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듀이의 생애
2. 듀이의 교육 목적
3. 교육원리
4. 듀이의 교육관: 아동중심 교육사상
5. 듀이의 교육관
6. 교육내용
7. 교육의 동기 : 흥미
8. 듀이가 말하는 학교와 교사
9. 민주주의와 교육에 진술된 교육 이론
10.실험학교
11. 듀이 교육이론의 특징
결론
참고 자료
본론
1. 듀이의 생애
2. 듀이의 교육 목적
3. 교육원리
4. 듀이의 교육관: 아동중심 교육사상
5. 듀이의 교육관
6. 교육내용
7. 교육의 동기 : 흥미
8. 듀이가 말하는 학교와 교사
9. 민주주의와 교육에 진술된 교육 이론
10.실험학교
11. 듀이 교육이론의 특징
결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어 내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어린이의 성장은 외부적으로 부담시키거나 억제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기 안에 미리부터 무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교육에 있어서 어린이를 주체로 보지 않고 또한 그 안에 깃든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고서는 아동 존중이 있을 수 없습니다. 그것은 마치 인간의 자유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인간 존중을 말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듀이는 지금까지 교육활동에 있어서 중심이 성인이나 교재, 제도나 관념 등에 있었던 현실을 비판하고 그 중심을 어린이와 생활로 옮겨 놓은 것입니다.
그러나 아동중심에서 모든 교육을 이끌어 가고, 아동 스스로가 깨우치게 하는 교육방식으로 인해 가장 기본적인 가치와 지식을 가르치지 못하였다는 아쉬움과 함께여러 가치와 지식 중에는 영원불변한 것도 있는데 이것 역시 가르치지 못한 것을 반성하였습니다. 듀이는 변화하는 현재와 미래에 대해 적응해 나갈 수 있는 어린이로 만들기 위해 교육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사회는 자신이 지니는 모순으로 급격하게 퇴보, 전락할 수도 있는데 점진적 발전상만을 강조하여 발전하는 사회에 대해 적응하는 것만 교육을 시켰다는 한계를 가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우리사회에도 최근에 듀이의 교육방식을 수용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몬테소리 유아원을 비롯해 조기 유아 교육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유아 교육과 함께 태아 교육의 중요성까지 떠오르고 있는 것이 오늘날 우리의 현실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듀이의 교육사상을 입시위주, 교과 위주의 우리나라 교육 방식에 적용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구나 세계적으로 교육열이 가장 뜨겁고 경쟁이 치열한 우리 나라에는 현실적으로 무리가 많이 따르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지금 7차 교육 과정이 진행되면서 우리의 교육의 환경도 많이 바뀌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물론 수정하고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많고 그 밖에 남겨진 과제도 많습니다. 때문에 교육학을 배우고 있는 학도로써 교육의 이론과 원리들이 학교 현실에 적용하여 참 교육을 실현하고 교육 환경을 보다 더 개선하고 변화시키는데 조금이나 기여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 자료
교육사 교육 철학 강의 / 조무남, 피정만, 김기수 / 동문사 / 1996
교육 사상가 / 강기수 / 세종출판사 / 1998
교육 철학 및 교육사 / 손인수, 정건영 / 교육 출판사 / 2000
그러나 아동중심에서 모든 교육을 이끌어 가고, 아동 스스로가 깨우치게 하는 교육방식으로 인해 가장 기본적인 가치와 지식을 가르치지 못하였다는 아쉬움과 함께여러 가치와 지식 중에는 영원불변한 것도 있는데 이것 역시 가르치지 못한 것을 반성하였습니다. 듀이는 변화하는 현재와 미래에 대해 적응해 나갈 수 있는 어린이로 만들기 위해 교육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사회는 자신이 지니는 모순으로 급격하게 퇴보, 전락할 수도 있는데 점진적 발전상만을 강조하여 발전하는 사회에 대해 적응하는 것만 교육을 시켰다는 한계를 가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우리사회에도 최근에 듀이의 교육방식을 수용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몬테소리 유아원을 비롯해 조기 유아 교육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유아 교육과 함께 태아 교육의 중요성까지 떠오르고 있는 것이 오늘날 우리의 현실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듀이의 교육사상을 입시위주, 교과 위주의 우리나라 교육 방식에 적용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구나 세계적으로 교육열이 가장 뜨겁고 경쟁이 치열한 우리 나라에는 현실적으로 무리가 많이 따르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지금 7차 교육 과정이 진행되면서 우리의 교육의 환경도 많이 바뀌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물론 수정하고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많고 그 밖에 남겨진 과제도 많습니다. 때문에 교육학을 배우고 있는 학도로써 교육의 이론과 원리들이 학교 현실에 적용하여 참 교육을 실현하고 교육 환경을 보다 더 개선하고 변화시키는데 조금이나 기여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 자료
교육사 교육 철학 강의 / 조무남, 피정만, 김기수 / 동문사 / 1996
교육 사상가 / 강기수 / 세종출판사 / 1998
교육 철학 및 교육사 / 손인수, 정건영 / 교육 출판사 / 2000
추천자료
존듀이에 대해
존듀이의 생애와 교육철학 (유아교육과를 중심으로)
존듀이의 경험과 교육이라는 책을 읽고 교육받은 사람의 경험적 특성은 무엇인가?
존듀이의 교육사상으로 본 우리나라입시교육제도의 개선점
교육철학자 John Dewey에 대해서
[존 듀이][전통적교육][진보주의교육]존 듀이의 교육철학 배경, 존 듀이의 교육원리, 존 듀이...
[존 듀이][교육사상][의사소통원리][사회개혁이론][열린교육]존 듀이의 교육사상, 존 듀이의 ...
[존 듀이][교육학][교육이론]존 듀이의 교육학, 존 듀이의 교육이론, 존 듀이의 민주주의 교...
[존 듀이][교육철학][교육이론][교과][경험과 교육]존 듀이의 생애, 존 듀이의 교육철학, 존 ...
[존듀이] 존듀이의 교육사상 및 시사점 분석 - 시대적 배경, 생이 및 업적, 존듀이의 교육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