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문제의 제기
□ 주 5일 근무제에 따른 여가환경의 변화전망
□ 주 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여가행태 변화
□ 수도권 여가행태 변화전망
□ 수도권 여가공간 조성 및 이용실태와 문제점
□ 수도권 여가공간 조성과 이용효율화 방안
□ 일본의 사례
1) 여가행태 변화
2) 여가정책변화와 시사점
□ 주 5일 근무제에 따른 여가환경의 변화전망
□ 주 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여가행태 변화
□ 수도권 여가행태 변화전망
□ 수도권 여가공간 조성 및 이용실태와 문제점
□ 수도권 여가공간 조성과 이용효율화 방안
□ 일본의 사례
1) 여가행태 변화
2) 여가정책변화와 시사점
본문내용
4,477
4,465
(18.9)
5,309
(14.5)
6,079
(-1.8)
5,968
(-4.8)
5,682
(15.5)
6,562
(11.1)
7,289
(1.9)
7,431
(6.9)
6.54
(7.78)
1.25
전 국
20,097
25,228
30,990
31,697
31,776
26,135
28,366
29,392
29,917
5.9
0.94
자연
휴양림
수
도
권
국유림
77
149
(92.6)
205
(37.1)
295
(43.6)
296
(0.5)
278
(-6.2)
299
(7.7)
340
(13.8)
344
(1.0)
20.58
(23.76)
1.16
전 국
1,170
1,461
2,079
2,472
2,606
2,680
3,131
3,798
3,817
16.3
1.46
관광지
소요산
245
274
(11.7)
222
(-18.8)
204
(-8.0)
190
(-6.8)
▼6.16
(▼5.36)
0.69
신륵사
953
708
(-25.7)
1,160
(63.8)
1,176
(1.4)
1,207
(2.6)
6.08
(10.53)
1.70
주: ( )내 증가율은 전년대비 증가율이며, 증가율항목의 ( )는 이것을 년수롤 나눈 것임
<그림1> 수도권 주요 여가공간 연도별 입장객 변화
□ 일본의 사례
1) 여가행태 변화
ㅇ 일본은 1970년대 초반부터 주 2일 휴무제를 실시해오고 있으며, 1999년 주 40시간 근무제 정착, 2002년 학교 완전 주5일 수업제 실시
- 1999년 현재 주 2일 완전 휴무제 실시 기업은 전체의 33.4%이며, 근로자 수로는 전체의 58.7%로 90년대 들어 빠른 속도로 증가
- 월 1회 이상 주 2일 휴무를 택하고 있는 기업체는 1998년 90.5%
ㅇ 여가시장 성장률은 1987~93년은 연평균 7.1%씩 성장하였으며, 1993~2000년은 연평균 ▼0.3% 감소하였음
- 1987~93년 : 경제성장률의 둔화에도 불구하고 참여인구 꾸준히 증가
- 1993년 이후: 경제의 장기침체로 인해 참여인구는 계속 감소추세
ㅇ 1987~1993년 여가활동 참여인구는 21.3%가 증가하였으며, 부문별로는 오락이 34.2%, 관광/행락(21.3%), 취미/창작(19.0%), 스포츠부문(17.1%) 순
- 93~2000년은 경기침체로 8.3% 감소하고, 여가활동이 대부분 위축
- 돈이 적게드는 취미창작부문(+1.0%)을 제외하고 감소하는 추세로 스포츠부문 -16.2%, 오락부문 -11.8%, 관광행락부문 -8.3%
<표4> 일본의 주휴 2일제(완전) 실시 추이
(단위 : %)
1975
1980
1985
1988
1990
1992
1996
1998
1999
기업체수
근로자수
4.6
21.4
5.4
23.0
6.1
27.1
7.4
29.5
11.5
39.2
19.5
51.3
28.5
59.3
35.2
59.2
33.4
58.7
자료: 서천범, 레져백서 2002-2003, 2002(재인용), 自由時間デザイン協會, レヅャ白書, 2001.
