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간의 대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종교간 대화 유형

3. 종교간 대화의 전제조건

4. 종교간 대화의 필요성

5. 종교간 대화에 반대하는 입장(그리스도교를 중심으로)
(1) 교회 중심적 배타주의
(2) 그리스도 중심적 포괄주의
1) 완성 신학의 관점
2) 하느님의 구원 은총의 보편성
3) 익명의 그리스도교적 신앙과 명시적 신앙고백
4) 포괄주의에 대한 비판

6. 근본주의
1) 이슬람 원리주의
2) 개신교 근본주의

본문내용

험은 매우 중요하며, 그들은 엄격한 윤리적 생활을 강조한다.
근본주의자는 구원의 확증이 강한 만큼 배타성도 강하다. 그들에게 타협과 동화는 가장 혐오스러운 단어들이다(Ammerman, 1987:108). 그들은 내부에서 구원받은 자들로 엄격한 가족 단위와 형제애를 구성하면서 자신을 믿음, 언어, 생활방식에 있어서 구원받지 못한 외부 세계와 철저하게 구분하다. 근본주의자의 배타적 입장은 자유주의적 에큐메니칼 운동(NCC나 WCC)에 대하여 복음의 타협자, 배신자로 규정하며 배격한다. 심지어 UN조차도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적인 공산주의의 힘의 도구라고 낙인찍어 이를 거부했다(Johnstone, 1975:245). 우익, 반공주의, 국수주의라는 정치적 태도를 보이지만, 탈사회적 경향이 있어 개인영혼 구원에만 관심이 있을 뿐 사회봉사나 사회복음에는 부정적이다.
근본주의가 개신교 내에서 신앙적 열정을 고취하고 교회성장에 기여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그 배타주의와 특수주의 성향 때문에 그것은 다른 개신교 집단과의 갈등과 긴장을 야기하고 다원사회에서의 적응력을 약화시키며 종교의 사회변혁적 기능을 거부하고 섭리주의나 종말의식에 집착하며 인간의 현실적 책임을 회피하게 만드는 역기능을 수행해 왔다(이원규, 1998:164). 개신교 근본주의가 이슬람 원리주의와 다른 점은 전자가 신앙의 근본을 지키는 데만 호전적이지, 정치적 및 사회적 과격행동으로까지 나아가지는 않는다는데 있다. 즉 관심의 초점은 개인의 구원문제일 뿐이다. 그러나 그들의 그러한 신앙이 종교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쳐 온 것이 사실이다.
분명히 근본주의는 20세기 개신교 발전의 중요한 흐름의 하나로서 세계 곳곳에서의 신앙적 보수회귀 현상의 배경으로 작용해 왔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가톨릭 교회의 교리서」(CEC), 2292-2295항.
졸문, "종교의 현대적 적응-그리스도교의 토착화를 중심으로", 「가톨릭 신학과 사상」(1991/봄), 가톨릭대학교 출판부, 134-174쪽; "그리스도교 토착화의 여러 분야와 원리들", 「가톨릭 신학과 사상」(1991/여름), 137-180쪽 참조.
구스타보 구티에레즈/성염역, 「해방 신학」, 분도출판사, 1997. "해방 신학", 「한국 가톨릭 대사전」(1985), 1277쪽.
졸문, "종교 다원 현상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이해",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 23호(1998/봄), 가톨릭대학교 출판부, 117-133쪽.
M. 뮐러, 「종교학 입문」, 김구선 역, 동문선, 1995. 채필근, 「비교종교론」, 대한기독교서회, 1967(5), 183-184쪽.
위거찬, 「기독교의 절대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Ernst Treoltsch의 종교사 이해를 중심으로」, 「종교 다원주의와 종교 윤리」, 집문당, 1994, 441-482쪽.
Th. S. Kuhn/조형 역, 「과학 혁명의 구조」(1980),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17쪽. 심상태, "다원주의란 무엇인가", 「속-2000년대의 한국 교회」(1997), 바오로딸, 19-20쪽. 김경재, "구원 체험 유형과 해석학적 이해 이론", 「종교 다원주의와 한국적 신학」(1992), 한국 신학 연구소, 127-134쪽.
P. 니터/변선환역, 「오직 예수 이름으로만」(1995(7)), 한국신학연구소, 273- 323쪽. 유정원, "폴 니터의 종교 신학", 「사목」(1994. 2),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10-116쪽.
J. 힉/이찬수 역, 「하느님은 많은 이름을 가졌다」, 도서 출판 창, 1991, 20-44쪽. 이찬수, "존 힉의 종교 신학", 「사목」(1994. 6), 125-127쪽.
R. 파니카/김승철역, 「종교 간의 대화」(1992), 서광사. 졸문, "종교 다원 현상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이해", 128-129쪽.
H. 카워드/오강남 역, 「종교 다원주의와 세계 종교」(1993), 대한기독교서회, 197-220쪽.
「교회 헌장」(LG), 16항; 「비그리스도교 선언」(NA), 2-5항; 「사목 헌장」(GS), 22항 등. W. 케른/박순신 역, 「교회밖에는 구원이 없는가?」(1991), 가톨릭출판사, 49-69쪽.
K. Rahner, "Salvation of the Non-Evangelized", in: Sacramentum Mundi, vol. 4. New York. 1969, pp. 79-81. 심상태, 「익명의 그리스도인」, 성바오로출판사, 1989(중판) 참조.
졸문, "종교 다원 현상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이해", 158-163쪽.
H. R. 슐레테/정은순 역, 「신학적 주제로서의 종교-종교 신학의 정립을 위하여」(1984), 분도출판사, 27-28쪽.
심상태, "요셉 라칭거 추기경의 토착화론(1)", 「사목」(1997. 12), 75-86쪽; "요셉 라칭거 추기경의 토착화론(2)", 「사목」(1998. 1), 110-111쪽. 졸문, "종교 다원 현상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이해", 158-159쪽.
P. 니터, 「오직 예수 이름으로만」, 211-212쪽. 존 힉, 「하느님은 많은 이름을 가졌다」, 30쪽. J. 드퓌스/엄재중 역, "종교 다원주의와 그리스도론 논쟁", 「사목」(1997/12), 91쪽. 졸문, "종교 다원 현상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이해", 163쪽.
한국 주교 회의 신앙 교리 위원회, 「건전한 신앙 생활을 해치는 운동과 흐름」(1997), 한국 천주교 중앙 협의회, 16-18쪽. 졸문, "종교 다원 현상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이해", 166, 175-186쪽.
http://www.consolata.or.kr/mag/20012/06.asp
http://www.cateforum.com/religion/RDocuments.html
http://www.cuk.ac.kr/%7Ecuknews/103/014.htm
동아일보, 1993년 10월 15일, 1995년 10월 28일자. 참조.
중앙일보, 1997년 12월 13일자. 참조.
동아일보, 1998년 2월 5일자. 참조.
중앙일보, 1997년 12월 22일자. 참조.
중앙일보, 1994년 11월 18일자. 참조.
월간고신, 1998년 4월호, p.64. 참조..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10.12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02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