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혁명의 두가지 이념
Ⅲ. 농민과 노동자의 생활
Ⅳ. 결 론
Ⅱ. 혁명의 두가지 이념
Ⅲ. 농민과 노동자의 생활
Ⅳ. 결 론
본문내용
천천히 변화가 일어났다. 여러 곳에서 기업인은 재산을 몰수당하고 노동자가 공장과 기업을 인수하였다. 이러한 경우, 공장과 기업에 고용되어 있었던 사람은 그대로 남았다. 새로운 경제적 재조직의 진행과정에서 노동자는 스스로를 위한 경영 위원회를 만들었다. 1917년 10월 혁명 이후 모든 경제활동이 국가의 통제를 받게 되었을 때 이러한 산업 노동조합은 전체 생산을 이끌어 가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었다. 경제의 각 분야별로 인민위원회 다시 말해서 국가의 관리기구가 생겨났으며 이 기구의 맨 윗자리에 공산당 회원이 앉았다. 점차로 조합에 있어서 대부분의 중요한 자리는 공산당의 영향을 받았다. 얼마 안 있어 자유로운 노동조합은 볼쉐비스트 공산당의 하부기관이 되어 버렸다. 공산당은 정치뿐만 아니라 경제에 관해서도 결정권을 가졌다. 이러한 결정에 관하여 노동자가 참여 할 수 있는 권리는 없었다. 공장의 경영위원회는 모든 중요한 문제에 있어서 상부의 경제위원회의 지시에 따라야 했다. 이전의 개인 기업인과 마찬가지로 이제 국가가 전체 경제를 지배하였으며 노동자 개개인은 중앙중심의 톱니바퀴의 하나의 나사에 불과하였다(der einzelne Arbeiter nur eine Schraube im zentralistischen Raderwerk).
관료가 이끄는 권위주의적 국가경제는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한다. 모든 의사결정으로부터 제외된 노동자는 생산성에 대하여 거의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기대했던 생산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노동자는 개인소유에서 국가소유에로의 변화를 사회적 정의의 승리로 보지 않는다. 당과 국가의 권력이 강해질수록 노동자의 힘은 약해졌다. 농산물의 강제 징발은 식량부족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이러한 식량부족은 일할 수 있는 의욕을 감소시켰다. 노동조합은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와줄 것이라고 공산당은 희망했다. 1919년 1월 제2차 노동조합 총회의 결의는 다음과 같다.
생산수단의 사회화와 새로운 사회주의적 기초 위에서의 사회의 조직은 오랜 시간과 어려운 작업을 요구한다. 전체 국가기구가 개편되어야 함은 물론, 계산과 통제를 위한 새로운 기관이 생겨나야 하고 생산에 관한 의사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계에서 노동조합은 Sowjet(소비엥) 권력의 건설에 적극적으로 그리고 힘차게 참여해야 할 사명을 가진다. 이러한 과업의 필연적인 결과는 국가와 노동조합 사이의 유기적 결합, 그리고 밀접하고 조화 있는 공동협력이다.
이러한 결의에 따라서 노동조합 대표는 인민위원 회의에 참석하였다. 노동조합대표의 임무는 결정사항의 실천을 지지하는 것이었다. 공산당에 속하지 않은 노동조합 회원은 국가기관의 어떠한 회의에도 참석할 수 없었다. 내가 알고 있는 한, 좌익 사회혁명당원, 사회민주당원, Maximalst 혹은, Anarchosyndikalst 어떠한 사람도 관직에 임명되지 않았다.
이제 노동조합은 중앙중심 및 권위주의적으로 조직되었다. 혁명의 승리후 처음으로 노동자는 공장 안에서 위원회의 대의원 및 공장 밖의 보다 높은 노동조합 회의에 참석할 대표를 선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자유로이 선출한 대표제도는 곧 폐지되었다. 공산당 지도자와 공산주의적 노동조합 운영위원은 하나의 폐쇄된 써클을 형성했으며, 여기에 자유로이 선출된 노동자 대표는 자리를 가질 수 없었다. 자유롭고 혁명적인 대표제도 대신에 봉급을 받는 직업혁명가로 이뤄진 Sowjet 국가가 등장하였다. 혁명은 관료주의로 바뀌었다.