<표 5> 레저활동 참여인구 증가종목(1993~2000년)
구 분
참여인구 증가종목
스포츠
에어로빅재즈댄스(21.6%), 체조(16.8%), 스노보드(신규종목)
취미창작
원예/정원가꾸기(19.5%), 학습조사(19.0%), 도예(7.8%), 회화조 각(7.0%), 취미공예(4.4%), 음악회콘서트(2.4%), 영화관람(1.2%)
오락부문
당구(25.0%), 경륜(11.1%), 외식(5.4%)
관광행락
해외여행(13.6%), 오토캠핑(12.9%), 귀성여행(4.9%)
- 경제장기불황과 소비위축에도 불구하고 숙박여행회수와 일수는 증가하였는데, 숙박여행회수는 95년 1인당 평균 2.51회→ 99년에는 2.58회로 증가.
ㅇ 여가활동의 장애요인으로는 휴일 부족과 경제적 부담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제기되었으며, 가족과 함께 하지 못한다는 것도 중요한 이유로 지적
ㅇ 주 휴일이 하루 증가할 경우, 해외여행, 국내관광여행, 야외형가족형 여가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1985년 잠재수요조사)
- 10~20대는 해양/모험스포츠, 30~40대는 가족동반활동 및 문화적취미적 여가활동, 중노년층은 여행과 문화적취미적 여가활동
<그림 2> 레저활동 부문별 참여인구 추이(1987~2000년)
취미창작
오락
관광행락
스포츠
2) 여가정책변화와 시사점
ㅇ 여가활동의 주체는 개인이지만 여가활동을 보장하는 것은 행정의 역할이라는 인식 하에, 여가활동을 위한 여러 가지 여가여건 정비와 개선추진
- 목표는 여가의 평등화,(접촉기회의 균등화), 자유화(선택기회, 자발성과 창조성 강조), 사회화(여가를 통한 사회적 교류확대)
- 60년 후반 여가문제를 중요한 국민생활 과제로 인식, 70년대 행정적제도적 기반마련, 80년대 종합휴양지역 정비법(리조트법)등 여가정책의 본격적 추진, 90년대 주2일 휴무제의 정착 및 여가사회 추진
ㅇ 여가공간 및 시설 주요추진 시책
- 폭 넓은 관광/레크리에이션 시설의 종합적 정비: 오토캠프장, 관광지 삼림공원 등 레크레이션 시설 정비, 민간기업의 관광시설 정비 확대
- 민간능력을 활용한 종합휴양지역 정비강화: 종합휴양지역 정비(리조트법), 관광지개발 시 세제혜택, 공공시설정비, 농지법 운영 배려
- 환경과 여가시설의 조화: 자연체험시설 정비, 녹색관광, 자연공원 휴양지 조성, 에코뮤지엄, 친수레크레이션 시설 정비
ㅇ 시사점으로는
- 여가활동은 국내의 경제적 여건에 따라 많이 좌우됨: 침체 시에는 저비용의 레저활동, 호경기 시에는 장거리숙박여행이 선호
- 활동별로 참여인구가 변화하고 연령별로도 선호 활동이 변화
- 이러한 변화에 따른 레저시장의 변화 예상: 장거리 숙박레져시설, 테마파크, 유원지 등 가족단위의 놀이시설, 다계층 이용 생활체육 및 문화시설
- 주말 혼잡으로 활용 행태변화: 휴식 증가, 일요일 오전 귀가 증가
목 차
□ 문제의 제기
□ 주 5일 근무제에 따른 여가환경의 변화전망
□ 주 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여가행태 변화
□ 수도권 여가행태 변화전망
□ 수도권 여가공간 조성 및 이용실태와 문제점
□ 수도권 여가공간 조성과 이용효율화 방안
□ 일본의 사례
1) 여가행태 변화
2) 여가정책변화와 시사점
4,465
(18.9)
5,309
(14.5)
6,079
(-1.8)
5,968
(-4.8)
5,682
(15.5)
6,562
