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카드,광고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동조 VS 일탈

1) 동조( Confirmity)의 욕구

2) 일탈( Deviation )

2. 광고 속에서의 동조와 일탈

3.\'현대카드 광고’ 시리즈를 통한 <동조VS 일탈 호소 광고> 분석

1) 현대카드 광고 시리즈 중 동조에 호소하는 광고

Why , 동조?

2) 현대카드 광고 시리즈 중 일탈에 호소하는 광고

Why , 일탈?

4.‘현대카드 광고’ 시리즈를 통해본 동조와 일탈이 시사하는 점.

본문내용

충격적인 미니스커트를 입은 남성을 등장시킴으로써 새로운 영역으로의 일탈을 시도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궁금증을 유발하게 하였다. 여성성을 가진 남성은 숨어있던 하나의 욕구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여성과 남성을 확연히 구별하는 사회에서는 남성의 미니스커는 생각할수도 없는 영역이었다. 이러한 부분을 현대카드에서 끄집어내서 잠재되어있는 남성의 일탈의 욕구를 불러일으킨 것이다. 이러한 일탈에 호소하는 광고를 통해 현대카드는 개성있는 카드로 인지도를 쌓아나갈 수 있었다.
그 후, 동조에 호소하는 광고 ‘변화가 제일 쉬웠어요’라는 광고를 통해 700만명 돌파와 업계2위라는 타이틀을 고객의 마인드에 각인시켰다. ‘700만명 돌파’라는 문구를 제시함으로써 사용자 수 급성장을 객관적으로 보여주어 소비자로 하여금 동조를 일으키게 했다. 그만큼 빠른 속도로 소비자들이 현대카드를 ‘하나쯤은’ 만들어 놓는다는 것이고 소비자들은 이 흐름에 동조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소비자들이 급속도로 늘어나는 현대카드 가입자 무리에 동조욕구를 갖는 것이다. ‘2위’라는 광고를 통해 ‘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쓰는 카드.’ 임을 계속적으로 강조하여서 이러한 집단적인 무리에 동조되어 카드를 이용하도록하는 광고를 하였다. 둘다 객관적인 수치를 바탕으로 전달하여 소비자에게 신뢰성을 주었고, 이것이 금융권의 카드이미지와 맞아떨어진 것이다.
이렇게 광고에서 일탈과 동조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소비자들로 하여금 충족되지 못했던 부분을 채워주어 함께 동화될 수 있도록 이끌고 있다. 일탈과 동조는 서로 다르지만 소비자에게 적절하게 마인드 포지셔닝을 하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5.10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5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