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인플레이션


Ⅰ. 개념

Ⅱ. 종류

Ⅲ. Inflation의 원인

1. 수요견인 Inflation (초과수요 Inflation)

2. 비용인상 Inflation

3. 혼합형 Inflation

본문내용

0 Y
ⅰ) 위의 그림에서 최초에 국민소득과 이자율 및 물가를 , 및 이다.
ⅱ) 정부가 정부지출을 증가시키면 IS곡선은 IS0에서 IS1으로 우측이동하고,
총수요곡선도 에서 로 우측이동한다.
→ 새로운 균형점은 점이다.
ⅲ) 또한, 정부가 통화량을 증가시키면 LM곡선이 에서 으로
이동하므로 총수요곡선은 에서 으로 이동한다.
→ 새로운 균형점
ⅳ) 따라서, 유효수요 증대(IS곡선 우측이동), 통화량증가(LM곡선 우측이동)은
Inflation을 야기시킨다.
2. 비용인상 Inflation
(1) 케인즈학파
① 발생원인
임금인상, 이윤인상, 석유파동, 원자재가격상승등으로 인한 AS곡선의
좌측이동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
→ 이 경우 국민소득도 감소한다.(stagflation)
② 그래프
AS1
AS0
0
ⅰ) 위의 그림에서 최초에 국민소득과 물가는 ,이다.
→ 최초의 균형점은 점이다.
ⅱ) 임금인상등이 발생하면 총공급곡선은 에서으로 좌측이동하게 되어
ⅲ) 국민소득과 물가는 ,이 된다.
→ 새로운 균형점은 점이다.
③ 소득정책(대책)
정책당국이 생산성증가율의 범위내에서 임금 등의 가격상승을 억제하는
정책을 실시하여 Inflation을 억제하고자하는 정책을 말한다.
예) 임금가이드 라인, 임금 - 물가통제 등
(2) 통화주의 학파와 합리적 기대학파
① 발생원인
재량에 의한 금융정책으로 수요견인 Inflation이 발생하여 그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에 적응적(합리적)으로 대응하는 과정에서 Inflation이 발생한다고
봄.
② Graph
AS1
AS0
AD1
AD0
0
ⅰ) 위의 그림에서 최초의 균형점은 점이다.
→ 국민소득, 물가는 , 이다.
ⅱ) 재량적 금융정책(통화량증가)으로 총수요(AD)곡선은 에서
으로 우측이동하게 된다.
→ 균형점은 점이다.
ⅲ) 이때, 경제주체(특히, 노동자)들은 적응적(합리적)기대를 함으로써
임금인상요구를 하게 되고,
ⅳ) 임금인상이 이루어지면 총공급곡선은 에서 으로 이동하게
되어
ⅴ) 새로운 균형점은 점이 된다.
→ 최초의 균형점에 비해 물가만 상승하고, 국민소득은 불변이다.
참고 적응적 기대가설, 합리적 기대가설
③ 대책.
ⅰ) K% 준칙에 입각한 통화정책을 실시하도록 주장함.(단기적)
ⅱ) 공급능력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함.
(기술향상, 연구개발, 노동자 재교육 등)
3. 혼합형 Inflation
→ 자연실업율 가설에서 자세히 언급.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9.22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82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