(11.1)
7,289
(1.9)
7,431
(6.9)
6.54
(7.78)
1.25
전 국
20,097
25,228
30,990
31,697
31,776
26,135
28,366
29,392
29,917
5.9
0.94
자연
휴양림
수
도
권
국유림
77
149
(92.6)
205
(37.1)
295
(43.6)
296
(0.5)
278
(-6.2)
299
(7.7)
340
(13.8)
344
(1.0)
20.58
(23.76)
1.16
전 국
1,170
1,461
2,079
2,472
2,606
2,680
3,131
3,798
3,817
16.3
1.46
관광지
소요산
245
274
(11.7)
222
(-18.8)
204
(-8.0)
190
(-6.8)
▼6.16
(▼5.36)
0.69
신륵사
953
708
(-25.7)
1,160
(63.8)
1,176
(1.4)
1,207
(2.6)
6.08
(10.53)
1.70
주: ( )내 증가율은 전년대비 증가율이며, 증가율항목의 ( )는 이것을 년수롤 나눈 것임
<그림1> 수도권 주요 여가공간 연도별 입장객 변화
□ 일본의 사례
1) 여가행태 변화
ㅇ 일본은 1970년대 초반부터 주 2일 휴무제를 실시해오고 있으며, 1999년 주 40시간 근무제 정착, 2002년 학교 완전 주5일 수업제 실시
- 1999년 현재 주 2일 완전 휴무제 실시 기업은 전체의 33.4%이며, 근로자 수로는 전체의 58.7%로 90년대 들어 빠른 속도로 증가
- 월 1회 이상 주 2일 휴무를 택하고 있는 기업체는 1998년 90.5%
ㅇ 여가시장 성장률은 1987~93년은 연평균 7.1%씩 성장하였으며, 1993~2000년은 연평균 ▼0.3% 감소하였음
- 1987~93년 : 경제성장률의 둔화에도 불구하고 참여인구 꾸준히 증가
- 1993년 이후: 경제의 장기침체로 인해 참여인구는 계속 감소추세
ㅇ 1987~1993년 여가활동 참여인구는 21.3%가 증가하였으며, 부문별로는 오락이 34.2%, 관광/행락(21.3%), 취미/창작(19.0%), 스포츠부문(17.1%) 순
- 93~2000년은 경기침체로 8.3% 감소하고, 여가활동이 대부분 위축
- 돈이 적게드는 취미창작부문(+1.0%)을 제외하고 감소하는 추세로 스포츠부문 -16.2%, 오락부문 -11.8%, 관광행락부문 -8.3%
<표4> 일본의 주휴 2일제(완전) 실시 추이
(단위 : %)
1975
1980
1985
1988
1990
1992
1996
1998
1999
기업체수
근로자수
4.6
21.4
5.4
23.0
6.1
27.1
7.4
29.5
11.5
39.2
19.5
51.3
28.5
59.3
35.2
59.2
33.4
58.7
자료: 서천범, 레져백서 2002-2003, 2002(재인용), 自由時間デザイン協會, レヅャ白書, 2001.
<표 5> 레저활동 참여인구 증가종목(1993~2000년)
구 분
참여인구 증가종목
스포츠
에어로빅재즈댄스(21.6%), 체조(16.8%), 스노보드(신규종목)
취미창작
원예/정원가꾸기(19.5%), 학습조사(19.0%), 도예(7.8%), 회화조 각(7.0%), 취미공예(4.4%), 음악회콘서트(2.4%), 영화관람(1.2%)
오락부문
당구(25.0%), 경륜(11.1%), 외식(5.4%)
관광행락
해외여행(13.6%), 오토캠핑(12.9%), 귀성여행(4.9%)
- 경제장기불황과 소비위축에도 불구하고 숙박여행회수와 일수는 증가하였는데, 숙박여행회수는 95년 1인당 평균 2.51회→ 99년에는 2.58회로 증가.
