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주요 내용과 견해
§ 머리말 §
§ 아들러식 심리치료 §
§ 인간 중심 치료 §
§ 합리적․정서적 치료 §
§ 행동 치료 §
§ 절충적 치료 §
◎ 「다섯 명의 치료자와 한 명의 내담자」를 읽고
§ 머리말 §
§ 아들러식 심리치료 §
§ 인간 중심 치료 §
§ 합리적․정서적 치료 §
§ 행동 치료 §
§ 절충적 치료 §
◎ 「다섯 명의 치료자와 한 명의 내담자」를 읽고
본문내용
원인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는데 어느 특정한 이론도 완벽하게 적용되는 치료 방법은 없었다. 그러므로 여러 방법의 장점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치료 방법을 찾아가는 것이 나에겐 가장 적절한 방법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나 뿐 아니라 모든 사람은 각기 다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인간의 문제는 복잡한 것이라고 생각하므로 여러 모로 볼 때 절충적 방법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본다. 즉 어느 한 이론에 얽매이기보다는 개방적 사고를 가지고 내담자의 치료를 위한 갖은 방법을 다 동원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고 어떤 이론이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느낄 수는' 있었으나 직접 활용하기엔 아직 너무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선 내담자를 직접 대하는 것도 어색하고 긴장감 속에서 제대로 된 대화조차 해 나갈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앞선다. 내가 한 이론을 선택해서 상담을 한다 해서 그 방법이 내담자에게 통할 거라는 자신감도 없고 그 한 이론을 선택한다는 것조차 부담이 되는 일이다. 좋은 상담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각 이론들을 자세히 알고 자유자제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하겠다고 느꼈으며 급한 마음에 실질적인 상담 경험을 쌓으려 하기보다는 기초적인 이론먼저 탄탄히 쌓아올려야 하겠다고 생각했다.
이 책의 치료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그들이 한결같이 참을성 있게 내담자에게 관심을 집중하고 지켜보면서, 강요하지 않으면서 더 좋은 방향을 제시한다는 것이었다. 역자는'상담과 심리치료는 인간의 마음과 행동의 변화와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행해지는 조력과정'이라고 하였는데 여기에서 상담자로서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건을 깨닫게 되었다. 마치 감기로 병원에 온 환자를 대하는 의사와 같이 내담자에게 일방적으로 바른 개념을 인식하려 하려는 고정관념을 깨야 한다고 느꼈다. 상담은 인간 대 인간으로써 대화를 나누는 과정일 뿐이며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상담자가 주도권을 행사하기보다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게끔 도와주는 조력자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여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이 책을 통해 상담을 잘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지는 못했다고 생각하지만 상담에서 이론이 하는 기능과, 상담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좋은 지침서가 되었다. 또한 앞으로 긴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이런 기회를 통해 한 단계 한 단계 더 좋은 교사로 발돋움 할 수 있었으면 한다.
이 책을 읽고 어떤 이론이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느낄 수는' 있었으나 직접 활용하기엔 아직 너무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선 내담자를 직접 대하는 것도 어색하고 긴장감 속에서 제대로 된 대화조차 해 나갈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앞선다. 내가 한 이론을 선택해서 상담을 한다 해서 그 방법이 내담자에게 통할 거라는 자신감도 없고 그 한 이론을 선택한다는 것조차 부담이 되는 일이다. 좋은 상담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각 이론들을 자세히 알고 자유자제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하겠다고 느꼈으며 급한 마음에 실질적인 상담 경험을 쌓으려 하기보다는 기초적인 이론먼저 탄탄히 쌓아올려야 하겠다고 생각했다.
이 책의 치료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그들이 한결같이 참을성 있게 내담자에게 관심을 집중하고 지켜보면서, 강요하지 않으면서 더 좋은 방향을 제시한다는 것이었다. 역자는'상담과 심리치료는 인간의 마음과 행동의 변화와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행해지는 조력과정'이라고 하였는데 여기에서 상담자로서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건을 깨닫게 되었다. 마치 감기로 병원에 온 환자를 대하는 의사와 같이 내담자에게 일방적으로 바른 개념을 인식하려 하려는 고정관념을 깨야 한다고 느꼈다. 상담은 인간 대 인간으로써 대화를 나누는 과정일 뿐이며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상담자가 주도권을 행사하기보다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게끔 도와주는 조력자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여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이 책을 통해 상담을 잘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지는 못했다고 생각하지만 상담에서 이론이 하는 기능과, 상담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좋은 지침서가 되었다. 또한 앞으로 긴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이런 기회를 통해 한 단계 한 단계 더 좋은 교사로 발돋움 할 수 있었으면 한다.
추천자료
더골 독서감상문
영화감상문-이터널선샤인을 보고...
[감상문] 가족변화, 고령화와 삶의 질 학술대회 참관기
[독서감상문] 스펜서 존슨의 '멘토'를 읽고.
자원봉사 감상문과 봉사계획에 대해서
얼굴없는 미녀 감상문
[독서감상문] 빌헬름 게나치노 『두 여자 사랑하기』
[꿈꾸는다락방] 꿈꾸는 다락방 독후감, 이지성 저, 작품 내용 분석, 감상문
프라임러브 감상문(이중적관계를 바탕으로)
어린 시절 자체가 인생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어린 시절을 보는 눈이 인생을 결정한다 줄거...
『지상의 별처럼 (Taare Zameen Par / Like Stars on Earth) 2007』 [영화감상문]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Men Are from Mars, Women Are from Venus)』 - 나를 ...
딥스 감상문 레포트
[독후감] 게으름도 습관이다 : 무기력과 작심삼일에서 벗어나 내 삶의 주도권 되찾기 (독서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