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조의 운동역학적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마루운동
2. 뜀틀운동
3. 철봉
4. 트램폴린

본문내용

이 봉 위에 수직으로 된 자세로 시작한다. 양다리를 앞뒤로 흔들고 이때 엉덩이를 봉에 접촉시킨다.
⑥ 양 팔 버티고 앞돌기
앞으로 양 팔 버틴 자세에서 신체 중심이 봉 앞으로 움직여 회전하도록 앞뒤로 흔든다. 몸이 아래로 회전하여 머리가 봉 밑을 통과할 때 엉덩이를 강하게 굴곡시키어 머리와 어깨가 더욱 빨리 돌도록 한다.
⑦흔들어 뒤 오르기
높은 앞 흔들기 다음에 봉 밑으로 백 스윙이 될 때 팔로 강하게 당겨 누른다. 이러한 동작에 대한 각 운동의 반 작용력은 엉덩이를 봉쪽으로 아주 가깝게 끌어당기게 되어 뒤 휘돌기와 같은 다음 동작의 준비 자세를 하도록 봉에 엉덩이가 접촉되는 동작을 보통 백 스윙보다 신체 중심을 봉에 가깝게 당기는 제한된 백 스윙을 하므로 용이하게 된다.
⑧ 뒤 휘돌기
밀어내는 동작은 봉을 잡고 있는 두 손을 봉의 꼭대기에 더욱 가깝게 옮겨 잡음으로써 일어나게 된다. 손을 옮겨 잡는 것이 이상적인 것은 각 운동을 하는데 필요한 구심력과 축을 향하여 작용하는 신체의 중량 요인이 동일할 때이다.
⑨ 앞 휘돌기
순간적인 물구나무서기 자세로부터 팔을 위로 뻗으며 머리를 앞으로 굽혀서 중심을 봉 앞으로 떨어뜨린다. 흔들기가 내려갈 때는 몸은 완전히 펴서 가능한 한 운동에너지를 증가시키고 흔들기가 가장 밑으로 내려올 때 엉덩이를 약간 굽힌다.
⑩내리기 철봉의 끝 동작인 내리기는 세 가지 동작으로 분석될 수 있다. 즉 릴리스, 비행, 착지이다. 이 세 가지를 결정짓는 기본 요인은 이미 전장에서 설명된 뜀틀과 마루 운동의 경우와 동일하다.
4. 트램폴린
-래크리에이션의 측면에서 볼 때 분명히 모든 다른 체조 종목 중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동시에 그것은 경기 종목으로 채택되어야 한다.
(1) 개요
트램롤린 바닥의 중앙에 서 있을 때 체중과 트램폴린의 바닥이 체중에 작용하는 수직 반 작용력이 평형을 이루게 된다.
※수직 반작용을 얻기 위한 두 가지 방법
-트램폴린 면을 향하여 엉덩이와 무릎과 발목 관절을 힘차게 펴는 방법
-팔을 앞위 방향으로 강하게 흔드는 방법
※뛰어오르는 순간에 수평속도가 생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 이유는
-안전 : 뛰어오르는 순간 수평속도가 크면 트램폴린 밖으로 떨어져 부상위험
-컨트롤 : 비록 적은 수평속도라고 하더라도 그 힘을 없애는 반대방향의 수평력을 써야 한다.
-폼 : 수평으로 움직이는 것은 체조 경기에서 감점이 되는 나븐 폼과 관계가 깊다.
(2)기술
① 두 발 구르기
어깨 넓이로 양발을 벌리고 서서 무릎을 굽혀 펴고, 다리로 구르며 팔을 앞뒤로 강하게 흔들어 공중으로 뛰어오른다. 공중에서 발끝을 펴고 두 다리를 모은다. 바닥에 착지할 때는 발목을 굽이여 발바닥으로 접촉하도록 하여 접촉면을 증가시키고 두 다리를 다시 어깨넓이로 벌린다. 이와 같은 동작을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초보자는 한 지점에서 아래위로 오르내리지 못하고 앞뒤로 왔다갔다하는 것이다.
