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마프레스 생리심리학 연습문제 1,2,3,4장입니다.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그마프레스 생리심리학 연습문제 1,2,3,4장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설 : 유전, 양육, 그리고 행동
제2장 학습과 행동의 연구
제3장 파블로프식 학습 : 원리
제4장 파블로프식 학습 : 활용

본문내용

단원들의 성장 배경에 대해 어떤 예측을 할 수 있겠는가?
KKK 단원들의 성장 환경에는 다른 인종을 싫어하게 만든 조건자극들이 많았을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모가 항상 '빌어먹을 깜둥이들', '역겨운 누랭이들'이라는 말을 사용함으로써 인종을 지칭하는 단어가 혐오적인 정서를 유발시키는 형용사와 결합되어 반복 제시됨으로써 나중에 다른 인종 전체에 대한 비우호적인 태도를 형성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11. 심인성 질병이 환자의 신체 외부에 있는 사상들로 인한 것이라는 말은 어떤 의미에서인가?
심인성 질병(psychosomatic illness)은 경험에 전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원인이 있는 기질적인 장애로 정의되는데, 어떤 알레르기 증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생각해보면 그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어떤 물질이나 그 물질과 함께 짝지워져 경험되어 온 다른 조건자극에 의해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심인성 질병은 신체 외부의 사상이 CS 혹은 US로써 작용하여 일으키는 일종의 UR 혹은 CR로 간주될 수 있다.
12. 심인성 질병이라고 알려진 장애를 가리키는 보다 나은 용어를 고안해 보라.
개인적으로 질병과 관계없는 중성자극이 조건형성의 과정을 거쳐 결과적으로 질병과 유사 혹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착안하여 '조건형성된(conditioned) 사이비 질병'이라고 명명하고 싶다.
13.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이 단순하다고 말하는 것이 왜 오류인가?
앞서 3장에서도 살펴 보았듯이,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은 여러 가지 변인들의 영향을 받아 복잡해질 수가 있다. CS와 US가 짝지어지는 방식 및 횟수, CS-US 간격과 US가 CS에 수반적인 정도, 사용 자극의 특성, 뒤덮기, 차폐, 자극간 시간간격 및 시행간 시간간격 외의 많은 기타 변인들이 복잡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게 되면,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은 단순한 형태에서 매우 복잡한 방식으로 될 수 있다. 또한,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은 많은 다양하고 복잡한 인간 행동 및 정서 등을 해석할 수 있고, 나아가서 그것들을 치료하는 것도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피학대 음란적 성격, 암 환자의 식생활, 면역 반응, 심인성 질병 등 여러 복잡한 현상을 설명하는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을 단순하다고 말하는 것은 명백한 오류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14. Garcia가 맛 혐오 실험에서 사용한 절차는 어떤 것이었는가(흔적, 후향, 지연 혹은 동시 조건절차 중에서)?
Garcia가 가한 처치(CS)는 쥐가 US를 제시받기 전에 실행되었으므로, 흔적 혹은 지연 조건형성이라고 할 수 있다.
15. 사람들이 자주 안 먹는 음식에 대해서 혐오를 형성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은 무엇 때문인가?
이것은 잠재적 억제로 설명될 수 있다. 즉, 혐오가 형성되지 전에 아무런 이상(ex. 체하는 것) 없이 잘 먹었던 음식에 대해서는 맛 혐오가 형성되는 것이 억제되는 것이다. 마치 친한 친구와 친하지 않은 그의 친구와 함께 세 명이 만난다면, 그 날 잘못되는 일(ex. 소나기, 교통법규 위반)의 원인을 친한 친구보다는 친하지 않은 친구에게 돌리는 것과 같다.
16. 자동차를 판매하는 데에는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이 어떻게 사용되는가?
보통 TV의 광고에서는 자동차와 특정한 이미지를 짝짓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EF 소나타는 차가 요철을 지나가는 모습을 Computer Graphic으로 처리하여 자동차의 이름과 주행시의 완벽한 Rolling 제어 기능을 짝지어, 소비자들이 그 자동차의 이름을 들으면 그러한 이미지를 떠올리도록 만든다. 이것은 광고가 방송되는 횟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 효과(습관화)가 크다고 하겠다.
17. Peter와 Albert가 각각 공포를 습득한 방식간에 중대한 차이점이 있다면 무엇인가?
가장 큰 차이점은 Peter가 우연을 통해 공포를 학습한 반면에, Albert는 Watson이라는 심리학자의 의도적인 실험을 통해서 공포를 가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곧, Peter는 생활하던 중에 우연히 짝지워진 CS(ex. 흰 물체)와 US(ex. 위협)로 인해 대상에 대한 비합리적인 공포감을 가지게 되었고, Albert는 실험자에 의해 제시된 CS와 US의 짝으로 인해 공포를 획득하게 된 것이다.
18. 완곡 어법(euphemism)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그것이 사용되는 까닭은?
완곡은 노골적이지 않음을 의미하고, 어법은 발화(發話)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래서 완곡 어법은 어감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데, 어감은 말소리 또는 말투가 가지는 크고, 작고, 세고, 약하고, 곱고, 거칠고 또는 좋고 나쁜 따위의 느낌과 맛을 가리킨다. 따라서 완곡 어법이란, 말을 할 때 단정적이고 노골적인 표현을 피하여 보다 긍정적인 정서 혹은 덜 부정적인 정서를 불러 일으키는 단어나 어구, 표현 등을 사용하여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완곡 어법이 사용되는 이유는 말을 하는(혹은 글을 쓰는) 사람이 받아들이는 사람에게 덜 편향된 정보, 즉 객관적인 검토가 가능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친화적인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라고 생각된다. 모토롤라가 자사의 디지틀 스타텍을 TV에 선전하면서 삽입한 '당신의 날개가 되어드립니다.'라는 문구의 의도도 역시 완곡 어법의 개념에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19. 많은 사람들이 한 번도 직접 접촉한 경험이 없는 특정 집단의 사람들을 증오한다.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이 이와 같은 정서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무의미 철자가 긍정적 혹은 부정적 단어와 짝지어진 후 어떤 정서가를 가지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한 번도 접촉한 경험이 없은 어떤 집단의 사람들에 대해서 과거 그들과 연합되어 제시된 단어 혹은 어떤 문맥에 따라서 그들에 대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정서를 가지게 될 수 있는 것이다.
20. 이 장을 읽고 나서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이라는 용어에 대한 당신의 반응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이 비교적 단순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지금은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의 원리는 비록 단순하다고 할 지라도 그것이 적용되어 쓰이는 분야에 따라 얼마든지 복잡한 것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4.11.20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3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