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의학과 한의학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양의학과 한의학에 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의학이란

2. 의학과 한의학의 특성

3. 의학과 한의학의 질병

4. 의학과 한의학의 치료

5. 의학과 한의학의 질환

6. 마치면서..

본문내용

진언론>에서 보면 “무릇 정이라는 것은 신체의 본이다. 따라서 정을 장하는 사람은 봄에도 온병에 걸리지 않는다” 라고 명시하였다. 여기서 장이라는 것은 갈무리 하다라는 뜻으로 정혈과 정기가 인체생명의 근본이기 때문에 정기가 충만하고 사기를 이기는 능력이 있으면 병에 걸리기 않음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인체의 정기는 기, 혈, 정, 진, 액 등을 기초로 삼는다.
정기의 발병 :
한의학의 발병이론은 인체의 정기를 중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 장부의 기능이 정상이고, 기혈이 충만하면서 정기가 왕성하면 병사가 침입하기 어렵다. 즉 사기(邪氣)가 침범하게 되면 정기가 일어나 이에 저항하여 질병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소문-자법론>에서는 “정기가 안에 존재하면, 사가 침입하지 못하므로, 그 독기를 피할 수 있다” 고 하였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한의학적으로 봤을 때는 원래는 사람한테는 병이 없는 것이다. 병이 외부로부터 존재하기보다는 몸 내부에서 병을 만드는 것이다. 그 병은 정기를 소모하고 정신노동을 지나치게 하거나 그 기를 빼앗겼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정기부족이 마치 면역성 질환처럼 질병발생의 인자로서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6. 마치면서..
인간의 생명활동과 병적 상태의 인식에 있어서 서양의학과 한의학 사이의 차이가 있지만, 발병에 있어서는 모두 내인의 근거와 외인의 조건이 서로 상관관계에 있다는 공통점을 볼 수가 있다. 하지만 발병에 영향을 주는 외적요인으로 한의학에서는 기후와 지역, 자연환경과 사회적 환경을 보았지만 서양의학에서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적, 사회적 환경으로 보아 구체적인 내용면에 있어서는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한의학은 자연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한편 서양의학은 자연뿐 아니라 사람과 관계하는 모든 것에 대해 관심을 보였다. 그리고 한의학은 질병이 발생하였을 때 질병으로부터 면역력의 기능저하에 주안점을 주는 반면 서양의학은 질병발생시 외부 발암물질을 중요시 하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지금 서양의학의 발달로 많은 혜택을 보고 있지만, 그 질병의 근원이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여 재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한의학의 기술 또한 필수 불가결하다고 볼 수 있다. 칼로 째고 실로 봉합하고 하는 등의 기술은 이제 그 한계가 보이는 듯 하다. 그것은 눈에 보이는 근시안적인 방법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혈관을 따라 피가 흐르듯이 우리 몸 속에는 기가 흐르는 경락이 존재하고 있다.
영화 ‘스타워즈’ 에서 말하는 내공이 바로 force, 기(氣)이다. 그 기를 통해서 상대방을 제압하고 자신을 방어하는 등 육체적인 힘이 아닌 정신적인 힘으로 수양을 하고 살아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들이 상처를 치유하는데도 force 즉, 기를 불어넣고 몸을 회복시킨다. 한국영화에서가 아닌 미국에서 내놓은 영화에서도 이렇게 기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 중요성은 커지고 있는 것이다.
지금 공부하고 있는 것 또는 이제 배울 것 중에 의료정보, 의료영상, 재활공학 등은 서양의학에 기초를 두고 응용하는 분야들이지만 한의학적 색깔이 가장 짙은 침구 쪽이 더 많은 특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모든 질병을 한의학적으로 해결한다기 보다는 서양의학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에서 질병을 다루는 데 있어 환자를 중심으로 봤을 때 약물투여나 수술 등의 부작용이나 재발의 위험이 있는 경우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방법인 한의학적 방법을 유연성 있게 선택하여 치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전부터 한의학에 관심이 많았지만 이번 학기에 동서의과학개론을 듣고 그 체제에 대해서 나름대로 그 기준이 섰다고 생각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1.18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8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