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TOYOTA 소개
2. LEXUS 소개
Ⅱ본론
1. 상황분석
2.렉서스 개발결정과 브랜드 선택과정
3. 사업단위의 목표수립
4. SWOT분석
5. 시장세분화/표적시장 결정 (STP)
6. 제품 포지셔닝(Product Positioning)
7. 마케팅믹스 관리(Marketing pricing strategy)
8. 렉서스 판매 전략 및 성과
Ⅲ 한국 시장 상황 분석
1. 국내 수입차 시장 상황
2. 브랜드별 판매액과 판매대수
3. 한국 내 경쟁사 분석 - BMW & Mercedes-Benz
4. STP 전략
5. SWOT 분석 & BCG Matrix
6. 4P‘s
Ⅳ결론
1. LEXUS의 성공요인
2. 한국시장에서의 LEXUS 의 성공요인
3. LEXUS의 해결과제
1. TOYOTA 소개
2. LEXUS 소개
Ⅱ본론
1. 상황분석
2.렉서스 개발결정과 브랜드 선택과정
3. 사업단위의 목표수립
4. SWOT분석
5. 시장세분화/표적시장 결정 (STP)
6. 제품 포지셔닝(Product Positioning)
7. 마케팅믹스 관리(Marketing pricing strategy)
8. 렉서스 판매 전략 및 성과
Ⅲ 한국 시장 상황 분석
1. 국내 수입차 시장 상황
2. 브랜드별 판매액과 판매대수
3. 한국 내 경쟁사 분석 - BMW & Mercedes-Benz
4. STP 전략
5. SWOT 분석 & BCG Matrix
6. 4P‘s
Ⅳ결론
1. LEXUS의 성공요인
2. 한국시장에서의 LEXUS 의 성공요인
3. LEXUS의 해결과제
본문내용
마케팅 등으로 자신의 저가이미지를 숨기고 성공한 렉서스 자동차는 현재 자동차 시장이 포화상태인 우리나라에서 세계로 나가기 위해 본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렉서스가 유럽 고급차를 모방했다고 비난을 받았지만 결국 자신만의 색깔을 찾아 성공하였기 때문이다.
도요타 '순익. 품질 1위' 비결은…
[매일경제 2004-10-22 14:50]
세계 자동차 시장점유율은 4위이지만 품질과 순익 측면에서는 세계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는 도요타의 경쟁력은 어디서 나오는가.
블룸버그 뉴스는 21일 순익과 품질 면에서 업계 1위인 도요타가 강한 이유로 끊임없는 '혁신'을 꼽았다.
도요타는 이를 위해 불량률 최소화 공격적 마케팅 신 연료 차량 개발 R &D 지출 비중 상향조정 유럽시장 적극 공략 등에 나서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도요타의 지난 2분기 순익 증가율은 전년 동기대비 29% 증가한 27억 달러(2870 억 엔)를 기록했고 매출도 4조5103억 엔으로 10% 증가했다. 도요타는 2003년 회계 연도에 전년대비 55% 급증한 1조1600억 엔의 순이익을 올려 일본 기업 사상 최초로 순익 1조 엔을 올리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최근 S&P도 도요타에 대해 3조에 달하는 현금 보유능력 등을 근거로 AAA라는 최고 등급을 부여했다.
매출액 자체보다 수익률 중시= 도요타는 총 매출액 대비 순이익률이 높기로 유명하다. 단적으로 도요타 보다 31%나 차를 많이 파는 제네럴모터스(GM)보다 벌어들이는 이익은 두 배나 된다. 지난해 도요타의 순마진율은 4.8%. GM과 포드의 마진율 2.1%, 0.3%에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도요타 주식은 올해 들어 8.9% 상승한 반면 GM은 같은 기간 29.1% 하락, 포드는 19.4% 떨어졌다. 이 같은 주가 상승에 힘입어 도요타의 시가총액은 현재 1361억 달러로 이미 GM, 포드, 르노, 폭스바겐, 크라이슬러를 합친 것을 초과하고 있다.
