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 유래,신화,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 주거,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와 고산족,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와 만주족, 아이누(아이누족,아이누민족)와 제주도 구비서사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 유래,신화,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 주거,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와 고산족,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와 만주족, 아이누(아이누족,아이누민족)와 제주도 구비서사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의 유래
1. Ethnic Identity를 둘러싼 연구
2. 일본의 Ethnic Group

Ⅲ.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의 신화
1. 명칭
2. 갈래
1) 카무이 유카르(Kamui yukar)
2) 오이나(Oina)
3) 유카르(Yukar)
4) 맛 유카르(Mat-yukar)

Ⅳ.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의 주거

Ⅴ.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와 고산족
1. 명칭
1) 아이누족
2) 고산족
2. 거주지역
1) 아이누족
2) 고산족
3. 언어
1) 아이누족
2) 고산족

Ⅵ.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와 만주족

Ⅶ.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와 제주도 구비서사시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보편성에 주목하면서 지역적 특수성에 착안하여 시작되었다. 조동일은 동아시아 구비서사시의 양상과 변천이라는 저작에서 제주도의 본풀이와 아이누민족의 유카르나 오이나에 관한 흥미로운 비교를 시작했다. 제주도에 전승되는 신앙서사시, 창세서사시, 여성영웅서사시, 남성영웅서사시, 신앙비판서사시, 성자서사시, 생활서사시가 아이누민족의 서사시에서도 여성영웅서사시를 제외하고 모두 등장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래서 kamuy yukar가 oina와 무슨 관계가 있으며 영웅서사시의 상호관계를 통시적으로 추정해서 가설을 제기한 바 있어서 주목된다.
이경애는 제주도의 당신본풀이와 아이누민족의 영웅서사시 가운데 oina, ainu yukar, menoko yukar 등을 적절한 대상으로 선정하여 영웅서사시의 구조로 비교한 바 있다. 영웅서사시라고 하는 관점에서 두 곳의 서사시를 비교한 점에 의의가 있으나, 영웅서사시의 면모가 온전히 밝혀진 것이라 보기 어렵다. 특히 다양한 서사시를 일관되게 바라보아야 한다는 원칙론에 입각해서 본다면, 최원오는 동아시아 비교서사시학이라는 저작에서 아이누의 <大傳 porooina>, <시조신의 자서 aeoina-kamui yaieyukar>, <쿠투네 시르카 ktune shirka>, <자장가-울면서 부르는 노래 lyonnotka chish-oritak> 네 편을 검토하고서 이것이 무속영웅서사시로 어떠한 의의가 있는가 밝혔다. 이들 신이 모두 인간세상의 악을 끼치는 악마나 재해를 끼치는 적대자를 물리치고서 인간세상을 평화롭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이들 신의 무속적 영웅의 면모를 상세하게 기술했다. 그러나 과연 무속영웅서사시로 이들의 작품을 포괄할 수 있는가 의문이다.
조동일, 이경애, 최원오의 연구는 제주도의 본풀이를 기본적인 근거로 삼아서 구비서사시의 통시적 단계 추정, 영웅서사시적 면모, 무속영웅서사시로서의 면모 등을 아이누의 유카르나 오이나와 비교하려고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정작 우리가 궁금하게 여기는 사실은 제주도의 본풀이와 아이누민족의 유카르가 비교될 수 있다면, 먼저 그 실상이 무엇이고 어떠한 구비서사시적 특성이 있는가 알고 싶다는 점이다.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에 관한 기본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두 지역의 자료를 비교하는 것은 어찌 보면 혼란스럽기까지 하다는 점에서 의문이 앞선다. 다만 구비서사시의 역사적 단계가 서사시의 증거에 의해서 운용된다는 추정은 유효한데, 통시적 추론에 앞서서 공시적 양상에 관한 충분한 비교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과정을 거쳐서 제주도의 본풀이와 아이누민족의 유카르가 비교되어야 마땅하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주도의 본풀이와 아이누민족의 유카르에 관한 실상 접근에 주력하고자 한다. 제주도에는 본풀이 자체가 삼분법 내지 사분법이 존재한다. 조상신본풀이, 당신본풀이, 일반신본풀이 또는 조상신본풀이, 당신본풀이, 일반신본풀이, 특수본풀이 등이 그것이다. 본풀이가 각기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누가 구전하고, 어떠한 의례에서 거행되며, 주제가 무엇인가 하는 점을 비교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이누민족의 유카르는 견해에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kamuy yukar, oina, yukar, mat-yukar 등이 있다고 하는데, 그것이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누가 구전하고, 어떠한 과정에 전승되고, 주제가 무엇인가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분법은 분석 범주가 아니라 토착적 갈래 구분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유효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사실 비교를 통해서 제주도의 본풀이와 아이누민족의 yukar에 관한 비교 가능성이 도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주도의 본풀이가 어떠한 언어로 되어 있으며, 전승의 주체가 누구이고, 구비서사시의 전승법칙과 어떠한 관련이 있으며, 어떠한 의례에서 연행되는가 비교가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아울러서 이러한 구비서사시의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해서도 상세한 비교 논의가 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비교 논의를 통해서 제주도의 본풀이와 아이누민족의 서사시가 구비서사시의 사례로 어떠한 보편성을 지니게 되는가 충분히 비교될 수 있으며, 그것의 존재 의의가 증명되리라 기대된다.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비교 연구는 한국 측에서 활발하게 연구하게 되었다. 아이누민족은 제주도 사람과는 다르게 일본인들에 의해서 철저하게 지배당하고 있다. 현재 아이누인의 법적 지위는 <舊土人保護法>에 의해서 규정되고 있으며, 1994년 당시에 북해도 전체 인구의 0.6%에 해당하는 2만 5천여 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으며 오늘날 그 수가 자연적 사망으로 인해서 줄어들고 있다. 아이누인들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견지하기 위해서 アイヌ語교실을 열고 남녀노소 할 것 없이 kamuy yukar를 통해서 언어를 배우려는 눈물겨운 노력이 행해지고 있다.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를 비교하는 것은 아이누인 자신뿐만 아니라, 한국과 일본을 위해서도 요긴하고, 동아시아와 인류 전체를 위해서도 시급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비교 연구는 제주도와 아이누의 비교를 위한 본격적인 논의의 서장으로 가치가 있다. 이러한 비교 연구는 어떠한 예단된 전제 없이 사실 자체로 비교해야 마땅하다. 급격한 전승의 소멸 위기에 있는 제주도의 본풀이나 아이누의 유카르 역시 인류문화의 다원성에 근거한 소수민족문화의 소멸이라는 각도에서 비교 논의해야 바람직한 결론에 이를 수 있다.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전승이 단절 단계라 하더라도 그들의 독자적인 문화가 어떠한 시각에서 유지되었는가 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제주도와 아이누의 구비서사시 전승과 보존 방안을 찾기 위한 것이다.
참고문헌
강순제(2001), 아이누인의 문화적 특성과 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강순제(2000), 북해도지역의 문화적특성과 아이누(AINU)인, 가톨릭대학교
김현경(2006), 몽골의 골외 정벌과 아이누의 형성과정, 서울대학교
박정임(2009), 아이누민담 연구, 강원대학교
이정재(2001), 아이누족의 곰 축제, 중앙대학교
조아라(2008), 일본의 아이누 문화정책과 소수민족 정체성의 사회적 구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