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부버의 사회교육론
1. 부버의 사회관
2. 부버가 말하는 집단(collectivity)과 공동체(community)
3. 사이(between)
4. 종교사회주의(religious socialism)
5. 부버의 사회교육론
6. 사회교육론의 결론
1. 부버의 사회관
2. 부버가 말하는 집단(collectivity)과 공동체(community)
3. 사이(between)
4. 종교사회주의(religious socialism)
5. 부버의 사회교육론
6. 사회교육론의 결론
본문내용
회는 나-너 관계에 근원을 둔 진정한 공동체로 구성된 사회이다. 이에 비추어 현대사회의 위기는 단순히 사회 경제적인 체제의 혼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인간실존의 근본을 위협하고 나-너 관계의 기능을 약화시키는 데에 있다. 이러한 위기는 교육이 그 해결을 맡아야 하며, 이를 위해 교육은 머리에 호소하는 교육보다는 심장에 호소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추천자료
교육정의론 Term Paper
[교육정책론] 수요자 중심교육에 대해서
개인주의 윤리교육론과 공동체주의 윤리교육론
드라이커스(Dreikurs)의 민주적 부모교육이론(부모교육론)
[교육정책론] 교육정책의 평가 - 교육 정책의 개념과 교육 정책의 특징 및 교육정책 평가의 ...
[노인교육론] 노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여 노년기 특징에 맞게 개발, 설계된 프로그램...
[평생교육론]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의 심리학적 배경 - 성인학습자에 대한 발달심리...
다문화교육론, 살아있는 다문화교육 이야기 독후감
(평생교육론)평생교육 관점에서 내가 걸어온 배움의 길을 뒤돌아보고 현재 상황을 진단하면서...
평생교육론-인터넷을 사용하여 학생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시 또는 구)에서 운영하고 있는 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