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단원의개관
2.단원의목표
3.단원의구조
4.단원학습과제의분석
5.학습지도계획
6.본시교수학습지도안
7.형성평가
2.단원의목표
3.단원의구조
4.단원학습과제의분석
5.학습지도계획
6.본시교수학습지도안
7.형성평가
본문내용
가운데 누가 대장이냐"고 하였다. 그러자 "내가 대장이요."라고 김좌진이 나섰는데 깜찍하게도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전쟁 놀음하기는 어르신네나 우리나 다 마찬가지인데 우리를 깔보지 마시오"
이 말을 들은 의병대장은 호탕하게 웃으면서 " 너희 대장기나 한번 보자. 무엇이라고 썼나" 하고 더 이상 나무라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바. 김좌진 장군
청산리 전투를 승리로 이끈 김좌진 장군은 충남 홍성에서 태어났다. 명문 안동 김씨의 후손으로 그의 큰아버지는 삼일 천하의 주인공인 개화 운동가 김옥균이다. 어려서부터 호탕하고 인정이 많던 김좌진 은 15세가 되던 해에 형이 서울로 떠나면서 집안 일을 맡게 되었다. 그는 집안의 머슴과 종들을 불러 모았다. 그리고 그들 앞에서 노비 문서를 불태웠다.
" 노비 문서를 태웠으니 너희들은 이제 자유다. 그리고 창고에 쌓인 돈과 재물을 골고루 나눠 줄 터이니 가지고 나가서 자유롭고 행복하게 살도록 해라. "
게다가 수많은 논밭을 소작인들이 거저 부쳐먹도록 해 주었다. 쉽게 말하자면 15세의 김좌진은 노비를 해방시키고 토지를 소작인들에게 나눠준 것이다. 그런 뒤에 고향에 학교를 세워 새로운 학문을 가르치다가, 17세 때 서울로 올라가 본격적인 독립운동을 하기 시작했다. 대한 광복단에 가입해서 활동하던 1915년에 군자금 모금 혐의로 체포되어 3년간 감옥살이를 하기도 했다. 백야 김좌진은 1917년에 감옥에서 나와 만주로 망명하여 일본군을 쳐부수는 독립군에서 평생을 다
했다. 청산리 대첩에서 일본군 3천3백여 명을 죽이는 대승리를 거둘 때 독립군은 고작 90명이 부상 당하고 60명이 죽었을 뿐이었다. 이후 김좌진 장군은 대한 민국 임시 정부로부터 여러 직책을 임명받았다. 그러나 모조리 사양하고 오직 독립군을 키우는 일에만 힘을 기울였다. 1930년 1월 24일, 그의 옛 부하 박상실이 찾아왔다. 그는 김좌진 장군을 만나자마자 총을 쏘았고, 장군은 달려온 동지들의 품에 안겨 숨을 거두었다.
부유한 명문대가 출신으로 15세 때 가노(家奴)를 해방할 정도로 진취적 개화사상이 강하였다. 1905년서울에 올라와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였으며, 1907년(융희 1) 고향으로 돌아와서 가산(家産)을 정리하여 호명학교(湖明學校)를 세우고, 대한협회 홍성지부를 조직하는 등 애국계몽운동을 하였다. 다시 서울로 올라와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에 참여하면서 1909년 《한성신보》의 간부를 지냈고, 안창호(安昌浩) 등과 함께 서북학회(西北學會)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서북학회의 산하교육기관인 오성학교(五星學校) 교감을 역임하였으며 청년학우회 설립에도 참여하였다.
