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천국 운동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평천국 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太平天國의 背景과 成長
1) 太平天國의 사회적 背景
2) 洪守全과 拜上帝會
3) 太平天國 운동의 전개
2. 체제 이념의 붕괴와 개혁
1) 太平天國 體制理念의 崩壞
2) 改革의 시도
3. 西洋세력의 干涉과 淸朝 紳士層의 對應
4. 太平天國의 沒落

Ⅲ. 결 론

본문내용

의 이념, 조직에 따라 계속 투쟁하고자 하였다. 염군과의 연대로 1868년까지 태평천국의 명의가 유지되기는 하였지만 운동의 실질은 이미 1864년 붕괴되었다.
태평천국의 뒤를 이어 한때 북경을 위협했던 捻軍반란은 이미 남경에 건도한 태평천국에 호응하여 1853년에 발발하고 있었다. 그러나 염군은 1968년까지 화북지역에서 기동성을 바탕으로 장수를 누렸지만, 태평천국과는 대조적으로 어떤 혁명정부도 창출하지 못한 채 유구주의로 시종하였다. 서울대학교동양사학출판실, 위의 책, pp136-137
태평천국은 그 전투적인 의미나 비이상적인 성격, 정부에 대한 불신감, 원시공산제도 등의 특징으로 어떤 의미에서는 서양의 종교 개혁시기에 있었던 新敎의 좌파와도 유사했다. 그러나 유럽에서도 이와 같은 좌파 운동은 특정 도시에서만 혼란을 일으켰을 뿐이다. 홍수전은 그가 얻은 단편적인 기독교의 교리로써 전국적인 운동을 일으키려고 했으므로 그 효과는 더욱 미약했다. 왜냐하면 신교가 제창하는 양심의 자유가 중국의 농촌사회에서는 그 현실적인 의미가 결여되어 있었던 것이다. 태평천국의 신학적인 기초는 시종 巫術的인 성격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들은 사회의 하층계급으로부터 일어났으므로 조직적으로 전 사회를 일체화 하려는 생각은 없었던 것이다. 만약 모든 민중이 해방되면 사회질서가 해체될 뿐이다.
여기서 다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전통 중국의 국가와 사회가 지닌 영속구조는 이 시기에도 효력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이 영속구조는 특히 길고 긴 역사 속에서 수없이 폐지되면서도 꾸준히 명맥을 이어온 科擧와의 관련에 의하여 유지되어 왔다. 과거를 통해서 인제를 등용하는 것은 따지고 보면 은근한 방법으로 관련인사들에게 물질상의 보수를 제공하여 그들로 하여금 정통사회의 가치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회가치는 맹자 이래로 지금까지 하나의 맥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농촌사회에서 생긴 문화적, 교육적 역량의 총합을 바로 국가정권 역량의 시발점이 되도록 함으로써 둘을 서로 연결시켜 틈이 생기지 않도록 했던 것이다. 이것이 경제적 질서인지 사회적 관습인지는 엄격히 구분하기 어렵다. 중국 황제의 가부장적 지위는 기본조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구약성서에 나오는 여호와를 훨씬 넘어섰다. 황제는 또한 그 의례적인 기능으로부터 실질적인 권한을 얻었다. 19세기 중엽까지 청이 이 모든 것을 포함하는 제도를 악용한 것은 사실이었지만, 이후의 사건들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왕조가 교체되면 그 제도 또한 사라지는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아직 시기상조였다. 黃仁字, 위의 책, pp364-365
태평천국은 아편흡입과, 매춘, 纏足, 蓄妾 및 도박을 금지시켰다. 그러나 그들이 아무리 남녀평등을 부르짖어도 최고위층의 인사들이 수많은 처첩을 거느리는 것은 막을 수 없었다. 남경에 도읍을 정한 뒤로는 모든 왕들의 생활이 더 이상 검소하지 않았다. 1856년 이후에는 상부조직에서 상호간의 내분이 이미 시작되었다. 고대 정전법에 근거를 두고 고안된 천조전무제도 역시 탁상공론에 불과했다. 과거제도도 실시한 적이 있으나, 현존하는 과거답안에 대한 자료를 보면 그 출제자가 과거제도의 사회경제적인 의의조차도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점이 분명히 드러난다. 黃仁字, 위의 책, p365
Ⅲ. 결 론
태평천국은 자체의 미성숙과 국내외적인 상황 아래에서 실패로 막을 내렸지만 이후의 역사 진전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淸朝는 明朝에 이어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유지하여 관리는 개별적으로 황제에 예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태평천국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증국번 등 몇몇 한인 紳士들의 역할이 두드러졌으며 이들에서 지방에서의 독자적인 권한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에 후에 지방 장관인 총독ㆍ순무의 세력이 강대해 지는 결과를 낳았고 이는 후에 양무운동 실패의 한 요인으로도 작용하게 된다. 崔震奎, 위의 책, p27
이러한 태평천국의 결과를 두고 한가지로 그 성격을 규명 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태평천국 운동이 농민혁명, 민족혁명, 정치혁명, 종교혁명 등 끊임없는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기는 하지만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단순한 왕조말기의 반란이 아니라 아편전쟁과 함께 중국근대사의 기점으로서 제시되기 충분한 커다란 사건임은 틀림없다. 또한 양무운동 변법자강운동 민국혁명으로 이어지는 개혁과정은 태평천국의 역사적 경험을 계승하고 그 영향을 받으면서 진행되었다. 19세기 중엽 서구 열강의 침입과 국내의 개혁이라는 이중의 과제를 짊어지고 민중 속에서 일어나 이상적인 개혁안을 제시하였던 태평천국을 겪으면서 중국 사회는 거대한 變革을 준비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 太平天國 진공도>>
※ 태평천국의 전개
1848년 1월 馮雲山 체포 - 정치적인 성격도 가지게 됨
1850년 6월 拜上帝會에서 團營 선포 - 무장조직화
1851년 1월 金田起義
3월 洪秀全 天王에 즉위
9월 永安 점령,
1852년 2월 天歷 발표
6월 馮雲山 楚勇전투 중 戰死
9월 蕭朝貴 長沙공격 중 戰死
12월 太平軍 익양, 岳州, 漢口 점령
1853년 1월 曾國蕃 호남성의 團練을 규합, 湘軍개칭
太平軍 무창성 함락
2월 太平軍 황주 구강 등을 점령
3월 太平軍 南京 점령, 天京으로 개명하고 定都함.
체제정비 - 『天朝田畝制度』
1854년 10월 湘軍 무창 한양 탈환
1856년 9월 天京事變 - 태평천국의 통합력 상실, 후반부로 전환됨
湘軍 무한을 점령
1857년 청조 江南大營과 江北大營의 재건
1858년 9월 태평군 안휘성 북부 전투 승리 - 李秀成, 陳玉成 부각
11월 태평군 상군 정예 괴멸
12월 江北大營 붕괴
1859년 4월 洪仁의 개혁, 『資政新編』저술 - 설명, 성격
1860년 5월 江南大營 붕괴
蘇州 함락시킴
1861년 李鴻章 淮軍 창설
1862년 1월 1차 상해 전투 - 영불연합군과 상승군에게 패배
4월 李泓章의 淮軍 上海진출
5월 曾國筌의 湘軍 天京포위
6월 2차 상해 전투 - 회군에게 패배
1863년 12월 상승군 회군과 함께 소주탈환
1864년 6월 洪秀全 병사
7월 상군, 天京함락 - 太平天國의 실질적 붕괴
1868년 1월 賴文光 부대 진압됨. 太平天國의 멸망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4.11.04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22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