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 리 말
Ⅰ.이단과 이성
Ⅱ. 상호협조의 원칙
Ⅲ. 아나키즘속에 크로포트킨
맺 음 말
Ⅰ.이단과 이성
Ⅱ. 상호협조의 원칙
Ⅲ. 아나키즘속에 크로포트킨
맺 음 말
본문내용
lanqui)가 그의 "정치경제사"에서 "유토피아 사회주의" "과학적 사회주의"와 같은 신조어 의 사용은 프루동(Proudhon)과 마르크스에로 거슬러 올라감을 보여준다. 사회주의는 여러 개의 방을 가진 대저택이 아니라 프루동이 경고한 '파문과 저주'의 바로 그 정신 속에 의견을 달리하는 전통이 눈에 보이는 이론과 실천의 집으로서 나타났다. 유토피아는 현실에 기초가 없는 하나의 이상적 사회질서에 대한 공상적 이론이 아니다.
여기에서 마르크스 이전의 사회주의 에 대한 '유토피아 사회주의 (Utopischer Sozialismus)'라는 타협이 가능하다. 바쿠닌이나 크로포트킨의 비판과 마찬가지로 소위 맑시스무스의 본질적인 부분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맑시스무스에 대한 비판은 언제나 "유토피아 사회주의"와 결합하여 있다. 유토피아 사회주의는 미래 사회에 대한 사상이다. 유토피아 사상은 긍정적인 면에서 결코 과거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 기초하여 미래를 건설하는 것이다. 자유주의적 사회주의의 목표는 물론 어느 정도 물질적 조건을 전제로 하지만, 변화한 물질적 조건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사회의 창조만은 아니다. 자유주의적 사회주의 목표는 우선 역사에 있어서 보은 긍정적이고 자유스러운 요인을 추구하는 과거에의 탐구이다. 바로 이러한 긍정적이고 자유스러운 요인으로부터 인간은 보편적으로 자유사회에서 살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구조적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맺음말
아나키스트라는 용어는 로베스피에르가 그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용하였으나 그 뒤 프랑스 혁명 당시 제거하기로 마음먹었던 좌파의 사람들을 공격하기 위하여 채택한 용어이다.
역사적 필연으로서의 자본주의 사회주의의 참다운 적이 아니라 맑시스트 역사철학의 테두리 안에서 경제적 발전을 가져오는 그럼으로써 아울러 정치적 발전을 가져오는 어느 정도 피할 수 없는 단계로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맑시스무스가 자유주의적 사회주의에 대응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맑시스트가 사용하는 '소시민이라든가 유토피아개념은 부정적 평가 내지는 적어도 비현실적 판단을 나타낸다. 그러한 판단은 과학적 사회주의로서 봐서는 오히려 논리적이고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유토피아 사회주의 및 그것을 옹호하는 사람은 여러 가지 잘못된 행위와 사상을 통하여 사회주의에 대하여 이익은커녕 오히려 더 많은 손해를 가져올 수 있다.
참고 문헌
초기 사회운동의 이념 (1997년)- 한기영
러시아 아나키스트 한기영
여기에서 마르크스 이전의 사회주의 에 대한 '유토피아 사회주의 (Utopischer Sozialismus)'라는 타협이 가능하다. 바쿠닌이나 크로포트킨의 비판과 마찬가지로 소위 맑시스무스의 본질적인 부분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맑시스무스에 대한 비판은 언제나 "유토피아 사회주의"와 결합하여 있다. 유토피아 사회주의는 미래 사회에 대한 사상이다. 유토피아 사상은 긍정적인 면에서 결코 과거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 기초하여 미래를 건설하는 것이다. 자유주의적 사회주의의 목표는 물론 어느 정도 물질적 조건을 전제로 하지만, 변화한 물질적 조건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사회의 창조만은 아니다. 자유주의적 사회주의 목표는 우선 역사에 있어서 보은 긍정적이고 자유스러운 요인을 추구하는 과거에의 탐구이다. 바로 이러한 긍정적이고 자유스러운 요인으로부터 인간은 보편적으로 자유사회에서 살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구조적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맺음말
아나키스트라는 용어는 로베스피에르가 그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용하였으나 그 뒤 프랑스 혁명 당시 제거하기로 마음먹었던 좌파의 사람들을 공격하기 위하여 채택한 용어이다.
역사적 필연으로서의 자본주의 사회주의의 참다운 적이 아니라 맑시스트 역사철학의 테두리 안에서 경제적 발전을 가져오는 그럼으로써 아울러 정치적 발전을 가져오는 어느 정도 피할 수 없는 단계로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맑시스무스가 자유주의적 사회주의에 대응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맑시스트가 사용하는 '소시민이라든가 유토피아개념은 부정적 평가 내지는 적어도 비현실적 판단을 나타낸다. 그러한 판단은 과학적 사회주의로서 봐서는 오히려 논리적이고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유토피아 사회주의 및 그것을 옹호하는 사람은 여러 가지 잘못된 행위와 사상을 통하여 사회주의에 대하여 이익은커녕 오히려 더 많은 손해를 가져올 수 있다.
참고 문헌
초기 사회운동의 이념 (1997년)- 한기영
러시아 아나키스트 한기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