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1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2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3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4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2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3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4
본문내용
받는 노동자와, 기술을 가지지 못한 노동자 즉 혜택을 받지 못하는 노동자 그룹으로 나뉜다. 이들 노동자들의 사회적인 태도에는 도덕적인 냉소주의와 평등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이상주의가 특징이다. 오늘날의 사회가 직면한 문제는 사회안에 있는 보존할 가치가 있는 것은 보존하면서도, 권력을 남용하는 부정을 저지르지 않으며, 사회안에 있는 악을 어떻게 제거하느냐의 문제이다. 그러나 무산자의 의식은 이 사회에는 보존할 가치가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하며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인격적, 도덕적 이상주의가 위선이라고 규탄받는 시대에 살고 있다. 집단적인 도덕이 만용을 부리는 시대일 수록, 도덕적 이상주의는 사치가 아니라도 추구해야 할 과제이다. 우리는 하늘에 이르는 개인의 사다리를 놓고 사회를 부패와 무절제로부터 구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집단적 비도덕의 경향은 오늘날 우리사회 이기주의로 극명된다. 정치,외교뿐 아니라 경제분야에서도 EU, NAFTA 등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한 국가나 사회집단의 비도덕성은 개인적, 윤리적 기준에 의해 해결 될 수 없기 때문에 폭력이나 비폭력적인 강제력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나, 이러한 해결책은 또 다른 집단의 비도덕성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요소가 결부 되야 한다고 니부어는 말하고 있는 것이다. 개인 도덕의 가장 높은 양심적 통찰은 사회생활에도 적합하며 필요하다. 이에 개인의 도덕과 사회적인 도덕이 양립하는 방향에서 상호조화를 이루며, 개인의 내면적인 이상이 실현되며 아울러 사회의 정의도 실현되는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인격적, 도덕적 이상주의가 위선이라고 규탄받는 시대에 살고 있다. 집단적인 도덕이 만용을 부리는 시대일 수록, 도덕적 이상주의는 사치가 아니라도 추구해야 할 과제이다. 우리는 하늘에 이르는 개인의 사다리를 놓고 사회를 부패와 무절제로부터 구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집단적 비도덕의 경향은 오늘날 우리사회 이기주의로 극명된다. 정치,외교뿐 아니라 경제분야에서도 EU, NAFTA 등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한 국가나 사회집단의 비도덕성은 개인적, 윤리적 기준에 의해 해결 될 수 없기 때문에 폭력이나 비폭력적인 강제력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나, 이러한 해결책은 또 다른 집단의 비도덕성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요소가 결부 되야 한다고 니부어는 말하고 있는 것이다. 개인 도덕의 가장 높은 양심적 통찰은 사회생활에도 적합하며 필요하다. 이에 개인의 도덕과 사회적인 도덕이 양립하는 방향에서 상호조화를 이루며, 개인의 내면적인 이상이 실현되며 아울러 사회의 정의도 실현되는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