1911년 군자금 모금 혐의로 일본경찰에 체포·투옥되어 2년 6개월 간 복역하였고, 1916년 노백린(盧伯麟)·신현대(申鉉大) 등과 함께 광복단에서 활동하였다. 1918년 만주로 망명하여 대종교(大倧敎)에 입교하였으며, 그 해 12월 무오(戊午)독립선언서에 민족지도자 39명 중의 한 사람으로 서명하였다. 19년 대한정의단의 기반 위에 군정부를 조직하여 본거지를 왕칭현[汪淸縣]에 두고 5분단(分團) 70여 개의 지회를 설치한 뒤 광복운동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였다. 이를 대한민국임시정부 휘하의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로 개편한 뒤, 그 기관의 총사령관이 되어 1,600명 규모의 독립군을 훈련시켰다. 이어 사관연성소(士官練成所)를 설치하여 사관훈련과 무기입수에도 힘썼다. 기관총 7문 등으로 무장한 김좌진 휘하의 독립정예군은 만주 일대에서는 가장 막강한 실력의 군대로, 1920년 이후 10여 년 간 본격적인 항일전투를 전개하였다.
1920년 청산리전투를 승리로 이끌어 봉오동전투와 함께 독립전쟁사상 최대의 승리로 꼽는다. 그 후 부대를 이동, 헤이룽강[黑龍江] 부근으로 전진하여 국민회군의 안무(安武), 도독부군의 최진동(崔振東) 등과 연합하고 대한독립군단을 결성, 부총재에 취임하였다. 일본군의 격렬한 보복작전의 전개로 1921년 러시아령 자유시(自由市)로 이동하다가 이듬해 헤이허[黑河]사변으로 타격을 받고 다시 만주로 돌아왔다.
1925년 신민부를 창설하여 군사부위원장 겸 총사령관으로 있으면서 성동사관학교(城東士官學校)를 설립, 부교장으로 독립군간부 양성에도 주력하였다. 1927년 만주의 신민부·참의부·정의부의 3부를 통합하려다 실패하자 민족유일당 재만책진회(在滿策進會)를 조직하고 중앙집행위원장에 취임, 단일단결성을 재촉하였다. 1929년 한족연합회를 결성, 주석에 취임하여 황무지개간, 문화계몽사업, 독립정신 고취와 단결을 호소하였다. 1930년 1월 24일 중동철도선 산시역(山市驛) 부근 정미소에서 고려공산청년회의 김일성(金一星)의 감언이설에 빠진 박상실(朴尙實)의 흉탄에 맞아 순국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8. 형성평가
가. 확인문제
(1) 다음중 만주·연해주 지역을 기반으로 독립군이 성립된이유에 대한 설명이다. O/X로 답하시오
① 만주, 연해주 지방의 많은 우리 동포들
② 학교와 군사학교 등의 구비
③ 만주, 연해주 지방까지 일본군의 영향이 미치지 않았음
④ 국내 탄압으로 인한 국내활동의 어려움
(2) 홍범도 장군이 이끄는 대한 독립군이 일본군을 크게 격파한 전쟁은?
(3) 김좌진 장군이 이끄는 북로 군정서군 등 독립군 연합 부대가 일본군을 크게 격파한 전투로, 독립 전쟁사상 최대의 승리를 거둔 전투는?
(4) 봉오동, 청산리 전투의 가담자를 색출한다는 명목으로 민간인을 학살하여 수많은 양민을 죽인 일본의 만행을 무엇이라 하는가?
나. 심화학습
(1) (가)와 (나) 에 들어갈 말로 해당전투를 이끌었던 장군의 이름을 쓰시오.
(가)
(나)
(2)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에서 우리 군이 승리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일찍부터 많은 한인이 이주하여 만주와 연해주 지역에 무관학교 등을 통해 전쟁 수행의 기반을 다졌다.
② 독립에 대한 군인 정신이 먼저 적의 사기를 압도할 수 있었다.
③ 지형지세를 잘 이용하여 적을 물리칠 수 있었다.
④ 적보다 우수한 화기를 앞세워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⑤ 남녀할 것 없이 모두 전쟁의 승리를 위해 혼연일체로 움직였다.