'최고의 품질' 추구= 도요타의 경쟁력은 무엇보다 품질 그 자체에서 나온다. JD파워에 따르면 도요타는 미국에서 신차 100대 중 불만접수 건수가 업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도쿄 남서부에 위치한 아이치 연구소는 이 같은 도요타 기술력의 본 원지. '소비자의 불만을 최소화하는 차를 만들자'는 도요타의 기업이념을 위해 R&D를 핵심 역량으로 강조하고 있다. 또 도요타는 고유가로 인한 에너지 문제를 일찌감치 인지하고 '신 연료 차세대 차량' 개발을 진행 중이다.
미국 의존도를 낮추자= 이런 막강 기업 도요타에도 과제는 있다. 현재 도요 타는 10년 안에 세계 1위의 차업체로 부상한다는 것을 목표로 공격적 마케팅전략과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선 올 들어 엔화 강세 추세가 이어지면서 환차손이 발생하고 이익 상승폭도 예상보다 줄었다는 점. 최근 계속되고 있는 달러 약세로 2분기 들어 엔화 가치 는 달러화에 비해 7.5% 상승했고 이로 인해 도요타가 입은 환차손만 해도 700억 엔에 이른다.
또 상대적으로 취약한 유럽시장 공략 전략에 힘을 쏟고 있다. 도요타는 북미 시 장에서 전체 해외시장 수익의 3분의 2를 벌어들이지만 유럽에서는 상대적으로 판매량 증가가 미미한 편이다. 지난 4년간 이를 만회하기 위해 공격적 전략을 펼친 도요타는 유럽지역에서의 시장점유율을 5.1%로 두 배 끌어올리는데 성공했다. 반면 1925년 유럽으로 처음 진출한 GM은 지난 3년 동안 30억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 도요타는 또 51만대 생산능력을 갖춘 공장을 아르헨티나,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태국 등에 지어 근접지역 80개국의 수출을 충당할 예정 이다.
<정호선 기자>
9월 수입차 판매 BMW, 렉서스, 벤츠 순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9월 수입차 신규등록대수가 8월 2,034대 보다 3.8% 감소한 1,956대로 집계되어 2004년 누적 16,894대를 기록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9월 등록대수 1,956대는 전년 9월 등록 1,468대 보다 33.2% 증가했으며 9월 누적 16,894대는 전년 9월 누적 13,779대 보다 22.6% 증가했다.
9월 브랜드별 등록대수는 비엠더블유(BMW) 525대, 렉서스(Lexus) 380대,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270대, 포드(Ford/Lincoln) 146대, 혼다(Honda) 133대, 크라이슬러(Chrysler/Jeep/Dodge) 132대, 볼보(Volvo) 106대, 폭스바겐(Volkswagen) 74대, 아우디(Audi) 53대, 푸조(Peugeot) 39대, 캐딜락(Cadillac) 34대, 사브(Saab) 23대, 랜드로버(Land Rover) 19대, 포르쉐(Porsche) 11대, 재규어(Jaguar) 9대, 페라리(Ferrari) 2대 이다.
9월 중 가장 많이 등록된 모델은 렉서스 ES330(226대), BMW 530(108대), 혼다 Accord 3.0(102대)으로 나타났다.
9월 배기량별 등록대수는 배기량별 등록대수는 2000cc 이하 302대, 2001cc ~3000cc이하 859대, 3001cc ~4000cc 이하 503대, 4000cc 이상 292대로 나타났다.
9월 지역별 등록대수는 서울 845대로 43.2%, 경기 618대로 31.6%, 경남 140대로 7.2%를 기록하여 상위 3개 지역이 전체 수입차 등록의 82.0%를 차지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윤대성 전무는 "추석연휴로 인한 판매일수 감소로 인해 수입차 신규등록이 전달에 비해 다소 감소했으나 본격적인 신차가 출시되는 10월에는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망했다.