자유 선출에 의한 노동자 대표는 이미 1918년 1월 노동조합 회의에서 사라졌다. 2년이 채 못되어 관료주의적 중앙 권력기구는 문어발처럼 뻗어 러시아 전역에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Zar의 제정에 대항하여 일생을 바쳐온 혁명가는 이제 어떠한 돌파구도 찾을 수 없는 새로운 권력자의 관력기구 속에 갇혀 있음을 느낀다. 언젠가 트로츠키(Trotzki)는 "인간이 권력을 잡으면 권력의 좋은 결과뿐만 아니라 나쁜 결과까지도 이용하게 된다." 라고 말했다.
우리는 모든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혁명적 대중은 러시아를 Zar의 독재정치로부터 해방시켰다. 이제 공산주의자는 그들의 권력을 굳히고 난 뒤, 사회주의의 이름으로 새로운 독재정치를 이룩하였다.
러시아의 노동조합은 위로부터 아래에 이르기까지 독재적 기구의 모델(Modell)에 따라 활동한다. 모든 공장 노동자는 자동적으로 노동조합에 가입해야만 했다. 1920년 11월 전 러시아 노동조합 연맹은 4백 5십만의 회원을 가지고 있었다. 공산당의 목표는 이미 달성되었다. 노동조합은 생산 계획의 실천을 위한, 모스크바 경제위원회의 보조기관이 되었다. 이제 유일한 소유주 -국가- 만이 존재하며 노동자는 다른 고용주를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없다.
공장 지배인은 모스크바의 경제위원회로부터 임명되었다. 모스크바 경제위원회의 관리는 지역 노동조합 위원회에 있어서도 역시 대표성을 가졌다.
Ⅳ. 결론
프랑스 혁명이 부르짖었던 자유, 평등, 그리고 우애의 정신은 이제 전 인류를 복지사회로 이끌고 있다. "미래에는 어느 누구도 텅빈 왕궁 옆 다리 밑에서 잠을 자도록 강요되어서는 안되고, 많은 식량이 쌓여 있는 곳에서 굶주려서도 안되며, 모피(毛皮)창고 옆에서 추위에 떨어서도 안 된다."
1917년의 러시아 혁명은 러시아 민족의 염원과는 반대로, 레닌(Lenin)에 의해, 역류(逆流)하였다. "크론슈탈에 대한 볼쉐비키의 승리는 그 자체 속에 Bolschewismus의 패배를 간직하고 있었으며 볼쉐비즘은 공산주의 독재의 참다운 성격을 드러내었다. 공산주의자들은 국제 자본주의와 거의 모든 타협을 함으로써 그들 스스로, 기꺼이 공산주의를 희생시킬 의사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공산주의자들은 러시아 민족의 정당한 요구 -볼쉐비키 스스로가 10월 슬로건에서 외친-를 거절하였다."
※ 참고 문헌
『러시아 사상사』, 한기영 , 탐구당, 1989.
『러시아 혁명의 해석』, 한기영 , 제주대학교 출판부 , 1998.
「혁명의 개념」, 노명식, 제32회 전국 역사학 대회, 1989.
「제주대학교 논문집 제34집」, 한기영 , 제주대학교 출판부 , 1991.
관료가 이끄는 권위주의적 국가경제는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한다. 모든 의사결정으로부터 제외된 노동자는 생산성에 대하여 거의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기대했던 생산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노동자는 개인소유에서 국가소유에로의 변화를 사회적 정의의 승리로 보지 않는다. 당과 국가의 권력이 강해질수록 노동자의 힘은 약해졌다. 농산물의 강제 징발은 식량부족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이러한 식량부족은 일할 수 있는 의욕을 감소시켰다. 노동조합은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와줄 것이라고 공산당은 희망했다. 1919년 1월 제2차 노동조합 총회의 결의는 다음과 같다.
생산수단의 사회화와 새로운 사회주의적 기초 위에서의 사회의 조직은 오랜 시간과 어려운 작업을 요구한다. 전체 국가기구가 개편되어야 함은 물론, 계산과 통제를 위한 새로운 기관이 생겨나야 하고 생산에 관한 의사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계에서 노동조합은 Sowjet(소비엥) 권력의 건설에 적극적으로 그리고 힘차게 참여해야 할 사명을 가진다. 이러한 과업의 필연적인 결과는 국가와 노동조합 사이의 유기적 결합, 그리고 밀접하고 조화 있는 공동협력이다.
