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수-학습 매체 활용 현황 및 유아들이 선호하는 교수 매체에 관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수-학습 매체 활용 현황 및 유아들이 선호하는 교수 매체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연구의의의및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문제
3. 연구 방법 및 제한점
4. 용어 정리

Ⅱ. 이론적 배경
1. 교수매체의 개념
2. 교수매체의 유형과 특성
3. 교수매체의 제작과 활용
4. 교수매체의 선정과 활용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 대상
2. 조사 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처리

Ⅳ. 결과 및 해석
1. 응답자유치원의 일반적 배경
2. 유치원의 교수매체 보유현황
3. 유치원의 교수매체 활용현황
4. 유치원의 교수매체 활용효과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습지
(언어)
1회
/
/
/
/
/
/
/
2회
//
//
//
//
3회
/
/
/
/
/
/
//
4회
/
/
//
//
//

0
6
5
15
4
1
0
8
4
0
6
4
음률
(율동)
1회
/
/
/
/
//
//
2회
/
/
//
/
/
/
/
3회
/
/
/
/
//
/
/
4회
//
//
//
/
/

3
10
2
0
12
2
21
2
0
3
10
2
리듬악기
(멜로
디언)
1회
/
/
/
/
/
/
//
2회
/
/
//
//
//
3회
/
/
//
//
/
/
4회
//
/
/
/
/
//

6
8
2
3
8
3
9
8
1
6
6
3
인형극
(입체
동화)
1회
/
/
/
/
//
/
/
2회
/
/
/
/
/
/
//
3회
/
/
//
/
/
/
/
4회
//
//
//
/
/

6
10
1
3
10
2
18
4
0
6
8
2
비디오
자료
1회
//
/
/
//
//
2회
/
/
//
/
/
//
3회
//
/
/
//
/
/
4회
/
/
/
/
/
/
/
/

0
12
2
9
8
1
0
8
4
0
4
6
V. 결론
교사는 수업을 준비하는 어느 상황에서나 학습방법과 매체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실물자료, 실내·외기구와 같은 경험적 교수매체에서부터 정보지, 학습지의 추상적 교수매체에 이르기까지 사실 교사의 입장에서 매체를 활용하지 않고는 수업방법을 사용 할 수가 없다. 따라서 수업을 준비하는 교사는 학습방법의 결정과 동시에 교수매체를 선택하여 효과적인 수업을 위하여 통합적으로 계획을 해야 한다. 또한교사는 '효과적인 학습방법과 매체를 선택하는 기준이 무엇인지 즉, 교수-학습 방법은 어떤 매체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유아들이 선호하는 교수매체는 무엇인지, 매체를 활용했을 때 기대되는 효과는 무엇인지 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유치원에서 교수매체가 얼마나 보유되어 있고 활용하고 있는지 설문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유치원의 교수매체 보유현황은 표본류, 피아노, 전통악기, 실외기구, 녹음자료 등의 경험적 매체가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비상태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는 정보지, 인형극, 학습지, 융판, 교과서만이 응답 유치원의 과반수 정도가 교사 스스로 만족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을 뿐, 일반적인 보유 및 구비 상태는 부족한 편이었다.
둘째, 아직 대부분의 유치원이 OHP자료, 컴퓨터를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어 급변하는 시대에 맞지 않는 교수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당수의 교사들이 교수매체가 지니는 효과를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매체들을 주로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활용 하지 않는 것은 특히 학급당 교사:유아의 비율이 높은 데에 기인 한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재정적으로 교사:유아수를 줄이든지 아니면 컴퓨터와 같은 교수매체를 시급히 지원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들이 선호하는 매체와 유아들이 선호하는 매체는 각각 비슷한 매체와 차이점이 있을 수 있다. 교사들은 피아노, 융판 자료, 표본류, 전통악기를 선호하는 반면 유아들은 비디오, 표본류, 실외기구, 컴퓨터, OHP 자료 등을 선호하는 데 직접 경험적 매체인 표본류를 적극 사용하고 유아들이 선호하지 않는 것보다 선호하는 것을 교사-유아 주도의 학습방법에 적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교수 매체의 선택이유는 학습내용 및 학습효과의 관련성 때문이며 실내·외기구, 피아노, 녹음자료, 융판, 학습지, 표본류 매체가 활용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학습효과는 흥미도, 이해도, 주의집중,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조사되어 특히 매우 가장 효과적인 실외기구로써 즉, 바깥놀이의 수업형태로 이끌어 나가야 한다.
다섯째, 매체 활용시 유아들이 어떤 매체에 재미있어하는지, 주의 집중하는지, 좀 더 이해를 할 수 있는지, 많은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지에 대해 교사들은 어떤 방법으로 확인하는지 CHECK LIST, 관찰, 평정척도, 활동지 분석의 질문지를 통해 관찰을 하면서 확인하는 것으로 제일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들은 유아를 위한 수업도 중요하지만 유아들이 무엇을 생각하는지, 이해를 하는지, 재미있어하는지, 주의 집중을 하는지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관찰을 해야 할 것을 당부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이기숙·정미라(1983).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소.
이영자(1978). 유치원 교육과정과 교육체제. 서울 : 유아교육연구. (Vol. 2).
이영자·최경애(1999). 유아교육프로그램과 교수매체. 서울 : 교문사.
이칭찬(1998). 교육방법 교육공학. 서울 : 문음사.
홍사혁(2001). 유치원 교사의 교수매체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천상옥(1983). 유치원의 교수매체 활용현황과 교사용 교재분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임근석(1984). 유치원의 교수매체 활용실태에 관한 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용숙, ·이영숙 (2000).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매체 활용 및 관련 변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1(2), 77-87.
나궁렬 (1979). 매체별 비교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통철 외 7인 (1999). 교사를 위한 교육공학. 교육과학사.
윤승금 (1999). 구성주의 철학과 정보사회의 교수매체 활용방안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논문집, 49, 235-246.
이성호 (1999). 교수방법의 탐구. 양서원.
이재경 (2000). 웹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16(2), 83-106.
이화여대 교육공학과 (1998).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과학사.
장인순( 1997). 시청각매체를 통한 음악교육의 방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조벽 (2000). 새시대 교수법. 한단출판사.
최동근, 양용칠, 박인우 (1999). 교육방법의 공학적 접근. 교육과학사
박성익·홍순정. (2001). 교수학습이론과 매체.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 가격3,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06.01.24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8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