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처음
2.중간
1)도시철도 노선도
①기하적인 측면
②기술적인 측면
③표현적인 측면
④미적인 측면
⑤정보전달 측면
⑥도시철도 노선도의 개선방안
2)주변지역 안내도
3.끝
2.중간
1)도시철도 노선도
①기하적인 측면
②기술적인 측면
③표현적인 측면
④미적인 측면
⑤정보전달 측면
⑥도시철도 노선도의 개선방안
2)주변지역 안내도
3.끝
본문내용
제거, 중요한 부분을 강조/과장)
하여 그 정보를 균형 잡힌 지 도 설계 틀에 기호/부호
분류에 의한 자료의 graphic coding, 상대적 중요도와 위치를 고려
로 알맞게 표시되었다.
④미적인 측면
시각적 인지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어린이 대공원은 녹색으로 대학교는 하늘색 으로 표현되어 있다. 또한 자칫 방향을 잃기 쉬운 복잡한 역사내부에서 자신의 위치를 간략한 점으로나마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출구별로 번호가 기재되 어 있으며, 오른 측면에 별도로 표시된 출구별 버스 안내문을 참고로 하여 신속 하고 편리한 환승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⑤정보전달 측면
지형의 지나친 생략과 간략한 표현으로 인하여 정보의 인식단계에서 오류가 발 생 할 수 있으며 특정건물의 지나친 과장 또한 현실지형과의 왜곡으로 인하여 혼 선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관공서가 지도상에는 아주 알아보기 쉽도록 나타났지만 주변건물과의 위상을 심각하게 왜곡하면 오히려 실제로는 그 위치에 있더라도 발견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리고 역사 내부의 통로 묘사에서도 지나치 게 간략하게 표현하여 오히려 길을 잃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
⑥주변지역 안내도의 개선방안
일단은 주변지역안내도를 보다 상세하게 보완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는 판독의 불편함을 낳을 가능성이 있기에 지양하고 도시철도 노선도의 개선방안 에서 제안한 것처럼 복수의 지도를 다른 축척을 적용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장 현 실적인 방법이라 본다. 그럼으로써 더욱 많은 정보를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 요구 수준에 맞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단말기를 설치하여 주변지역을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 은 방안일 것이다.
3. 끝
모든 지도가 그렇겠지만 지도 사용자가 원하는 완벽한 지도는 있을 수가 없다. 특히 도시철도 노선도와 주변지역 안내도의 경우 한 가지 측면을 강조하면 다른 한 가지 측면이 부족해진다.(예: 기술적인 측면을 강조->미적인 측면 약화됨) 하지만 나의 경우로 판단할 때 현재의 노선도와 안내도로도 부족함 없이 정보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단지 지하철을 자주 접하지 않는 사람들이 봤을 때 좀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위에서 살펴본 개선방안들을 고려한다면 좀더 유용한 지도가 될 거라 생각된다.
4. 참고 자료
1) 지리학 개론 교재
2) http://www.happycampus.com/pages/2003/06/10/D1232465.html
하여 그 정보를 균형 잡힌 지 도 설계 틀에 기호/부호
분류에 의한 자료의 graphic coding, 상대적 중요도와 위치를 고려
로 알맞게 표시되었다.
④미적인 측면
시각적 인지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어린이 대공원은 녹색으로 대학교는 하늘색 으로 표현되어 있다. 또한 자칫 방향을 잃기 쉬운 복잡한 역사내부에서 자신의 위치를 간략한 점으로나마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출구별로 번호가 기재되 어 있으며, 오른 측면에 별도로 표시된 출구별 버스 안내문을 참고로 하여 신속 하고 편리한 환승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⑤정보전달 측면
지형의 지나친 생략과 간략한 표현으로 인하여 정보의 인식단계에서 오류가 발 생 할 수 있으며 특정건물의 지나친 과장 또한 현실지형과의 왜곡으로 인하여 혼 선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관공서가 지도상에는 아주 알아보기 쉽도록 나타났지만 주변건물과의 위상을 심각하게 왜곡하면 오히려 실제로는 그 위치에 있더라도 발견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리고 역사 내부의 통로 묘사에서도 지나치 게 간략하게 표현하여 오히려 길을 잃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
⑥주변지역 안내도의 개선방안
일단은 주변지역안내도를 보다 상세하게 보완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는 판독의 불편함을 낳을 가능성이 있기에 지양하고 도시철도 노선도의 개선방안 에서 제안한 것처럼 복수의 지도를 다른 축척을 적용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장 현 실적인 방법이라 본다. 그럼으로써 더욱 많은 정보를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 요구 수준에 맞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단말기를 설치하여 주변지역을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 은 방안일 것이다.
3. 끝
모든 지도가 그렇겠지만 지도 사용자가 원하는 완벽한 지도는 있을 수가 없다. 특히 도시철도 노선도와 주변지역 안내도의 경우 한 가지 측면을 강조하면 다른 한 가지 측면이 부족해진다.(예: 기술적인 측면을 강조->미적인 측면 약화됨) 하지만 나의 경우로 판단할 때 현재의 노선도와 안내도로도 부족함 없이 정보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단지 지하철을 자주 접하지 않는 사람들이 봤을 때 좀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위에서 살펴본 개선방안들을 고려한다면 좀더 유용한 지도가 될 거라 생각된다.
4. 참고 자료
1) 지리학 개론 교재
2) http://www.happycampus.com/pages/2003/06/10/D1232465.html
추천자료
법대로 - 도시계획법
법대로 - 도시계획법 시행규칙
법대로 - 도시계획법 시행령
산(山)의 도시-중경(重慶)에 대하여
수도권 광역철도 사업에대해(광역 교통체제)
철도여행-중동과 인도
인도 주요 도시 분석에 기초한 지역간 불균형에 관한 연구
[베를린] 문화의 도시 베를린 문화분석
청주시 교통체계의 개선과 도시발전에 관한 연구
부산항(부산항만)의 성격과 물동량, 부산항(부산항만)의 신항사업과 도시네트워크화, 부산항(...
영국의 산업화 시대의 개념 역사, 유래, 산업혁명 이전의 상황, 식민지, 식민도시개발, 영국 ...
영국 산업화 시대의 개념 역사, 유래, 산업혁명 이전의 상황, 식민지, 식민도시개발, 영국 제...
한국건축의 역사 12장 도시 변화와 건축의 근대성 모색
[행정기획론]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계획에 대한 비판적 검토 - 2025년 울산 도시 기본 계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