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서 론
본 론
Jonassen의 구성주의 학습 환경(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설계모형
(가) 문제를 중심으로 한 프로젝트 협동학습
(나) 정보접근
(다) 컴퓨터와 인터넷
(다) 의사소통
구성주의 학습 환경의 실제 적용-사회과 학습의 예
결 론
참고 문헌
서 론
본 론
Jonassen의 구성주의 학습 환경(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설계모형
(가) 문제를 중심으로 한 프로젝트 협동학습
(나) 정보접근
(다) 컴퓨터와 인터넷
(다) 의사소통
구성주의 학습 환경의 실제 적용-사회과 학습의 예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습자의 지적 수준 이상의 과제를 제시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게 된다. 성찰이란 의미 있는 지식을 구성하기 위해서 자신이 학습한 내용에 대해 오류를 발견하거나 기존지식과 새로운 지식을 통합시키면서 자신의 사고와 학습활동을 점검하고 탐색하는 사고 Dewey, 1933; Lucas 1990 / 재인용
참고 문헌
구성주의와 교육공학, Thomas m. Duffy; David H. Jonassen, 최정임 유화영 역, 신호서적
구성주의 이론, 관점, 그리고 실제, Catherine Twomey Fosnot 외 공저, 조부경 김효남 백성혜 김정준 공역, 양서원
구성주의와 교과교육, 김판수 박수자 심성보 유병길 임채성 허승희 황홍섭 공저, 학지사
왜 구성주의인가-정보화시대와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 강인애, 문음사
OECD 교육지표 2002, 교육인적자원부
김동식 (2000) 하이퍼미디어 프로그램의 지식표현과 내용 구저에 대한 새로운 시각. 교육공 학연구, 16(1), 29~45.
이승희, 김동식 (2003)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협력적 성찰이 문제해결 수행 및 과정에 미 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19(1), 131~159
인데 학습자는 주어진 과제에 대하여 조별토의를 통해 각 도읍지의 인문환경, 자연 환경 등의 공통점을 찾으면서 이를 종합하게 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조에서 다루지 못했던 내용이나 잘못 조사된 내용에 대해서 깨닫게 된다. 그리고 교사는 이를 통해 학습자의 지적 수준을 더 끌어 올릴 수 있도록 한 단계 수준 위의 문제를 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키고 동기를 부여하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과제에서는 지금까지 조별로 토의한 과제를 근거로, 통일 후 수도를 어디로 정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정리를 해 볼 수 있도록 한다. 토론 내용의 정리 및 결론을 요구하는 것은 학습자가 자신만의 지식구성을 하게 하는 발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학습자는 문제에 대한 스스로의 입장을 구성하게 되고, 전체적인 학습에서는 우리나라의 옛 도읍지들에 대한 지식들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결 론
지금까지 본 보고서에서는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 모형과 그것의 학습활동에 상응하느 교수활동을 중심으로 사회과 수업의 예를 제시하였다. 이 같은 구성주의 학습 환경을 가능하게 하였던 것은 전적으로 컴퓨터의 발전과 함께 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학습 환경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바로 교사의 역할이다. 학습자의 질문을 유도하여 활용하고 흥미를 촉진 시키며 수업시간에 배운 것을 실생활에 확장시키는 교사의 역할이 없다면 그것은 반쯤은 죽어버린 구성주의이기 때문이다.
본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다른 학습 이론에 비해 구성주의 학습 환경은 구체적인 것들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론에 대한 실행에 있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이제는 구성주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보다 국어과에서 혹은 사회과에서 구성주의 학습환경을 구성하는 방법등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지 않은가 하는 것으로 본 보고서를 마치려 한다
참고 문헌
구성주의와 교육공학, Thomas m. Duffy; David H. Jonassen, 최정임 유화영 역, 신호서적
구성주의 이론, 관점, 그리고 실제, Catherine Twomey Fosnot 외 공저, 조부경 김효남 백성혜 김정준 공역, 양서원
구성주의와 교과교육, 김판수 박수자 심성보 유병길 임채성 허승희 황홍섭 공저, 학지사
왜 구성주의인가-정보화시대와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 강인애, 문음사
OECD 교육지표 2002, 교육인적자원부
김동식 (2000) 하이퍼미디어 프로그램의 지식표현과 내용 구저에 대한 새로운 시각. 교육공 학연구, 16(1), 29~45.
이승희, 김동식 (2003)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협력적 성찰이 문제해결 수행 및 과정에 미 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19(1), 131~159
인데 학습자는 주어진 과제에 대하여 조별토의를 통해 각 도읍지의 인문환경, 자연 환경 등의 공통점을 찾으면서 이를 종합하게 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조에서 다루지 못했던 내용이나 잘못 조사된 내용에 대해서 깨닫게 된다. 그리고 교사는 이를 통해 학습자의 지적 수준을 더 끌어 올릴 수 있도록 한 단계 수준 위의 문제를 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키고 동기를 부여하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과제에서는 지금까지 조별로 토의한 과제를 근거로, 통일 후 수도를 어디로 정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정리를 해 볼 수 있도록 한다. 토론 내용의 정리 및 결론을 요구하는 것은 학습자가 자신만의 지식구성을 하게 하는 발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학습자는 문제에 대한 스스로의 입장을 구성하게 되고, 전체적인 학습에서는 우리나라의 옛 도읍지들에 대한 지식들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결 론
지금까지 본 보고서에서는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 모형과 그것의 학습활동에 상응하느 교수활동을 중심으로 사회과 수업의 예를 제시하였다. 이 같은 구성주의 학습 환경을 가능하게 하였던 것은 전적으로 컴퓨터의 발전과 함께 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학습 환경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바로 교사의 역할이다. 학습자의 질문을 유도하여 활용하고 흥미를 촉진 시키며 수업시간에 배운 것을 실생활에 확장시키는 교사의 역할이 없다면 그것은 반쯤은 죽어버린 구성주의이기 때문이다.
본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다른 학습 이론에 비해 구성주의 학습 환경은 구체적인 것들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론에 대한 실행에 있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이제는 구성주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보다 국어과에서 혹은 사회과에서 구성주의 학습환경을 구성하는 방법등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지 않은가 하는 것으로 본 보고서를 마치려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구성주의][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교육]구성주의의 정의, 구성주의의 중요성, 구성주의의 학...
사회과와 과학과 ICT활용교육자료(학습자료), 수학과와 도덕과 ICT활용교육자료(학습자료), ...
[PBL]웹기반 문제중심학습(PBL)의 정의, 웹기반 문제중심학습(PBL)의 문제, 웹기반 문제중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C형] 사회적 학습이론과 행동주의 이론을 비교하고 이론적 공통점과 상...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특징과 원리 (학습관 및 이론적 가정, 학습이론, 학습원리, 교수설계...
아동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대해 기술하시오 [아동학습]
자기주도적학습 이론과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하여 사이버학습의 가능성을 설명 (자기주도적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C형] 사회적 학습이론과 행동주의 이론을 비교하고 이론적 공통점과 상...
[유아교육개론 E형] 유아교육의 교수-학습원리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육기관의 시설과 환경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C형] 사회적 학습이론의 행동주의적 요소와 차별화 요소에 대하여 설명...
인간행동과사회환경3C)사회적 학습이론의 행동주의적 요소와 차별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
[유아교육개론C]유아교육의 교수-학습원리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육기관의 시설과 환경에 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C형] 사회적 학습이론의 행동주의적 요소와 차별화 요소에 대하여 설명.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C형] 사회적 학습이론의 행동주의적 요소와 차별화 요소에 대하여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