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언어의 '합리성' 추구라는 또 하나의 방향을 설정해야겠다. 합리성의 추구는, 말을 더욱 합리적이며 효율적으로 가꾸어 나가려는 일련의 과정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향은 언어의 사회성이나 역사성과 충돌하는 면이 있기도 하겠지만, 우리는 우리말을 더욱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을 수 없다. 이것은 국어의 앞날을 위하여 더욱 절실히 요청되는 덕목이다.
우리말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더욱 가꾸고 보존하려는 마음으로 사용한다면 한글파괴현상은 그야말로 일련의 현상에서 그치겠지만, 그 위험성이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고 마구잡이로 사용한다면 우리말의 뿌리는 세대가 지날수록 약해지고 갈라지고 뽑혀버릴지도 모른다. 나부터가 한글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올바른 언어사용을 하길 바란다.
우리말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더욱 가꾸고 보존하려는 마음으로 사용한다면 한글파괴현상은 그야말로 일련의 현상에서 그치겠지만, 그 위험성이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고 마구잡이로 사용한다면 우리말의 뿌리는 세대가 지날수록 약해지고 갈라지고 뽑혀버릴지도 모른다. 나부터가 한글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올바른 언어사용을 하길 바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