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플레이션
Ⅰ. 개념
Ⅱ. 종류
Ⅲ. Inflation의 원인
1. 수요견인 Inflation (초과수요 Inflation)
2. 비용인상 Inflation
3. 혼합형 Inflation
Ⅰ. 개념
Ⅱ. 종류
Ⅲ. Inflation의 원인
1. 수요견인 Inflation (초과수요 Inflation)
2. 비용인상 Inflation
3. 혼합형 Inflation
본문내용
0 Y
ⅰ) 위의 그림에서 최초에 국민소득과 이자율 및 물가를 , 및 이다.
ⅱ) 정부가 정부지출을 증가시키면 IS곡선은 IS0에서 IS1으로 우측이동하고,
총수요곡선도 에서 로 우측이동한다.
→ 새로운 균형점은 점이다.
ⅲ) 또한, 정부가 통화량을 증가시키면 LM곡선이 에서 으로
이동하므로 총수요곡선은 에서 으로 이동한다.
→ 새로운 균형점
ⅳ) 따라서, 유효수요 증대(IS곡선 우측이동), 통화량증가(LM곡선 우측이동)은
Inflation을 야기시킨다.
2. 비용인상 Inflation
(1) 케인즈학파
① 발생원인
임금인상, 이윤인상, 석유파동, 원자재가격상승등으로 인한 AS곡선의
좌측이동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
→ 이 경우 국민소득도 감소한다.(stagflation)
② 그래프
AS1
AS0
0
ⅰ) 위의 그림에서 최초에 국민소득과 물가는 ,이다.
→ 최초의 균형점은 점이다.
ⅱ) 임금인상등이 발생하면 총공급곡선은 에서으로 좌측이동하게 되어
ⅲ) 국민소득과 물가는 ,이 된다.
→ 새로운 균형점은 점이다.
③ 소득정책(대책)
정책당국이 생산성증가율의 범위내에서 임금 등의 가격상승을 억제하는
정책을 실시하여 Inflation을 억제하고자하는 정책을 말한다.
예) 임금가이드 라인, 임금 - 물가통제 등
(2) 통화주의 학파와 합리적 기대학파
① 발생원인
재량에 의한 금융정책으로 수요견인 Inflation이 발생하여 그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에 적응적(합리적)으로 대응하는 과정에서 Inflation이 발생한다고
봄.
② Graph
AS1
AS0
AD1
AD0
0
ⅰ) 위의 그림에서 최초의 균형점은 점이다.
→ 국민소득, 물가는 , 이다.
ⅱ) 재량적 금융정책(통화량증가)으로 총수요(AD)곡선은 에서
으로 우측이동하게 된다.
→ 균형점은 점이다.
ⅲ) 이때, 경제주체(특히, 노동자)들은 적응적(합리적)기대를 함으로써
임금인상요구를 하게 되고,
ⅳ) 임금인상이 이루어지면 총공급곡선은 에서 으로 이동하게
되어
ⅴ) 새로운 균형점은 점이 된다.
→ 최초의 균형점에 비해 물가만 상승하고, 국민소득은 불변이다.
참고 적응적 기대가설, 합리적 기대가설
③ 대책.
ⅰ) K% 준칙에 입각한 통화정책을 실시하도록 주장함.(단기적)
ⅱ) 공급능력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함.
(기술향상, 연구개발, 노동자 재교육 등)
3. 혼합형 Inflation
→ 자연실업율 가설에서 자세히 언급.
ⅰ) 위의 그림에서 최초에 국민소득과 이자율 및 물가를 , 및 이다.
ⅱ) 정부가 정부지출을 증가시키면 IS곡선은 IS0에서 IS1으로 우측이동하고,
총수요곡선도 에서 로 우측이동한다.
→ 새로운 균형점은 점이다.
ⅲ) 또한, 정부가 통화량을 증가시키면 LM곡선이 에서 으로
이동하므로 총수요곡선은 에서 으로 이동한다.
→ 새로운 균형점
ⅳ) 따라서, 유효수요 증대(IS곡선 우측이동), 통화량증가(LM곡선 우측이동)은
Inflation을 야기시킨다.
2. 비용인상 Inflation
(1) 케인즈학파
① 발생원인
임금인상, 이윤인상, 석유파동, 원자재가격상승등으로 인한 AS곡선의
좌측이동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
→ 이 경우 국민소득도 감소한다.(stagflation)
② 그래프
AS1
AS0
0
ⅰ) 위의 그림에서 최초에 국민소득과 물가는 ,이다.
→ 최초의 균형점은 점이다.
ⅱ) 임금인상등이 발생하면 총공급곡선은 에서으로 좌측이동하게 되어
ⅲ) 국민소득과 물가는 ,이 된다.
→ 새로운 균형점은 점이다.
③ 소득정책(대책)
정책당국이 생산성증가율의 범위내에서 임금 등의 가격상승을 억제하는
정책을 실시하여 Inflation을 억제하고자하는 정책을 말한다.
예) 임금가이드 라인, 임금 - 물가통제 등
(2) 통화주의 학파와 합리적 기대학파
① 발생원인
재량에 의한 금융정책으로 수요견인 Inflation이 발생하여 그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에 적응적(합리적)으로 대응하는 과정에서 Inflation이 발생한다고
봄.
② Graph
AS1
AS0
AD1
AD0
0
ⅰ) 위의 그림에서 최초의 균형점은 점이다.
→ 국민소득, 물가는 , 이다.
ⅱ) 재량적 금융정책(통화량증가)으로 총수요(AD)곡선은 에서
으로 우측이동하게 된다.
→ 균형점은 점이다.
ⅲ) 이때, 경제주체(특히, 노동자)들은 적응적(합리적)기대를 함으로써
임금인상요구를 하게 되고,
ⅳ) 임금인상이 이루어지면 총공급곡선은 에서 으로 이동하게
되어
ⅴ) 새로운 균형점은 점이 된다.
→ 최초의 균형점에 비해 물가만 상승하고, 국민소득은 불변이다.
참고 적응적 기대가설, 합리적 기대가설
③ 대책.
ⅰ) K% 준칙에 입각한 통화정책을 실시하도록 주장함.(단기적)
ⅱ) 공급능력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함.
(기술향상, 연구개발, 노동자 재교육 등)
3. 혼합형 Inflation
→ 자연실업율 가설에서 자세히 언급.
추천자료
한국의 산업
기업윤리의 경제학적 접근
인플레이션과 부동산투기와의 관계
국제기구의 설립목적
[IMF]IMF의 역할을 설명하고 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시의 IMF처방의 효과를 논하시오.
[IMF]IMF경제와 사회변화 및 한국경제의 대응방안과 한국경제에 미친 영향(IMF경제 초래원인,...
미래기업의 인재코드
인플레이션 정의 및 해결방안A+
[은행대출][금리운용][은행합병]은행대출의 제도적 이해, 은행대출의 금리운용, 은행대출과 ...
여성 사회활동 증가의 경제.사회적 영향 : 과거, 현재 및 전망
관광재와 공공재
산업현장 성공사례
델타 그랜드 퍼시픽 호텔 (DGP: Delta Grand Pacific Hotel / 現 웨스틴 그랑데 수쿰윗 Wes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