ㅇ 여가활동의 장애요인으로는 휴일 부족과 경제적 부담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제기되었으며, 가족과 함께 하지 못한다는 것도 중요한 이유로 지적
ㅇ 주 휴일이 하루 증가할 경우, 해외여행, 국내관광여행, 야외형가족형 여가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1985년 잠재수요조사)
- 10~20대는 해양/모험스포츠, 30~40대는 가족동반활동 및 문화적취미적 여가활동, 중노년층은 여행과 문화적취미적 여가활동
<그림 2> 레저활동 부문별 참여인구 추이(1987~2000년)
취미창작
오락
관광행락
스포츠
2) 여가정책변화와 시사점
ㅇ 여가활동의 주체는 개인이지만 여가활동을 보장하는 것은 행정의 역할이라는 인식 하에, 여가활동을 위한 여러 가지 여가여건 정비와 개선추진
- 목표는 여가의 평등화,(접촉기회의 균등화), 자유화(선택기회, 자발성과 창조성 강조), 사회화(여가를 통한 사회적 교류확대)
- 60년 후반 여가문제를 중요한 국민생활 과제로 인식, 70년대 행정적제도적 기반마련, 80년대 종합휴양지역 정비법(리조트법)등 여가정책의 본격적 추진, 90년대 주2일 휴무제의 정착 및 여가사회 추진
ㅇ 여가공간 및 시설 주요추진 시책
- 폭 넓은 관광/레크리에이션 시설의 종합적 정비: 오토캠프장, 관광지 삼림공원 등 레크레이션 시설 정비, 민간기업의 관광시설 정비 확대
- 민간능력을 활용한 종합휴양지역 정비강화: 종합휴양지역 정비(리조트법), 관광지개발 시 세제혜택, 공공시설정비, 농지법 운영 배려
- 환경과 여가시설의 조화: 자연체험시설 정비, 녹색관광, 자연공원 휴양지 조성, 에코뮤지엄, 친수레크레이션 시설 정비
ㅇ 시사점으로는
- 여가활동은 국내의 경제적 여건에 따라 많이 좌우됨: 침체 시에는 저비용의 레저활동, 호경기 시에는 장거리숙박여행이 선호
- 활동별로 참여인구가 변화하고 연령별로도 선호 활동이 변화
- 이러한 변화에 따른 레저시장의 변화 예상: 장거리 숙박레져시설, 테마파크, 유원지 등 가족단위의 놀이시설, 다계층 이용 생활체육 및 문화시설
- 주말 혼잡으로 활용 행태변화: 휴식 증가, 일요일 오전 귀가 증가
목 차
□ 문제의 제기
□ 주 5일 근무제에 따른 여가환경의 변화전망
□ 주 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여가행태 변화
□ 수도권 여가행태 변화전망
□ 수도권 여가공간 조성 및 이용실태와 문제점
□ 수도권 여가공간 조성과 이용효율화 방안
□ 일본의 사례
1) 여가행태 변화
2) 여가정책변화와 시사점
추천자료
주5일 근무제 쟁점사항
주5일 근무제에 대한 나의 느낌
(국내 카지노 산업 분석) 강원랜드의 구조와 경영 사례 분석 - 주5일 근무 도래에 따른 경영 ...
[통계] 27년간 한국 레져시장 1인당 레저비용 추이,경제,산업
주5일 근무제의 경제적효과와 문제점
(산업복지) 집중근무제도의 의의와 관련사례, 동영상 보고서
(근무시간 관리) 근무시간의 중요성과 근로시간의 단축, 탄력적 노동시간 및 주5일 근무제
(산업복지론) 집중근무제도와 노사간의 갈등해결 사례
창업아이템(사업아이템) 남성피부미용샵, 운동화빨래방, 창업아이템(사업아이템) 레저비즈니...
최근 서비스 산업(관광레저, 호텔, 레스토랑, 금융 또는 유형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체에서의...
지방의 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가 직장에서 제공한 숙소에서 사업현장까지 약 1km의 거리를...
최근 서비스 산업(관광레저, 호텔, 레스토랑, 금융 또는 유형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체에서의...
지방의 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가 직장에서 제공한 숙소에서 사업현장까지 약 1km의 거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