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수매체의 개념
2. 교수매체의 유형
3. 교수매체의 원리 및 특성
4. 교수-학습과정에서의 교수매체의 기여도
5. 교수-학습과정에서 교수매체의 역할
6. 교수매체 설계를 위한 시각디자인의 기초
7. 시각정보의 특성과 교육적 의의
8. OHP
9. 실물화상기
10. 결론
2. 교수매체의 유형
3. 교수매체의 원리 및 특성
4. 교수-학습과정에서의 교수매체의 기여도
5. 교수-학습과정에서 교수매체의 역할
6. 교수매체 설계를 위한 시각디자인의 기초
7. 시각정보의 특성과 교육적 의의
8. OHP
9. 실물화상기
10. 결론
본문내용
있다.
⑶ 실물이 하나 밖에 없거나 작아서 여러 사람이 보기 힘든 자료를 확대 투영함으로써 많은 학습자가 동시에 시찰(視察)할 수 있으며 시간이 절약된다.
⑷ 피사체를 원하는 크기로 확대 투영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⑸ 학생들의 주의를 집중시키며 표현활동을 활발하게 한다.
3) 실물화상기의 장점
⑴ 다양한 자료의 사용이 가능하다.
⑵ 자료의 제시가 간단하다.
⑶ 그림, 사진, 실물을 별도의 가공 없이 투영이 가능하다.
⑷ 현미 투영기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⑸ 칼라, 흑백의 전환이 가능하다.
⑹ 자료화면의 확대축소가 가능하다.
⑺ VCR, 컴퓨터, VCR 카메라 등 주변기와 복합사용이 가능하다.
⑻ 모니터 상을 90도 단위로 180도 회전이 가능하다.
4) 실물화상기의 사용법
⑴ 세트를 준비한다.
① 메인 로크 버튼을 눌러서 암을 세운다.
② 헤드부가 수직으로 아래로 향하게 한다.
③ 전원코드를 전원입력단자에 접속시킨다.
④ 전원코드를 콘센트에 접속한다.
⑵ 사용용도에 따라 기구를 맞춘다.
① 원고용은 암각도 3단 암길이 3단
② 필름용은 암각도 3단 암길이 2단
③ 현미경용은 암각도 1단 암길이 1단
⑶ 자료(원고) 및 프린트 사진을 투영할 때
① 전원 스위치를 켠다.
② 원고용 렌즈를 붙인다.
③ menu 설정에서 렌즈모드가 normal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④ menu 설정에서 입력선택이 내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⑤ 음화양화 선택이 양화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⑥ 색 조정을 보통 자동으로 사용한다.
⑦ 칼라흑백 선택은 칼라가 되도록 한다. 단 문서 등을 흑백원고로 볼 때 흑백을 선택한다.
⑧ 피사체를 원고대 위에 올리고 줌 버튼으로 원하는 크기의 상이 화면에 나타나도록 한다. 원하는 크기의 상이 얻어지면 자동초점 버튼으로 초점을 맞춘다.
⑨ 주의 환경이 어두우면 램프버튼을 눌러 상측조명을 사용한다.
10. 결론
지금까지 교수매체의 개념, 유형, 원리 및 특성, 기여도, 역할, 시각정보의 특성과 교육적 의의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학교도 발전하고, 그만큼 교육의 질도 발전하게 되어있다. 발전하는 분위기 속에서 수업시간의 참고 자료 활용만 제자리라면 발전된 교육이라고 볼 수 없다. 지금까지 만들어온 좋은 자료의 사용법을 알고, 실제에 적용해나가는 것이 우리의 몫이다. 또한, 학생들의 이해에 더 도움이 될 만한 더 발전된 매체를 만드는 것이 숙제라고 생각한다.
⑶ 실물이 하나 밖에 없거나 작아서 여러 사람이 보기 힘든 자료를 확대 투영함으로써 많은 학습자가 동시에 시찰(視察)할 수 있으며 시간이 절약된다.
