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화대본 영어 학습의 정의
2. 영화대본과 인터넷 영어 학습의 활용법
3. 관련 site소개
4. 영화 대본학습의 효과
* 참고(참고 표시는 *로 했음)
2. 영화대본과 인터넷 영어 학습의 활용법
3. 관련 site소개
4. 영화 대본학습의 효과
* 참고(참고 표시는 *로 했음)
본문내용
al/
(3) 전세계 도서관들의 주소와 정보를 담고 있는 OPAC
Report를 제출하라는 교수님의 말씀에 재빨리 도서관으로 가서 자료를 찾지만 그나마 있던 자료들은 모두 대출이 된 상태. 어떻게 해야 할까? 역시 가장 좋은 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 인터넷의 막강한 정보검색 기능을 통해 집 안에 앉아서도 태평양을 건너 미국 의회도서관에 있는 자료들을 검색할 수 있고, 세계 유명 대학의 도서관에서 자신이 필요한 논문을 찾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내외 도서관들의 주소와 정보를 담고 있는 전세계 도서관 온라인 열람목록 및 웹서버(OPAC Online Public Access Catalogue (http://biblio.kbsi.re.kr/lib_links/links.html) 하나만 알아두면 인터넷 정보검색으로 최고의 Report를 작성할 수 있다.
OPAC Online Public Access Catalogue는 국내 도서관 온라인 열람목록을 비록하여 국내 도서관 웹서버, 국외 도서관, 학술정보 추천 웹 사이트, 한국과학재단지정 전문정보센터까지 공개하고 있어 인터넷을 통해 학술정보를 얻을 수 있는 가장 확실하고 유용한 사이트로 손꼽힌다. 모두 97개 기관의 IP 주소, 접근방법, 정보관리 시스템, 검색정보, 사용방법, 유의사항, 관련 정보 등을 표준형식으로 수록하고 있어 이용자들은 보다 쉽게 학술정보 자료를 추적할 수 있다.
(4) 온라인 서점 ‘아마존’
약 백만 권의 장서를 자랑하며 가격도 저렴한 편이다. 아마존(http://www.amazon.com)은 단지 책이 많다는 것 말고도 신간 소개, 독자들의 서평, 각 잡지의 서평, 저자와의 대화, 전문가 추천 서적 등 다양한 메뉴를 준비, 책무더기 속에서 이 책 저 책을 살펴보는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특히 홈페이지에서 search를 선택하면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Keyword Search), 저자, 제목, 주제 검색 (Author, Title, Subject Search), 특색 있는 검색 (Our Full-featured Search Form), 검색언어 (Our Search Language) 등 4가지 검색방법을 이용해서 원하는 책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원하는 책을 선택한 후, 신용카드 번호만 입력하면 구입절차는 모두 끝난다.
. 리포트 데이터베이스 사이트
1. SchoolSucks( http://www.schoolsucks.com) Cool Site
2. Evil House of Cheat( http://www.cheathouse.com) Hot Site
‘스쿨 썩스’는 지금까지 32만명이 접속, 과히 그 명성을 짐작케 한다. 학생들이 학기중 리포트나 기말논문으로 제출하는 과제물들을 모아 주제별로 분류, 데이터베이스(DB)로 만들어 놓고 있어서, 숙제를 채 하지 못한 학생들이 마우스 클릭 몇 번으로 적당한 내용을 찾아 복사한 뒤 살짝 이름만 바꿔쓰면 깜쪽같이 자신의 보고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속임수의 집’ 역시 40여개의 분야에 걸친 4,000여 편의 논문을 검색할 수 있다.
Homework Helper( http://www.trabuco.org)
과학 숙제를 하다가 어려움이 생기면 전자메일을 통해 도움을 요청하면 된다. 그러면 케이티 선생님이 친절하게 48시간 내에 질문에 대한 답을 보내준다. 세계 여러나라 학생들의 숙제를 돕고 있는 이 사이트는 질문이 폭주할 때는 트라뷰코 출신 졸업생들에게 우선권이 주어지기도 한다.
4. Math Tutor (http://www.fliegler.com/mathman.htm)
쉬운 덧셈에서부터 대학생 수준의 미분·적분문제까지 꼼꼼히 풀어 답안을 제시해 주는 유용한 과제물 도우미 사이트다. 이름과 전자우편 주소 등 비교적 간단한 사항만 표시한 후, 문제만 보내면 되기 때문에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나라의 학생이라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직접적인 ‘숙제 해결사’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수학·과학 과목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학생이라면 한번쯤 도움을 요청해 볼만하다.
4. 이로서 영어 관련 사이트 및 영어대본(SCRIPT)을이용한 학습방법을 살펴보았다. 우선적으로 언어를 배우는 것에 있어 재미와 학습 두영역에서의 효과를 볼 수있는 것이 이러한 인터넷 상의 여러 사이트를 통해서 여러형식을 이용하여 무료로 공부룰 할수 있게 제공해주는 사이트를 기억해서 이용한다면 영어와 더욱 친숙해지며 생생한 현지언어를 배우는 좋은 계기가될 수 있을 것이다.