이러한 결의에 따라서 노동조합 대표는 인민위원 회의에 참석하였다. 노동조합대표의 임무는 결정사항의 실천을 지지하는 것이었다. 공산당에 속하지 않은 노동조합 회원은 국가기관의 어떠한 회의에도 참석할 수 없었다. 내가 알고 있는 한, 좌익 사회혁명당원, 사회민주당원, Maximalst 혹은, Anarchosyndikalst 어떠한 사람도 관직에 임명되지 않았다.
이제 노동조합은 중앙중심 및 권위주의적으로 조직되었다. 혁명의 승리후 처음으로 노동자는 공장 안에서 위원회의 대의원 및 공장 밖의 보다 높은 노동조합 회의에 참석할 대표를 선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자유로이 선출한 대표제도는 곧 폐지되었다. 공산당 지도자와 공산주의적 노동조합 운영위원은 하나의 폐쇄된 써클을 형성했으며, 여기에 자유로이 선출된 노동자 대표는 자리를 가질 수 없었다. 자유롭고 혁명적인 대표제도 대신에 봉급을 받는 직업혁명가로 이뤄진 Sowjet 국가가 등장하였다. 혁명은 관료주의로 바뀌었다.
자유 선출에 의한 노동자 대표는 이미 1918년 1월 노동조합 회의에서 사라졌다. 2년이 채 못되어 관료주의적 중앙 권력기구는 문어발처럼 뻗어 러시아 전역에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Zar의 제정에 대항하여 일생을 바쳐온 혁명가는 이제 어떠한 돌파구도 찾을 수 없는 새로운 권력자의 관력기구 속에 갇혀 있음을 느낀다. 언젠가 트로츠키(Trotzki)는 "인간이 권력을 잡으면 권력의 좋은 결과뿐만 아니라 나쁜 결과까지도 이용하게 된다." 라고 말했다.
우리는 모든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혁명적 대중은 러시아를 Zar의 독재정치로부터 해방시켰다. 이제 공산주의자는 그들의 권력을 굳히고 난 뒤, 사회주의의 이름으로 새로운 독재정치를 이룩하였다.
러시아의 노동조합은 위로부터 아래에 이르기까지 독재적 기구의 모델(Modell)에 따라 활동한다. 모든 공장 노동자는 자동적으로 노동조합에 가입해야만 했다. 1920년 11월 전 러시아 노동조합 연맹은 4백 5십만의 회원을 가지고 있었다. 공산당의 목표는 이미 달성되었다. 노동조합은 생산 계획의 실천을 위한, 모스크바 경제위원회의 보조기관이 되었다. 이제 유일한 소유주 -국가- 만이 존재하며 노동자는 다른 고용주를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없다.
공장 지배인은 모스크바의 경제위원회로부터 임명되었다. 모스크바 경제위원회의 관리는 지역 노동조합 위원회에 있어서도 역시 대표성을 가졌다.
Ⅳ. 결론
프랑스 혁명이 부르짖었던 자유, 평등, 그리고 우애의 정신은 이제 전 인류를 복지사회로 이끌고 있다. "미래에는 어느 누구도 텅빈 왕궁 옆 다리 밑에서 잠을 자도록 강요되어서는 안되고, 많은 식량이 쌓여 있는 곳에서 굶주려서도 안되며, 모피(毛皮)창고 옆에서 추위에 떨어서도 안 된다."
1917년의 러시아 혁명은 러시아 민족의 염원과는 반대로, 레닌(Lenin)에 의해, 역류(逆流)하였다. "크론슈탈에 대한 볼쉐비키의 승리는 그 자체 속에 Bolschewismus의 패배를 간직하고 있었으며 볼쉐비즘은 공산주의 독재의 참다운 성격을 드러내었다. 공산주의자들은 국제 자본주의와 거의 모든 타협을 함으로써 그들 스스로, 기꺼이 공산주의를 희생시킬 의사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공산주의자들은 러시아 민족의 정당한 요구 -볼쉐비키 스스로가 10월 슬로건에서 외친-를 거절하였다."
※ 참고 문헌
『러시아 사상사』, 한기영 , 탐구당, 1989.
『러시아 혁명의 해석』, 한기영 , 제주대학교 출판부 , 1998.
「혁명의 개념」, 노명식, 제32회 전국 역사학 대회, 1989.
「제주대학교 논문집 제34집」, 한기영 , 제주대학교 출판부 , 199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