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근대도시로의 전환
Ⅱ. 식민통치 시설의 확산
Ⅲ. 민족자본과 기독교세력의 서양식 건축
Ⅳ. 농촌지역 주택의 변모
Ⅴ. 새로운 건축기술 수용의 제약
Ⅱ. 식민통치 시설의 확산
Ⅲ. 민족자본과 기독교세력의 서양식 건축
Ⅳ. 농촌지역 주택의 변모
Ⅴ. 새로운 건축기술 수용의 제약
본문내용
은 약 20호 집들이 야산을 끼고 모여 있으며, 마을 입구에
하나의 큰 솟을대문이 세워진 점을 볼 수 있다.
2. 주택의 변화Ⅱ
* 개별 주택에서도 이 시기 농촌의 주택은 새로운 면모를 보였다.
- 주택의 전체 규모가 커졌고, 특히 실내 공간의 확장 경향이 두드러졌다.
* 경기도 화성군의 안재홍 생가
- 과거의 구조에 변화를 가미하여 부엌과 안방 사이에 반칸 정도의 틈을 만들어 부엌에서 직접
대청으로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 경기도, 충청남도 일대 농촌 가옥
- ㄱ자형의 안채와 문간채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취하는 튼ㅁ자 형태를 취하는 집들을
흔하게 볼 수 있다.
* 풍수지리설이나 역서에 입각한 양택서(陽宅書)의 출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 그 이후 서울 등 일부 대도시에서는 한국인이 짓는 양옥집 또한 등장하기 시작함.
Ⅴ. 새로운 건축기술 수용의 제약
1. 기술의 차단 : 한국인 기술자는 20세기에 들어 서양식 건물의 기술적 통로가 완전히 차단되고 만다.
* 한국인 기술자들은 신기술과의 접촉을 포기하고 농촌으로 물러나 한옥의 재생산에 머무르게 된다.
* 근대적 건축기술인 포트란드 시멘트 및 판유리, 서양식 둥근 못이 도입되면서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건축물들이 지어지기 시작하였지만, 이 기술들은 일본인에 의해 독점되어 있었다.
* 1907년 한국정부는 공업전습소를 설치하여 새로운 기술 교육을 전담하고자 했고, 그 안에는
목공과도 들어있었다.
-그러나 시기상 교수진 전원이 일본인이었으며, 일본 식민 지배를 위한 하부 기술자 육성을
목적으로 운영될 수 밖에 없었다.
* 1920년까지 근대적 건물 설계 업무는 완전히 차단되어 있었으며, 건설업의 경우 일본인의 독점은
더욱더 심했다.
* 자재에 있어 목재는 공급 방식이 다양하며 한국인들에게는 어느 정도 활기를 띈 분야였다.
- 농촌 지역에서 한옥 건설의 비교적 활발히 전개되었기 때문에 목재 유통도 어느 때보다
활기를 띠었다.
* 도량형의 통일은 한국인의 건축 활동을 크게 위축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는데, 일본에서
사용하는 도량형으로 바꾸어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기술자들은 근대적인 건물에 참여하기 위해서
도량형 집기를 구매해야 하는등 한국 기술자에게는 또 하나의 장벽이었다고 생각된다.
* 한국 기술자들은 눈앞에 보이는 변화하는 새 시대의 물결을 따라가지 못하고, 재래의 건축 세계에
머무를 수 밖에 없었기에 이 시기는 역사상 최악의 시기였다고 평가된다.
하나의 큰 솟을대문이 세워진 점을 볼 수 있다.
2. 주택의 변화Ⅱ
* 개별 주택에서도 이 시기 농촌의 주택은 새로운 면모를 보였다.
- 주택의 전체 규모가 커졌고, 특히 실내 공간의 확장 경향이 두드러졌다.
* 경기도 화성군의 안재홍 생가
- 과거의 구조에 변화를 가미하여 부엌과 안방 사이에 반칸 정도의 틈을 만들어 부엌에서 직접
대청으로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 경기도, 충청남도 일대 농촌 가옥
- ㄱ자형의 안채와 문간채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취하는 튼ㅁ자 형태를 취하는 집들을
흔하게 볼 수 있다.
* 풍수지리설이나 역서에 입각한 양택서(陽宅書)의 출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 그 이후 서울 등 일부 대도시에서는 한국인이 짓는 양옥집 또한 등장하기 시작함.
Ⅴ. 새로운 건축기술 수용의 제약
1. 기술의 차단 : 한국인 기술자는 20세기에 들어 서양식 건물의 기술적 통로가 완전히 차단되고 만다.
* 한국인 기술자들은 신기술과의 접촉을 포기하고 농촌으로 물러나 한옥의 재생산에 머무르게 된다.
* 근대적 건축기술인 포트란드 시멘트 및 판유리, 서양식 둥근 못이 도입되면서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건축물들이 지어지기 시작하였지만, 이 기술들은 일본인에 의해 독점되어 있었다.
* 1907년 한국정부는 공업전습소를 설치하여 새로운 기술 교육을 전담하고자 했고, 그 안에는
목공과도 들어있었다.
-그러나 시기상 교수진 전원이 일본인이었으며, 일본 식민 지배를 위한 하부 기술자 육성을
목적으로 운영될 수 밖에 없었다.
* 1920년까지 근대적 건물 설계 업무는 완전히 차단되어 있었으며, 건설업의 경우 일본인의 독점은
더욱더 심했다.
* 자재에 있어 목재는 공급 방식이 다양하며 한국인들에게는 어느 정도 활기를 띈 분야였다.
- 농촌 지역에서 한옥 건설의 비교적 활발히 전개되었기 때문에 목재 유통도 어느 때보다
활기를 띠었다.
* 도량형의 통일은 한국인의 건축 활동을 크게 위축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는데, 일본에서
사용하는 도량형으로 바꾸어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기술자들은 근대적인 건물에 참여하기 위해서
도량형 집기를 구매해야 하는등 한국 기술자에게는 또 하나의 장벽이었다고 생각된다.
* 한국 기술자들은 눈앞에 보이는 변화하는 새 시대의 물결을 따라가지 못하고, 재래의 건축 세계에
머무를 수 밖에 없었기에 이 시기는 역사상 최악의 시기였다고 평가된다.
추천자료
세계화와 민족주의
新자원민족주의 시대의 해외에너지 업계 전략적 M&A 성공전략
1970년대 새마을운동과 박정희 정권의 농촌근대화정책
러시아 민족문제와 민족정책
생명자원학부 식량자원 세미나 수업 - 농업 ․ 농촌의 가치 재발견
소수민족 여성들의 슬픔,소수민족의현실극복과문제점,가부장적모습과문제점,소수민족여성들의...
[민족운동][청년운동][3.1운동][민족실력양성운동][민족통일운동]민족운동과 청년운동, 민족...
[좌파(좌익), 이탈리아 공산당, 영국 노동당, 브라질 노동자당]좌파(좌익)와 이탈리아 공산당...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 유래,신화,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 주거, 아이누(아이...
‘계몽’으로 표상 된 ‘농촌’ -1930년대 초
아랍민족주의의 등장과 발전방향 (와하브 운동, 근대의 아랍민족주의, 아랍민족주의의 저항)
[세계의정치와경제] 세계화 시대에 남북이 하나 되어 통일된 민족국가를 이루는 것이 지닐 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