"전쟁 놀음하기는 어르신네나 우리나 다 마찬가지인데 우리를 깔보지 마시오"
이 말을 들은 의병대장은 호탕하게 웃으면서 " 너희 대장기나 한번 보자. 무엇이라고 썼나" 하고 더 이상 나무라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바. 김좌진 장군
청산리 전투를 승리로 이끈 김좌진 장군은 충남 홍성에서 태어났다. 명문 안동 김씨의 후손으로 그의 큰아버지는 삼일 천하의 주인공인 개화 운동가 김옥균이다. 어려서부터 호탕하고 인정이 많던 김좌진 은 15세가 되던 해에 형이 서울로 떠나면서 집안 일을 맡게 되었다. 그는 집안의 머슴과 종들을 불러 모았다. 그리고 그들 앞에서 노비 문서를 불태웠다.
" 노비 문서를 태웠으니 너희들은 이제 자유다. 그리고 창고에 쌓인 돈과 재물을 골고루 나눠 줄 터이니 가지고 나가서 자유롭고 행복하게 살도록 해라. "
게다가 수많은 논밭을 소작인들이 거저 부쳐먹도록 해 주었다. 쉽게 말하자면 15세의 김좌진은 노비를 해방시키고 토지를 소작인들에게 나눠준 것이다. 그런 뒤에 고향에 학교를 세워 새로운 학문을 가르치다가, 17세 때 서울로 올라가 본격적인 독립운동을 하기 시작했다. 대한 광복단에 가입해서 활동하던 1915년에 군자금 모금 혐의로 체포되어 3년간 감옥살이를 하기도 했다. 백야 김좌진은 1917년에 감옥에서 나와 만주로 망명하여 일본군을 쳐부수는 독립군에서 평생을 다
했다. 청산리 대첩에서 일본군 3천3백여 명을 죽이는 대승리를 거둘 때 독립군은 고작 90명이 부상 당하고 60명이 죽었을 뿐이었다. 이후 김좌진 장군은 대한 민국 임시 정부로부터 여러 직책을 임명받았다. 그러나 모조리 사양하고 오직 독립군을 키우는 일에만 힘을 기울였다. 1930년 1월 24일, 그의 옛 부하 박상실이 찾아왔다. 그는 김좌진 장군을 만나자마자 총을 쏘았고, 장군은 달려온 동지들의 품에 안겨 숨을 거두었다.
부유한 명문대가 출신으로 15세 때 가노(家奴)를 해방할 정도로 진취적 개화사상이 강하였다. 1905년서울에 올라와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였으며, 1907년(융희 1) 고향으로 돌아와서 가산(家産)을 정리하여 호명학교(湖明學校)를 세우고, 대한협회 홍성지부를 조직하는 등 애국계몽운동을 하였다. 다시 서울로 올라와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에 참여하면서 1909년 《한성신보》의 간부를 지냈고, 안창호(安昌浩) 등과 함께 서북학회(西北學會)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서북학회의 산하교육기관인 오성학교(五星學校) 교감을 역임하였으며 청년학우회 설립에도 참여하였다.
1911년 군자금 모금 혐의로 일본경찰에 체포·투옥되어 2년 6개월 간 복역하였고, 1916년 노백린(盧伯麟)·신현대(申鉉大) 등과 함께 광복단에서 활동하였다. 1918년 만주로 망명하여 대종교(大倧敎)에 입교하였으며, 그 해 12월 무오(戊午)독립선언서에 민족지도자 39명 중의 한 사람으로 서명하였다. 19년 대한정의단의 기반 위에 군정부를 조직하여 본거지를 왕칭현[汪淸縣]에 두고 5분단(分團) 70여 개의 지회를 설치한 뒤 광복운동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였다. 이를 대한민국임시정부 휘하의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로 개편한 뒤, 그 기관의 총사령관이 되어 1,600명 규모의 독립군을 훈련시켰다. 이어 사관연성소(士官練成所)를 설치하여 사관훈련과 무기입수에도 힘썼다. 기관총 7문 등으로 무장한 김좌진 휘하의 독립정예군은 만주 일대에서는 가장 막강한 실력의 군대로, 1920년 이후 10여 년 간 본격적인 항일전투를 전개하였다.
