남성의 위기에 대한 목회상담 연구"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p.16.
박명희. 1998. "국가경제위기-가정에서는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대한가정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13-23
이애수·김정란·김난희. 1998. "실직이 개인 및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6권 1호. 목포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이훈래. 2002. "실업급여 남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55
정환구·오경자. 2001. "부모의 실직이 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교육과학, Vol.49 No.1
( 보도 자료 )
통계청 < 2004년 4월 고용동향 >
( 인터넷 사이트 )
통계청 http://www.nso.go.kr
사회보험정보포탈 http://www.4insure.or.kr
한국노동연구원 http://www.kli.re.kr
노동부 http://www.molab.go.kr
법제처 http://www.moleg.go.kr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한국교육학술정보원 http://www.riss4u.net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4.09.21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80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