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주의론: 제국주의, 신화와 현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제국주의론에 관한 종래의 견해

3. 제국주의론에 관한 박지향의 견해

4. 박지향의 제국주의론 연구에서 지적하고 싶은 사항

5. 박지향의 협력 이론에 관하여

6. 맺음말

본문내용

지의 원료 공급지, 상품시장으로서의 역할론을 구체적 자료를 들어 반박함으로써 국내 학계의 제국주의 연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볼 수 잇을 것이다.
다만, 연구가 영국제국주의 중심으로 전개됨으로써 강재재배제도를 실시한 네덜란드제국주의, 황국신민화정책으로 알려진 일본제국주의, 식민통치의 스타일에 있어 대영제국과 여러 모에서 상이했다고 알려진 프랑스제국주의에 관한 고찰을 총한 보다 일반적인 제국주의론의 도출은 추후의 연구과제로 남게 되었다고 하겠다.
# 참고문헌
金容九, 世界外交史, 서울大學校出版部, 1993
박지향, 제국주의 신화와 현실,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오의택, 제국주의론, 거름, 1993
E. Hobsbawn, 제국의 시대, 한길사, 1998
E. Hobsbawn, 극단의 시대: 20세기 역사 上, 까치, 1999
H. Wright, 제국주의란 무엇인가, 까치, 1981
P. Kennedy, 强大國의 興亡, 韓國經濟新聞社, 1993
V. Lenin, 제국주의: 자본주의 발전의 최고단계, 과학과 사상, 1988
V. Lenin,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고단계로서, 돌베개, 1992
W. J. Mommsen, 제국주의의 이론, 돌베개, 1983
  • 가격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10.05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5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