⑷ 피사체를 원하는 크기로 확대 투영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⑸ 학생들의 주의를 집중시키며 표현활동을 활발하게 한다.
3) 실물화상기의 장점
⑴ 다양한 자료의 사용이 가능하다.
⑵ 자료의 제시가 간단하다.
⑶ 그림, 사진, 실물을 별도의 가공 없이 투영이 가능하다.
⑷ 현미 투영기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⑸ 칼라, 흑백의 전환이 가능하다.
⑹ 자료화면의 확대축소가 가능하다.
⑺ VCR, 컴퓨터, VCR 카메라 등 주변기와 복합사용이 가능하다.
⑻ 모니터 상을 90도 단위로 180도 회전이 가능하다.
4) 실물화상기의 사용법
⑴ 세트를 준비한다.
① 메인 로크 버튼을 눌러서 암을 세운다.
② 헤드부가 수직으로 아래로 향하게 한다.
③ 전원코드를 전원입력단자에 접속시킨다.
④ 전원코드를 콘센트에 접속한다.
⑵ 사용용도에 따라 기구를 맞춘다.
① 원고용은 암각도 3단 암길이 3단
② 필름용은 암각도 3단 암길이 2단
③ 현미경용은 암각도 1단 암길이 1단
⑶ 자료(원고) 및 프린트 사진을 투영할 때
① 전원 스위치를 켠다.
② 원고용 렌즈를 붙인다.
③ menu 설정에서 렌즈모드가 normal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④ menu 설정에서 입력선택이 내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⑤ 음화양화 선택이 양화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⑥ 색 조정을 보통 자동으로 사용한다.
⑦ 칼라흑백 선택은 칼라가 되도록 한다. 단 문서 등을 흑백원고로 볼 때 흑백을 선택한다.
⑧ 피사체를 원고대 위에 올리고 줌 버튼으로 원하는 크기의 상이 화면에 나타나도록 한다. 원하는 크기의 상이 얻어지면 자동초점 버튼으로 초점을 맞춘다.
⑨ 주의 환경이 어두우면 램프버튼을 눌러 상측조명을 사용한다.
10. 결론
지금까지 교수매체의 개념, 유형, 원리 및 특성, 기여도, 역할, 시각정보의 특성과 교육적 의의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학교도 발전하고, 그만큼 교육의 질도 발전하게 되어있다. 발전하는 분위기 속에서 수업시간의 참고 자료 활용만 제자리라면 발전된 교육이라고 볼 수 없다. 지금까지 만들어온 좋은 자료의 사용법을 알고, 실제에 적용해나가는 것이 우리의 몫이다. 또한, 학생들의 이해에 더 도움이 될 만한 더 발전된 매체를 만드는 것이 숙제라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수-학습 매체 활용 현황 및 유아들이 선호하는 교수 매체에 관한 연구
교수 매체의 개념, 교수 매체의 선정, 미디어 교육
교수 매체의 제작과 활용
[교수학습이론과매체] 파블로프와 스키너의 학습이론 비교 및 교수이론 특징 설명(고전적조건...
(교수학습이론과매체C)오수벨, 가네, 브루너의 교수이론들을 비교 설명
[교수학습이론과매체]파블로브와 스키너, 손다이크 학습이론 비교 및 교수이론의 특징
[교수학습이론과매체]유아교육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하고 좋은 소프트웨...
몬테소리PPT자료[교수매체제작및활용]
[교수매체제작및활용] 몬테소리 일생, 이론, 교육방법, 교구, 현재적의미
교수학습 상황, 특히 원격교육에서의 매체의 역할과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매체의 선정 ...
[유아교육개론 D형 ] 유아교육개론 D형 유아교육의 필요성과 교수학습 매체 교구 교재
평생교육방법론-가상의 학습자, 기관, 학습 주제 등을 설정하고 이에 알맞은 교수방법과 매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