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속의 의상 사회 심리 분석 <동조와 비동조>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면서

동조와 비동조의 정의

사례분석

[광고 1] “두산아파트 위브”

[광고2] “올림푸스 디지털 카메라”

본문내용

속에서 보여지는 모습과는 무척 다르다. 그동안의 디지털 카메라 광고속의 모델들은 최첨단의 기능과 디자인,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사이버 세계에서 나온듯한 의상을 입거나 명품을 주로 입었었다. 왜냐하면 그동안 디지털 카메라의 주요 타겟은 어느 정도 경제 능력이 있는 20대 중반부터였다. 그들에게 어필하기 위해서는 고급스럽고 최첨단의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제 디지털카메라는 사치품이 아닌 생활 필수품처럼 여겨지는 시대가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전지현이라는 최고의 패션아이콘과 누구나 접근하기 쉬운 캐쥬얼 의상을 착용함으로서 구매 타겟을 10대중반으로 낮추었으며 디지털 카메라는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것’ ‘나도 가질 수 있는 것’ 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줌으로써 동조를 하게 만드는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4.11.16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6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