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요서영유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제의 요서영유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요서영유 기사의 분석
2. 남북조의 백제ㆍ고구려관
3.낙랑ㆍ대방의 요서이동과 《송서》ㆍ《남제서》
Ⅲ. 결론

본문내용

대항키 위한 시대적 상황에서 백제의 영토권 주장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이러한 백제의 주장은 4세기 중엽부터 대립관계로 접어든 고구려에 대항하기 위하여 비롯된 듯 하며 475년 고구려의 한성점령 이후 심화된 듯하다. 《송서》의 撰者인 沈約은 4세기 후기의 혼동에 이은 5세기 후기의 백제의 이러한 낙랑, 대방에 대한 영유권 주장 및 허락에 따라서 그리고 남북조대의 백제와 낙랑, 대방에 대한 관념에 의하여 낙랑, 대방 요서이동을 고구려에 略有遼東에 대하여 백제의 略有遼西로 기록한 듯하다. 472년에는 이미 위에 공공연한 대방태수를 遺使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서 이러한 백제의 주장은 沈約이 송서를 편찬한 488년 이전에도 행하여 졌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송서 남제서에서는 진말 이후 이루어진 낙랑 대방의 이동사실을 백제와 관련된 세력으로 인식하고 기록하였기 때문에 오직 백제의 요서영유 내용은 다른 내용과 달리 초시제적인 내용이 될 수밖에 없었다. 양직공도에서는 실제로 백제의 요서영유 사실을 낙랑이 행한 것으로 기록하였다. 실로 백제의 요서영유를 낙랑과 대방으로 이해하면 위대이래 북조에서 형성된 백제와 고구려에 대한 인식을 '백제왕=대방군공', '고구려왕=요동군공'으로 인식하였으며 백제나 고구려에 대하여 뚜렷한 관념이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북쪽의 사서에서는 이들이 백제 요서영유 내용을 기록할 수 없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유원재,<주서 백제전 연구>(《百濟硏究》19,1998)
이홍직,<양직공도논고>(《한국고대사의 연구》新丘文化史,1971)
유원재,<중국정사백제전연구>(《한국상고사학보》4,1990)
고예익,<중국정사의 외국열전>(《동아교섭사연구》,서울대 出版部1983)
《한국사6삼국의 정치와 사회Ⅱ-백제 》국사편찬위원회,1995
이도학,( 《백제사 연구》,일조각, 1996)
이도학,(《고대국가 연구》,일지사,1998)
《三國史記》권 18,高句麗 本紀6.권 27 , 百濟本紀5
판원의종, <오세기の백제대왕とその 왕후>(《古代の 朝鮮》,學生社,1974)
三上次男,《古代東아시아硏究》(吉川弘文館,1977).
《통사》권185,百濟.
《자치통감》권88 ,권96,권95
《위서》권4下 本紀 ,권106 志5
《요사》권 39, 志 9 地理3.권100列傳88, 百濟
《남제서》권 58,列傳 39,百濟國. 권 58,列傳 39,百濟國,高麗國
《통전》권 185, 百濟
《진서》권9,帝紀9,
《송서》권 97, 列傳 57,東夷,高句麗.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9.23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84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