② 무릎 떨어지기
무릎 떨어지기를 하기 위하여 두 발 구르기를 한다. 두 발 구르기에서 가장 높은 지점에 왔을 때 두 무릎을 굽히어 하퇴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 착지할 때 안전성을 크게 하기 위하여 두 무릎을 약간 벌리고 뛰어 오르기를 하기 위하여 양팔을 하 후방으로 내리는 것 이외에는 그대로 자세를 유지한다. 만약 무릎을 펴는 동작이 바닥에 닿기 전에 시작되면 편심적 작용이 일어나서 실시자를 뒤쪽으로 움직이게 하는 경향이 생기며 얼굴은 앞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③ 엉덩이 떨어지기
뛰어오를 때 몸을 약간 뒤로 눕힌다. 이러한 동작은 중심을 뒤로 이동시키어 트램폴린 바닥으로부터 나온 수직 반 작용력이 편심적으로 작용하고 신체를 약간 뒤로 회전시키도록 하려 한다. 중심이 이동됨으로서 생긴 신체의 움직임을 막기 위하여 발구름을 할 때 바닥에 대하여 약간 뒤로 힘을 준다.
④ 양손과 두 무릎 떨어지기
중심이 앞으로 옮겨서 몸이 앞으로 움직이는 성분은 튀어 오를 때 트램폴린 바닥을 약간 앞으로 밀어냄으로서 상쇄된다. 공중에 가장 높이 올라갔을 때 두 팔과 두 무릎을 앞으로 올리고 두 팔과 두 무릎이 동시에 착지하도록 한다.
⑤ 배 떨어지기
신체가 공중에 떠 있을 때 앞으로 몸을 회전시키어 착지 직전에는 몸통과 다리가 바닥과 평행을 이루도록 하여야 하며, 손바닥이 밑을 향하도록 하여 머리 위로 가볍게 팔을 굽힌다. 착지할 때 몸통, 다리, 전완, 손바닥이 동시에 바닥에 닿는다.
⑥ 등 떨어지기
다리의 각 운동량은 전신에 전이되어 직립자세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발끝을 위로 차는 동작은 직립자세로 돌아갈 때 트램폴린 바닥으로부터 편심성 반작용력을 얻는데 적절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더욱 필요한 것이다.
⑦ 틀어 엉덩이 떨어지기
관성모멘트를 감소시키는 반면 수직 축에 대한 각 속도를 증가시킨다. 동시에 그러한 동작은 수직 축에 대한 각 속도를 감소시킨다. 수직 축에 대한 관성모멘트는 양팔을 들어 머리 위로 가져감으로서 더욱 더 감소시킬 수 있다.
⑧ 연속 틀어 엉덩이 떨어지기
중심이고 양손이 대략 동일 횡단 서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와 같은 순간 한 손으로 트램폴린 바닥을 옆 방향으로 밀어내면 수평축의 회전이 없이 신체의 장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회전 효과에다 어때와 머리를 동일한 방향으로 강하게 휘돌려 회전력을 크게 한다. 공중에 떠오르면 고관절을 펴서 몸통과 다리가 장축의 연결선에 오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관성모멘트가 감소되고 회전력이 커지게 된다. 완전히 한바퀴 비틀게 될 때 반대로 다시 다리를 굽히어 착지 자세가 되도록 한다.
⑨ 턴테이블
턴테이블 기술에 기본적 요인은 회전 도수와는 관계가 없다. 아주 간단 한 것부터 복잡한 턴테이블의 기술로 익혀 나가기 위하여 다음의 사항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배 떨어지기에서 체공 높이를 높게 한다.
-손과 무릎으로 아래로 밀어내는 힘을 증가시킨다.
-트램폴린 바닥에 손을 써서 측면으로 밀어내는 힘을 크게 한다.
-체공 중에 몸을 더욱 둥글게 하여 관성모멘트를 감소시킨다.
⑩ 공중돌기
마루 운동과 트램폴린에서 실시되는 공중돌기의 큰 차이는 도움닫기가 없고 도약이 필요하며 계속 같은 지점에 착지하는 것뿐이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10.27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14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