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론
(1) 와하브 운동
(2) 근대의 아랍민족주의
(3) 아랍민족주의의 저항
3. 결 론
참 고 문 헌
2. 본론
(1) 와하브 운동
(2) 근대의 아랍민족주의
(3) 아랍민족주의의 저항
3.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랍 반란에는 제국적이고 정치적인 무게가 실렸다. 왜냐하면, 아랍군이 다마스쿠스에 대한 프랑스의 영유 주장을 배제하기 위해 서둘러 입성했기 때문이다. 도시로 진입하자 하심군은 곧 도시 지배권을 인수하였다. 그리고 시리아 주민은 그를 왕으로 추대하여 시리아 왕국을 세웠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 기간 중 오토만제국을 와해시키고자 아랍 민족주의를 후원했던 영국은 제1차 세계대전 후에 아랍 민족을 배반하고, 프랑스와 비밀리에 사이크스-피코 협정 서재만,「제1차세계대전 후 강대국의 대아랍 전후처리에 관한 연구」,韓國外國語大學校 中東問題硏究所, 1995. pp. 12~13
을 맺어 아랍 점령지를 영국과 프랑스의 위임통치령으로 설정했다. 사이크스-피코 협정이란 오토만제국의 분할을 결정한 협정으로 오토만제국의 영토였던 시리아, 이라크, 레바논, 팔레스타인을 프랑스와 영국의 관할 지역으로 분배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서구 열강들은 이렇게 아랍민족주의를 이용해서 제1차 세계대전을 유리하게 이끌어 나갔지만 결국 이러한 이중적 행위를 저질렀다. 이 당시의 일들이 아랍 민족주의가 영국의 통치에 저항하는 반식민주의적 성향을 보이게 되는 중요한 계기이자, 오늘날의 시리아 지역이 아랍 민족주의의 중심지가 된 원인이기도 하다.
5. 결론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이슬람 세계를 통일하고 초강대국으로 성장한 오토만제국은 정치의 안정화를 위해 이슬람 법 샤리아에 입각해 관대한 통치 정책을 유지했으며, 조세율을 억제하고 지방의 자주성을 인정해 주었다. 하지만 관대한 정책만으로 대제국을 유지하고 유럽의 열강들과 대결하는데 충분한 비용을 마련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고, 이런 상황에서 국가를 유지하고 성장시키기 위한 동력은 지속적 확장 정책이나 중앙집권화의 시도였다. 이에 따라 아랍권에서는 오토만제국에 대해 저항하는 와하브 운동을 통한 개혁의 움직임이 일었다. 또한 1914년 유럽 제국주의 열강들의 경쟁적 팽창에서 상호충돌을 가져옴으로써 발생한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함에 따라 유럽의 서구열강들 뿐만 아니라 오토만제국의 지배에 있던 아랍 국가들에까지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오토만제국이 제1차세계대전을 치르자 아랍의 국가들은 오토만제국에 대항해 전쟁을 하였고 영국 등의 서구 열강이 이를 지원하자 아랍민족주의의 저항은 더욱 힘을 얻게 되었다. 결국 아랍민족주의는 오토만제국에 대해 저항하는 방법으로 등장하여 오토만제국의 몰락에 기여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서재만,「제1차세계대전 후 강대국의 대아랍 전후처리에 관한 연구」,韓國外國語大學校 中東問題硏究所, 1995.
인남식, 「중동지역의 지배 전환 이데올로기에 관한 연구 : 아랍민족주의와 이슬람원리주의 비교 고찰」,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6.
21세기 중동이슬람문명권 연구사업단, 『중동정치의 이해 1, 2, 3』, 한울아카데미, 2006.
홍순남,『중동정치 질서의 이해』,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1997.
Matthew Hughes, William J. Philpott,『제1차 세계대전』, 나종남, 정상협 옮김, 생각의나무, 2008.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 기간 중 오토만제국을 와해시키고자 아랍 민족주의를 후원했던 영국은 제1차 세계대전 후에 아랍 민족을 배반하고, 프랑스와 비밀리에 사이크스-피코 협정 서재만,「제1차세계대전 후 강대국의 대아랍 전후처리에 관한 연구」,韓國外國語大學校 中東問題硏究所, 1995. pp. 12~13
을 맺어 아랍 점령지를 영국과 프랑스의 위임통치령으로 설정했다. 사이크스-피코 협정이란 오토만제국의 분할을 결정한 협정으로 오토만제국의 영토였던 시리아, 이라크, 레바논, 팔레스타인을 프랑스와 영국의 관할 지역으로 분배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서구 열강들은 이렇게 아랍민족주의를 이용해서 제1차 세계대전을 유리하게 이끌어 나갔지만 결국 이러한 이중적 행위를 저질렀다. 이 당시의 일들이 아랍 민족주의가 영국의 통치에 저항하는 반식민주의적 성향을 보이게 되는 중요한 계기이자, 오늘날의 시리아 지역이 아랍 민족주의의 중심지가 된 원인이기도 하다.
5. 결론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이슬람 세계를 통일하고 초강대국으로 성장한 오토만제국은 정치의 안정화를 위해 이슬람 법 샤리아에 입각해 관대한 통치 정책을 유지했으며, 조세율을 억제하고 지방의 자주성을 인정해 주었다. 하지만 관대한 정책만으로 대제국을 유지하고 유럽의 열강들과 대결하는데 충분한 비용을 마련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고, 이런 상황에서 국가를 유지하고 성장시키기 위한 동력은 지속적 확장 정책이나 중앙집권화의 시도였다. 이에 따라 아랍권에서는 오토만제국에 대해 저항하는 와하브 운동을 통한 개혁의 움직임이 일었다. 또한 1914년 유럽 제국주의 열강들의 경쟁적 팽창에서 상호충돌을 가져옴으로써 발생한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함에 따라 유럽의 서구열강들 뿐만 아니라 오토만제국의 지배에 있던 아랍 국가들에까지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오토만제국이 제1차세계대전을 치르자 아랍의 국가들은 오토만제국에 대항해 전쟁을 하였고 영국 등의 서구 열강이 이를 지원하자 아랍민족주의의 저항은 더욱 힘을 얻게 되었다. 결국 아랍민족주의는 오토만제국에 대해 저항하는 방법으로 등장하여 오토만제국의 몰락에 기여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서재만,「제1차세계대전 후 강대국의 대아랍 전후처리에 관한 연구」,韓國外國語大學校 中東問題硏究所, 1995.
인남식, 「중동지역의 지배 전환 이데올로기에 관한 연구 : 아랍민족주의와 이슬람원리주의 비교 고찰」,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6.
21세기 중동이슬람문명권 연구사업단, 『중동정치의 이해 1, 2, 3』, 한울아카데미, 2006.
홍순남,『중동정치 질서의 이해』,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1997.
Matthew Hughes, William J. Philpott,『제1차 세계대전』, 나종남, 정상협 옮김, 생각의나무, 200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