Auto Joins [auto@joins.com]
2004- 10- 07
참고 사이트
* 한국토요타 자동차(주) 홈페이지 toyota.co.kr
* 딜러 3사(社) 홈페이지 lexusdnt.com , lexussk.com , lexuskmotors.co.kr
* 파이낸셜 뉴스, 각종 경제 신문 사이트
* 한국 수입자동차 협회 kaida.co.kr
* BMW코리아 홈페이지 bmw.co.kr
* Mercedes-Benz 홈페이지 mercedes-bentz
도요타 '순익. 품질 1위' 비결은…
[매일경제 2004-10-22 14:50]
세계 자동차 시장점유율은 4위이지만 품질과 순익 측면에서는 세계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는 도요타의 경쟁력은 어디서 나오는가.
블룸버그 뉴스는 21일 순익과 품질 면에서 업계 1위인 도요타가 강한 이유로 끊임없는 '혁신'을 꼽았다.
도요타는 이를 위해 불량률 최소화 공격적 마케팅 신 연료 차량 개발 R &D 지출 비중 상향조정 유럽시장 적극 공략 등에 나서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도요타의 지난 2분기 순익 증가율은 전년 동기대비 29% 증가한 27억 달러(2870 억 엔)를 기록했고 매출도 4조5103억 엔으로 10% 증가했다. 도요타는 2003년 회계 연도에 전년대비 55% 급증한 1조1600억 엔의 순이익을 올려 일본 기업 사상 최초로 순익 1조 엔을 올리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최근 S&P도 도요타에 대해 3조에 달하는 현금 보유능력 등을 근거로 AAA라는 최고 등급을 부여했다.
매출액 자체보다 수익률 중시= 도요타는 총 매출액 대비 순이익률이 높기로 유명하다. 단적으로 도요타 보다 31%나 차를 많이 파는 제네럴모터스(GM)보다 벌어들이는 이익은 두 배나 된다. 지난해 도요타의 순마진율은 4.8%. GM과 포드의 마진율 2.1%, 0.3%에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도요타 주식은 올해 들어 8.9% 상승한 반면 GM은 같은 기간 29.1% 하락, 포드는 19.4% 떨어졌다. 이 같은 주가 상승에 힘입어 도요타의 시가총액은 현재 1361억 달러로 이미 GM, 포드, 르노, 폭스바겐, 크라이슬러를 합친 것을 초과하고 있다.
'최고의 품질' 추구= 도요타의 경쟁력은 무엇보다 품질 그 자체에서 나온다. JD파워에 따르면 도요타는 미국에서 신차 100대 중 불만접수 건수가 업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도쿄 남서부에 위치한 아이치 연구소는 이 같은 도요타 기술력의 본 원지. '소비자의 불만을 최소화하는 차를 만들자'는 도요타의 기업이념을 위해 R&D를 핵심 역량으로 강조하고 있다. 또 도요타는 고유가로 인한 에너지 문제를 일찌감치 인지하고 '신 연료 차세대 차량' 개발을 진행 중이다.
미국 의존도를 낮추자= 이런 막강 기업 도요타에도 과제는 있다. 현재 도요 타는 10년 안에 세계 1위의 차업체로 부상한다는 것을 목표로 공격적 마케팅전략과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선 올 들어 엔화 강세 추세가 이어지면서 환차손이 발생하고 이익 상승폭도 예상보다 줄었다는 점. 최근 계속되고 있는 달러 약세로 2분기 들어 엔화 가치 는 달러화에 비해 7.5% 상승했고 이로 인해 도요타가 입은 환차손만 해도 700억 엔에 이른다.
또 상대적으로 취약한 유럽시장 공략 전략에 힘을 쏟고 있다. 도요타는 북미 시 장에서 전체 해외시장 수익의 3분의 2를 벌어들이지만 유럽에서는 상대적으로 판매량 증가가 미미한 편이다. 지난 4년간 이를 만회하기 위해 공격적 전략을 펼친 도요타는 유럽지역에서의 시장점유율을 5.1%로 두 배 끌어올리는데 성공했다. 반면 1925년 유럽으로 처음 진출한 GM은 지난 3년 동안 30억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 도요타는 또 51만대 생산능력을 갖춘 공장을 아르헨티나,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태국 등에 지어 근접지역 80개국의 수출을 충당할 예정 이다.
