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대 총선에서의 20대 투표율과 인터넷의 영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본론
(1) 20대가 생각하는 이번 총선의 20대 투표율과 진실
(2) 왜 투표율이 실제보다 높을 것이라 생각했는가? (네티즌 투표 격려 활동과 관련하여)
(3) 무엇이 제 3자 효과를 만들었는가.
-제 3자 효과 변인으로서의 17대 총선
ⅰ) 메시지의 내용
ⅱ) 전문성
ⅲ) 심리적 거리감

Ⅲ.결론 및 논의

본문내용

어진 활발한 투표 독려운동은 이러한 예상을 뒷받침해주는 좋은 사례였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의 생각을 비웃기라도 하듯 20대 투표율은 기대치에 훨씬 못 미치게 나타났고, 그 원인에는 ‘자신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생각하지만 자신이외의 다른 사람들은 영향을 받을 것’ 이라고 지각하는 제3자 효과가 작용하였다는 것과 인간은 스스로를주체적인 인간‘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미디어가 제시하는 메시지로부터 스스로를 제재하는 과정이 포함되어있음을 우리는 알아낼 수 있었다.
물론 이번 20대 투표율이 별로 늘지 않은 것을 두고 ‘인터넷 투표독려운동이 실제적인 영향을 못 미쳤다’라고 단정 짓기에는 약간의 한계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먼저 투표율 증가라는 예상을 하는 데 있어 인터넷 영향은 여러 원인들 중 하나였을 뿐, 탄핵으로부터 시작한 각종 풍(風)속에서 사람들의 관심을 증가시킨 면도 작지 않다는 점, 또한 이번 총선에서의 네티즌 투표 격려 운동이 정확하게 실제 투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본 연구로 알아낼 수 없다는 점들이 그 한계이다. 아울러, 이 연구가 개인이 지니는 지각에 초점을 두는 과정에서 행동적인 면에 관한 설명이 부족했다는 점 역시 아쉬운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이슈화되면서 앞에서의 예상을 지지하는 근거가 되었던 인터넷 활동을 중심으로 심리적 과정을 분석하였다는 데에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인터넷의 영향과 투표 사이의 직접적 관계 조사가 수반된다면 더 깊이 있는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아쉬움을 남기며 본 연구를 마치고자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1.05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23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