1920년 청산리전투를 승리로 이끌어 봉오동전투와 함께 독립전쟁사상 최대의 승리로 꼽는다. 그 후 부대를 이동, 헤이룽강[黑龍江] 부근으로 전진하여 국민회군의 안무(安武), 도독부군의 최진동(崔振東) 등과 연합하고 대한독립군단을 결성, 부총재에 취임하였다. 일본군의 격렬한 보복작전의 전개로 1921년 러시아령 자유시(自由市)로 이동하다가 이듬해 헤이허[黑河]사변으로 타격을 받고 다시 만주로 돌아왔다.
1925년 신민부를 창설하여 군사부위원장 겸 총사령관으로 있으면서 성동사관학교(城東士官學校)를 설립, 부교장으로 독립군간부 양성에도 주력하였다. 1927년 만주의 신민부·참의부·정의부의 3부를 통합하려다 실패하자 민족유일당 재만책진회(在滿策進會)를 조직하고 중앙집행위원장에 취임, 단일단결성을 재촉하였다. 1929년 한족연합회를 결성, 주석에 취임하여 황무지개간, 문화계몽사업, 독립정신 고취와 단결을 호소하였다. 1930년 1월 24일 중동철도선 산시역(山市驛) 부근 정미소에서 고려공산청년회의 김일성(金一星)의 감언이설에 빠진 박상실(朴尙實)의 흉탄에 맞아 순국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8. 형성평가
가. 확인문제
(1) 다음중 만주·연해주 지역을 기반으로 독립군이 성립된이유에 대한 설명이다. O/X로 답하시오
① 만주, 연해주 지방의 많은 우리 동포들
② 학교와 군사학교 등의 구비
③ 만주, 연해주 지방까지 일본군의 영향이 미치지 않았음
④ 국내 탄압으로 인한 국내활동의 어려움
(2) 홍범도 장군이 이끄는 대한 독립군이 일본군을 크게 격파한 전쟁은?
(3) 김좌진 장군이 이끄는 북로 군정서군 등 독립군 연합 부대가 일본군을 크게 격파한 전투로, 독립 전쟁사상 최대의 승리를 거둔 전투는?
(4) 봉오동, 청산리 전투의 가담자를 색출한다는 명목으로 민간인을 학살하여 수많은 양민을 죽인 일본의 만행을 무엇이라 하는가?
나. 심화학습
(1) (가)와 (나) 에 들어갈 말로 해당전투를 이끌었던 장군의 이름을 쓰시오.
(가)
(나)
(2)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에서 우리 군이 승리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일찍부터 많은 한인이 이주하여 만주와 연해주 지역에 무관학교 등을 통해 전쟁 수행의 기반을 다졌다.
② 독립에 대한 군인 정신이 먼저 적의 사기를 압도할 수 있었다.
③ 지형지세를 잘 이용하여 적을 물리칠 수 있었다.
④ 적보다 우수한 화기를 앞세워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⑤ 남녀할 것 없이 모두 전쟁의 승리를 위해 혼연일체로 움직였다.
추천자료
가정발표학습지도안(연구수업지도안)
[ICT]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교수학습의 방향과 유형,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교수학...
특수교육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의의, 특수교육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가능성, ...
학습지도안 - 1학년 1학기 읽기 1. 알고 싶어요-(2)배우는 우리 & 5학년 1학기 문학 1. ...
[사회과 학습 지도안][역사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유럽세계의 형성 학습지도안]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안](우리는 정다운 친구 학습지도안, 수업지도안)
[창의성 계발 학습 지도안](아버지와의 만남 학습지도안)
[고교문법 교수학습지도안] 작문의 실제 학습지도안
[고교문법 교수학습지도안] (말소리 학습지도안)
[고교문법 교수학습지도안] (문학의 즐거움 학습지도안)
[수업지도안] 중3 과학(기상) 교수-학습 계획안 (증발과 응결 학습지도안)
[수학과 수업지도안] 6.비와 비율 학습지도안 | 학습주제 : 비의 뜻을 알고 비로 나타내기
[수학 교수-학습과정안] 물건의 개수 세어보기 학습지도안-수업지도안 (단원명 : 7. 50 까지...
[학습지도안] <읽기 4. 마음을 주고 받아요 (1) 마음을 담아서> 수업지도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