<정호선 기자>
9월 수입차 판매 BMW, 렉서스, 벤츠 순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9월 수입차 신규등록대수가 8월 2,034대 보다 3.8% 감소한 1,956대로 집계되어 2004년 누적 16,894대를 기록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9월 등록대수 1,956대는 전년 9월 등록 1,468대 보다 33.2% 증가했으며 9월 누적 16,894대는 전년 9월 누적 13,779대 보다 22.6% 증가했다.
9월 브랜드별 등록대수는 비엠더블유(BMW) 525대, 렉서스(Lexus) 380대,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270대, 포드(Ford/Lincoln) 146대, 혼다(Honda) 133대, 크라이슬러(Chrysler/Jeep/Dodge) 132대, 볼보(Volvo) 106대, 폭스바겐(Volkswagen) 74대, 아우디(Audi) 53대, 푸조(Peugeot) 39대, 캐딜락(Cadillac) 34대, 사브(Saab) 23대, 랜드로버(Land Rover) 19대, 포르쉐(Porsche) 11대, 재규어(Jaguar) 9대, 페라리(Ferrari) 2대 이다.
9월 중 가장 많이 등록된 모델은 렉서스 ES330(226대), BMW 530(108대), 혼다 Accord 3.0(102대)으로 나타났다.
9월 배기량별 등록대수는 배기량별 등록대수는 2000cc 이하 302대, 2001cc ~3000cc이하 859대, 3001cc ~4000cc 이하 503대, 4000cc 이상 292대로 나타났다.
9월 지역별 등록대수는 서울 845대로 43.2%, 경기 618대로 31.6%, 경남 140대로 7.2%를 기록하여 상위 3개 지역이 전체 수입차 등록의 82.0%를 차지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윤대성 전무는 "추석연휴로 인한 판매일수 감소로 인해 수입차 신규등록이 전달에 비해 다소 감소했으나 본격적인 신차가 출시되는 10월에는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망했다.
Auto Joins [auto@joins.com]
2004- 10- 07
참고 사이트
* 한국토요타 자동차(주) 홈페이지 toyota.co.kr
* 딜러 3사(社) 홈페이지 lexusdnt.com , lexussk.com , lexuskmotors.co.kr
* 파이낸셜 뉴스, 각종 경제 신문 사이트
* 한국 수입자동차 협회 kaida.co.kr
* BMW코리아 홈페이지 bmw.co.kr
* Mercedes-Benz 홈페이지 mercedes-bentz
추천자료
CGV 마케팅전략 (영화산업 영상산업 경영전략 기업분석 광고전략
스카이 광고분석 (광고전략 광고 SK 이동통신 소비자행동 마케팅전략 경영
미샤,광고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
현대카드,광고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
광고트랜드,스토리텔링,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
기업 범한판토스(범한물류) 역사, 광고 마케팅, 유통물류 장점, 경쟁력, 기업 소개, 특징, 마...
기업 범한판토스(범한물류)의 역사, 광고 마케팅, 유통물류 장점, 경쟁력, 기업 소개, 특징, ...
LG CI소개, CI 변경원인, 광고 분석, 마케팅, 성공사례, 요인, 시장환경 분석, 경영전략, CI ...
KT&G CI소개, 변경원인, 광고 분석, 마케팅, 성공사례, 요인, 시장환경 분석, 경영전...
하이트진로(진로, 하이트맥주, 조선맥주)의 약력, 경영이념, 하이트진로(진로, 하이트맥주, ...
광고캠패인_ 컨디션광고,광고마케팅전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
다음커뮤니케이션-다음 사업 다각화,다음 마케팅,다음 글로벌,광고마케팅,CRM시장분석(외부환...
[경영학] 모든 것을 새롭게 All New 하이트 (SWOT 분석, STP 전략, 4P전략, IMC목표, 광고계...
LG생활건강 기업 경영분석과 SWOT분석, 기업재무, 조직, 이사회 및 LG생활건강 마케팅,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