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문화의날 의의
본론
<난장 아트>
<전통 어울림 마당>
<문화의 배띄우기>
<시민 공공미술>
<생활예술시장>
<더불어 함께 마당>
결론
평가
문화의날 의의
본론
<난장 아트>
<전통 어울림 마당>
<문화의 배띄우기>
<시민 공공미술>
<생활예술시장>
<더불어 함께 마당>
결론
평가
본문내용
던 것 같습니다. 누구나 참여 할수있는'광주 시민들의 희망과 염원을 적은 '희망 잎'을 작성하고 직접 달아 보는 시민들의 모습도 볼수있었고 , 전통이 살아 있는 '굴렁쇠''투호''널뛰기''제기차기''윷놀이' 등 전통 민속 놀이를 체험하는 시민들도 볼수있었습니다. 장년층에게는 향수를 자극하고, 유년층에게는 호기심 만점인, 가족 나들이엔 안성맞춤 놀이인 것 같습니다. 아이들의 참여로 이루어진 '빛고을 이미지 벽' 만들기 행사에서는 아이들의 예술 교육이 살아 있는 현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을 고려하여 제작되었다는 것도 볼수 있습니다. 문화의 달 행사 추진위원회에서도 이번 시민축제를 향후 10년간 모델이 될 만한 문화의 달 축제의 시금석으로 치러내면서, 충실한 평가서 및 매뉴얼 북도 작성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제가 인터넷 검색으로만 많은 장점과 단점을 알순 없겠지만은 제가보기에는 누구나 축제에 참여할수있었다는 점과 소외계층의 참여 확대와 전통성을 살려낸점 등에서 여러 가지가 전번보다는 잘이루어진 것 같습니다.
*참고 문서
http:://www.naver.com
http:://www.yahoo.com
http:://www.daum.net
문화관광부
*참고 문서
http:://www.naver.com
http:://www.yahoo.com
http:://www.daum.net
문화관광부
추천자료
대중문화의 이해 - 문화산업으로서 한류 발전 방안
일본문화 중에서 마쯔리 문화
문화적 사회적 측면으로 본 게임문화의 지속성
러시아문화와 한국문화의 비교
<문화와교육>교육의 실제에서 문화가 가지고 잇는 매력과 함정에 대해 논하시오
문화와 문화산업
유아다문화교육의 이론과 다문화교육프로그램
[스포츠][사회계층][사회학][문화][청소년스포츠]스포츠와 사회계층, 스포츠와 스포츠사회조...
한국의_대중문화_한류문화_중심으로
유아다문화교육에서 교사의 태도와 역할,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실의 환경구성
[영어권, 영어권 특징, 영어권 문화교육, 영어권 초등학생영어학습체험, 영어권 교육 방향, ...
[시민][시민단체][비정부기구][NGO][시민문화][시민채널][시민사회][시민교육][시민정치][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