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만 현재가 아닌 고려시대라면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지금 향가의 음을 모두 잃어버렸다. 하지만 음과 노랫말이 온전했다면 오늘날도 천지귀신을 감동시킬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점을 생각한다면 향가가 삼국유사에 수록된 이유를 충분히 알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지금까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향가의 수록 유무에 따라 그 관점과 이유를 생각해 보았다. 아무 생각이 없었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대해 나름대로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고 옛것을 잘 보전해야 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좋은 시간이었다.
참고문헌
박진태외 5명「삼국유사의 종합적 연구」 박이정, 2002
여기현 「高典詩歌의 表象性」 月印, 1999
http://www.koreandb.net/Sam/SamInfo.htm
지금까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향가의 수록 유무에 따라 그 관점과 이유를 생각해 보았다. 아무 생각이 없었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대해 나름대로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고 옛것을 잘 보전해야 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좋은 시간이었다.
참고문헌
박진태외 5명「삼국유사의 종합적 연구」 박이정, 2002
여기현 「高典詩歌의 表象性」 月印, 1999
http://www.koreandb.net/Sam/SamInfo.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