(3) 전세계 도서관들의 주소와 정보를 담고 있는 OPAC
Report를 제출하라는 교수님의 말씀에 재빨리 도서관으로 가서 자료를 찾지만 그나마 있던 자료들은 모두 대출이 된 상태. 어떻게 해야 할까? 역시 가장 좋은 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 인터넷의 막강한 정보검색 기능을 통해 집 안에 앉아서도 태평양을 건너 미국 의회도서관에 있는 자료들을 검색할 수 있고, 세계 유명 대학의 도서관에서 자신이 필요한 논문을 찾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내외 도서관들의 주소와 정보를 담고 있는 전세계 도서관 온라인 열람목록 및 웹서버(OPAC Online Public Access Catalogue (http://biblio.kbsi.re.kr/lib_links/links.html) 하나만 알아두면 인터넷 정보검색으로 최고의 Report를 작성할 수 있다.
OPAC Online Public Access Catalogue는 국내 도서관 온라인 열람목록을 비록하여 국내 도서관 웹서버, 국외 도서관, 학술정보 추천 웹 사이트, 한국과학재단지정 전문정보센터까지 공개하고 있어 인터넷을 통해 학술정보를 얻을 수 있는 가장 확실하고 유용한 사이트로 손꼽힌다. 모두 97개 기관의 IP 주소, 접근방법, 정보관리 시스템, 검색정보, 사용방법, 유의사항, 관련 정보 등을 표준형식으로 수록하고 있어 이용자들은 보다 쉽게 학술정보 자료를 추적할 수 있다.
(4) 온라인 서점 ‘아마존’
약 백만 권의 장서를 자랑하며 가격도 저렴한 편이다. 아마존(http://www.amazon.com)은 단지 책이 많다는 것 말고도 신간 소개, 독자들의 서평, 각 잡지의 서평, 저자와의 대화, 전문가 추천 서적 등 다양한 메뉴를 준비, 책무더기 속에서 이 책 저 책을 살펴보는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특히 홈페이지에서 search를 선택하면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Keyword Search), 저자, 제목, 주제 검색 (Author, Title, Subject Search), 특색 있는 검색 (Our Full-featured Search Form), 검색언어 (Our Search Language) 등 4가지 검색방법을 이용해서 원하는 책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원하는 책을 선택한 후, 신용카드 번호만 입력하면 구입절차는 모두 끝난다.
. 리포트 데이터베이스 사이트
1. SchoolSucks( http://www.schoolsucks.com) Cool Site
2. Evil House of Cheat( http://www.cheathouse.com) Hot Site
‘스쿨 썩스’는 지금까지 32만명이 접속, 과히 그 명성을 짐작케 한다. 학생들이 학기중 리포트나 기말논문으로 제출하는 과제물들을 모아 주제별로 분류, 데이터베이스(DB)로 만들어 놓고 있어서, 숙제를 채 하지 못한 학생들이 마우스 클릭 몇 번으로 적당한 내용을 찾아 복사한 뒤 살짝 이름만 바꿔쓰면 깜쪽같이 자신의 보고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속임수의 집’ 역시 40여개의 분야에 걸친 4,000여 편의 논문을 검색할 수 있다.
Homework Helper( http://www.trabuco.org)
과학 숙제를 하다가 어려움이 생기면 전자메일을 통해 도움을 요청하면 된다. 그러면 케이티 선생님이 친절하게 48시간 내에 질문에 대한 답을 보내준다. 세계 여러나라 학생들의 숙제를 돕고 있는 이 사이트는 질문이 폭주할 때는 트라뷰코 출신 졸업생들에게 우선권이 주어지기도 한다.
4. Math Tutor (http://www.fliegler.com/mathman.htm)
쉬운 덧셈에서부터 대학생 수준의 미분·적분문제까지 꼼꼼히 풀어 답안을 제시해 주는 유용한 과제물 도우미 사이트다. 이름과 전자우편 주소 등 비교적 간단한 사항만 표시한 후, 문제만 보내면 되기 때문에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나라의 학생이라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직접적인 ‘숙제 해결사’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수학·과학 과목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학생이라면 한번쯤 도움을 요청해 볼만하다.
4. 이로서 영어 관련 사이트 및 영어대본(SCRIPT)을이용한 학습방법을 살펴보았다. 우선적으로 언어를 배우는 것에 있어 재미와 학습 두영역에서의 효과를 볼 수있는 것이 이러한 인터넷 상의 여러 사이트를 통해서 여러형식을 이용하여 무료로 공부룰 할수 있게 제공해주는 사이트를 기억해서 이용한다면 영어와 더욱 친숙해지며 생생한 현지언어를 배우는 좋은 계기가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의 학습자료의 활용과 실제
인터넷 활용교수학습(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영어교육)의 내용체계와 기초실태,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영어교육)...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특성과 목표,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문학활용학습과 연...
[협력학습]협력학습의 국어과 교육(국어교육)과 영어과 교육(영어교육), 협력학습의 수학과 ...
영어과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종류, 영어과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환경조성...
영어과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유형, 영어과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사례, 영...
개별화학습(개별화수업, 교육지도) 개념, 필요성, 고려사항, 개별화학습(개별화수업, 교육지...
어린이 MMTIC 성격유형별 특성, 학습양식, 교수방법
교수학습자료(수업자료) 필요성과 활용, 영어과 심화보충과 수학과 수준별 교수학습자료(수업...
STAD(모둠성취분담모형)협동학습모형의 정의와 이론, STAD(모둠성취분담모형)협동학습모형의 ...
음악감상교육지도(수업, 학습), 역할놀이교육지도(수업, 학습), 영어일기쓰기교육지도(수업, ...
[STAD협동학습모형]STAD(모둠성취분담)협동학습모형의 개념과 성격, STAD(모둠성취분담)협동...
국어과의 학생중심교육(학습자중심교육), 영어과의 학생중심교육(학습자중심교육), 수학과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