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황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가계․왕위계승 시말

2. 개화당과 수구세력간의 갈등

3. 흥선대원군의 등장과 명성황후 시해사건

4. 아관파천과 대한제국 성립

5. 을사조약 체결과 실권(失權)

본문내용

없었다.
일제가 통감부를 설치하고 조선국정에 전반적으로 간여하여 외교권을 박탈하자, 고종은 마침내 한국문제를 국제정치의 마당에 호소하고자 1907년 6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되는 제2차만국평화회의에 특사 이상설(李相卨:전 의정부참찬)·이준(李儁:전 평리원검사) ·이위종(李瑋鐘:주러조선공사관서기관)을 파견하였다.
한편, 러시아황제 니콜라스 2세에게 친서를 보내어 이들 특사활동에 원조해주기를 청하였다.
그러나 일본과 영국의 방해로 고종의 계획은 수포로 돌아가고 이완용(李完用)·송병준(宋秉畯) 등 일제에 아부하는 친일 매국대신들과 군사력을 동반한 일제의 강요로 한일협약 위배라는 책임을 지고 7월 20일 퇴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고종의 뒤를 이어 순종이 즉위하였으며, 고종은 태황제(太皇帝)가 되었으나 실권이 없는 허위(虛位)였다.
1910년 일제가 대한제국을 무력으로 합방하자 이태왕(李太王)으로 불리다가 1919년 정월에 사망하였다.
이때 고종이 일본인에게 독살당하였다는 풍문이 유포되어 민족의 의분을 자아냈으며, 인산례(因山禮)로 국장이 거행될 때 전국 각지에서 기미독립운동이 일어났다.
능은 홍릉(洪陵:金谷)이며, 저서로는 《주연집 珠淵集》이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11.14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3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