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본의 한국보호권 확립
2. 일본의 한국합병
3. 미국과 일본의 갈등
4. 미국의 달러외교
5. 소결
*참고문헌
*러일전쟁 전후의 동아시아 연표
2. 일본의 한국합병
3. 미국과 일본의 갈등
4. 미국의 달러외교
5. 소결
*참고문헌
*러일전쟁 전후의 동아시아 연표
본문내용
현대 한국탐사』, 역사비평사
박종수. 2001, 『러시아와 한국』, 백의
성황용. 2001, 『근대동양외교사』, 명지사
이희근. 2001, 『한국사 그 끝나지 않은 의문』, 다우
이이화. 1993, 『이야기 인물 한국사 (3편)』, 한길사
하일식. 1998, 『연표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사』, 일빛
한국정치외교사학회. 1993, 『한국외교사 Ⅰ』, 집문당
Peter Duus(김용덕譯). 1983, 『일본근대사』, 지식산업사
小林英夫(임성모譯). 2004, 『滿鐵』, 산처럼
http://goguryeo.history.go.kr/sub2.htm, 「국사편찬위원회」
<러일전쟁 전후 동북아관련 협정과 조약>
1904. 2. 23 한일의정서
1904. 8. 22 제1차한일협약 (외국인용빙협정)
1905. 4. 8∼7. 29 가쓰라 테프트 밀약
1905. 8. 12 제2차 영일동맹(공수동맹)
1905. 9. 5 포츠머스 강화조약
1905. 11. 17 제2차 한일협약(을사보호조약)
1905. 12. 20 통감부 설치
1907. 6 헤이그 밀사사건
1907. 7. 19 고종양위
1907. 7. 24 제3차 한일협약
1907. 7. 31 대한제국 군대해산령
1909. 9. 4 중한도문강변무조약(간도협약)
1910. 8. 22 한일합병조약
1905. 8. 31 해리만의 교섭
1905. 9. 5 포츠머스 강화조약
1905. 10. 12 해리만과 일본의 예비각서교환
1905. 12. 22 만주에 관한 청일조약
1905∼1906 한일인 배척동맹결성 및 활동
1906. 1. 15 일본의 해리만 예비각서 일방적 폐기
1906. 3. 26 일본의 만주폐쇄
1907. 6. 10 일불협정
1907. 7. 30 제1차 일로협정
1907. 11. 16∼1908. 2. 28 신사협정
1908. 10. 18 미국함대 요꼬하마 입항
1908. 11. 30 루트 다까하라 협정
1909. 3 태프트 대통령 취임
1909. 10. 2 금애철도부설차관가계약
1909. 11. 6 만주철도중립화안
1910 만주철도중립화안 무력화
1910. 7. 4 제2차 일로협정
1911. 4. 15 4국차관단 결성
1911. 7. 13 제3차 영일동맹
1911. 12. 1 외몽고혁명
1911. 12. 28 외몽고 독립선언
1912. 2. 12 선통제 퇴위(청조 멸망)
1912. 7. 8 제3차 일로협정
1912. 11. 3 노몽협정
1913. 11. 5 중로조약
박종수. 2001, 『러시아와 한국』, 백의
성황용. 2001, 『근대동양외교사』, 명지사
이희근. 2001, 『한국사 그 끝나지 않은 의문』, 다우
이이화. 1993, 『이야기 인물 한국사 (3편)』, 한길사
하일식. 1998, 『연표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사』, 일빛
한국정치외교사학회. 1993, 『한국외교사 Ⅰ』, 집문당
Peter Duus(김용덕譯). 1983, 『일본근대사』, 지식산업사
小林英夫(임성모譯). 2004, 『滿鐵』, 산처럼
http://goguryeo.history.go.kr/sub2.htm, 「국사편찬위원회」
<러일전쟁 전후 동북아관련 협정과 조약>
1904. 2. 23 한일의정서
1904. 8. 22 제1차한일협약 (외국인용빙협정)
1905. 4. 8∼7. 29 가쓰라 테프트 밀약
1905. 8. 12 제2차 영일동맹(공수동맹)
1905. 9. 5 포츠머스 강화조약
1905. 11. 17 제2차 한일협약(을사보호조약)
1905. 12. 20 통감부 설치
1907. 6 헤이그 밀사사건
1907. 7. 19 고종양위
1907. 7. 24 제3차 한일협약
1907. 7. 31 대한제국 군대해산령
1909. 9. 4 중한도문강변무조약(간도협약)
1910. 8. 22 한일합병조약
1905. 8. 31 해리만의 교섭
1905. 9. 5 포츠머스 강화조약
1905. 10. 12 해리만과 일본의 예비각서교환
1905. 12. 22 만주에 관한 청일조약
1905∼1906 한일인 배척동맹결성 및 활동
1906. 1. 15 일본의 해리만 예비각서 일방적 폐기
1906. 3. 26 일본의 만주폐쇄
1907. 6. 10 일불협정
1907. 7. 30 제1차 일로협정
1907. 11. 16∼1908. 2. 28 신사협정
1908. 10. 18 미국함대 요꼬하마 입항
1908. 11. 30 루트 다까하라 협정
1909. 3 태프트 대통령 취임
1909. 10. 2 금애철도부설차관가계약
1909. 11. 6 만주철도중립화안
1910 만주철도중립화안 무력화
1910. 7. 4 제2차 일로협정
1911. 4. 15 4국차관단 결성
1911. 7. 13 제3차 영일동맹
1911. 12. 1 외몽고혁명
1911. 12. 28 외몽고 독립선언
1912. 2. 12 선통제 퇴위(청조 멸망)
1912. 7. 8 제3차 일로협정
1912. 11. 3 노몽협정
1913. 11. 5 중로조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