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래산업의 개황
2. 18년 공무원 생활 끝에 사업에 뛰어든 정문술사장
3. 기술개발의 실패와 성공
4. 창의성을 촉발하는 리더쉽
5. 기술개발과 행동주의 경영으로 세계 일류를 꿈꾼다
2. 18년 공무원 생활 끝에 사업에 뛰어든 정문술사장
3. 기술개발의 실패와 성공
4. 창의성을 촉발하는 리더쉽
5. 기술개발과 행동주의 경영으로 세계 일류를 꿈꾼다
본문내용
.
셋째, 기술개발이 제일의 목표이다. 이윤추구는 부수적이므로 연구개발시 경제성 개념을 버릴 것을 독려하여 연구원의 연구의욕 고취에 주력한다. 연구개발비를 벌기 위해 사업을 한다고 말할 정도로 기술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네째, 개발 실패시에도 책임을 묻지 않고 귀중한 자산으로 인정한다. 연구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실패에 대해 책임을 묻지 않고 오히려 연구진들을 위로한다. 그러면 실패한 연구원은 다음부터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으려고 더욱 노력한다. 개발 실패에 따른 비용을 손비로 생각하지 않고, 이것이 비록 금전적으로는 없어졌어도 어떤 형태로든 무형의 노하우로 축적되어 언젠가는 발휘될 것으로 보기 때문에 이를 자산으로 본다. 이에 대해 그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내가 하도 어려워 죽을려고 생각이 들었을 때 거듭된 실패가 아까워 실패에 들어간 돈, 그 많은 자산을 왜 버리고 죽느냐는 생각에 좌절하지 않고 다시 벌떡 일어설 수 있었다. 실패는 값진 것이다."
5. 기술개발과 행동주의 경영으로 세계 일류를 꿈꾼다
미래산업은 현재 보다 고도화된 첨단기술을 제품화하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 이러한 첨단분야에서는 선진국의 기술이전이 어느 때 보다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선진국 기업들은 사실상 기술이전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미래산업은 갈수록 어려움에 처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정사장은 끊임없는 기술개발만이 살 길이라는 기술력 중시의 경영으로써 앞으로의 난관을 정면돌파하려 하고 있다.
또한 미래산업은 조직의 급성장과 규모확대에 따라 내부관리상의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과거에는 소수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조직을 이끌고 활성화시킬 수 있었으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보다 체계적인 관리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정사장은 경영자가 직접 행동으로 모범을 보이는 행동주의 경영을 강조한다. 그는 아직 손수 운전을 하고 있으며, 월급은 상무와 똑 같이 받고 있다. 자동차 유지비도 회사비용이 아닌 개인비용으로 충당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직접 모범을 보이면 직원들이 따라올 것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직원간 믿음과 신뢰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자신이 스스로 사원들을 철저한 신뢰하고 있다. 그는 정신교육이나 처벌 강압보다는 소극적으로 믿고 기다리는 것이 장기적으로 훨씬 효과적이라고 믿고 있다. 이에 따라 왠만한 잡음이나 비리에도 문책보다는 스스로 시정하도록 기다린다고 한다.
정사장은 이와 같은 기술중시 경영과 행동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미래산업을 세계일류의 반도체 장비업체로 키울 것을 꿈꾸고 있다. 그는 자신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한 의지와 방법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나는 남이 하는 방식으로 따라하지 않는다. 같이 줄을 서서는 이길 자신이 없다. 나같은 사람에게는 차례가 오지 않는다. 미련스럽게 보일 만큼 우직한 방법으로, 正道로 가는 것이 시간은 오래 걸려도 결국 이긴다. 나는 많은 경우 통념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남이 하지 않는 방법으로 승부를 건다."
셋째, 기술개발이 제일의 목표이다. 이윤추구는 부수적이므로 연구개발시 경제성 개념을 버릴 것을 독려하여 연구원의 연구의욕 고취에 주력한다. 연구개발비를 벌기 위해 사업을 한다고 말할 정도로 기술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네째, 개발 실패시에도 책임을 묻지 않고 귀중한 자산으로 인정한다. 연구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실패에 대해 책임을 묻지 않고 오히려 연구진들을 위로한다. 그러면 실패한 연구원은 다음부터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으려고 더욱 노력한다. 개발 실패에 따른 비용을 손비로 생각하지 않고, 이것이 비록 금전적으로는 없어졌어도 어떤 형태로든 무형의 노하우로 축적되어 언젠가는 발휘될 것으로 보기 때문에 이를 자산으로 본다. 이에 대해 그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내가 하도 어려워 죽을려고 생각이 들었을 때 거듭된 실패가 아까워 실패에 들어간 돈, 그 많은 자산을 왜 버리고 죽느냐는 생각에 좌절하지 않고 다시 벌떡 일어설 수 있었다. 실패는 값진 것이다."
5. 기술개발과 행동주의 경영으로 세계 일류를 꿈꾼다
미래산업은 현재 보다 고도화된 첨단기술을 제품화하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 이러한 첨단분야에서는 선진국의 기술이전이 어느 때 보다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선진국 기업들은 사실상 기술이전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미래산업은 갈수록 어려움에 처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정사장은 끊임없는 기술개발만이 살 길이라는 기술력 중시의 경영으로써 앞으로의 난관을 정면돌파하려 하고 있다.
또한 미래산업은 조직의 급성장과 규모확대에 따라 내부관리상의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과거에는 소수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조직을 이끌고 활성화시킬 수 있었으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보다 체계적인 관리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정사장은 경영자가 직접 행동으로 모범을 보이는 행동주의 경영을 강조한다. 그는 아직 손수 운전을 하고 있으며, 월급은 상무와 똑 같이 받고 있다. 자동차 유지비도 회사비용이 아닌 개인비용으로 충당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직접 모범을 보이면 직원들이 따라올 것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직원간 믿음과 신뢰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자신이 스스로 사원들을 철저한 신뢰하고 있다. 그는 정신교육이나 처벌 강압보다는 소극적으로 믿고 기다리는 것이 장기적으로 훨씬 효과적이라고 믿고 있다. 이에 따라 왠만한 잡음이나 비리에도 문책보다는 스스로 시정하도록 기다린다고 한다.
정사장은 이와 같은 기술중시 경영과 행동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미래산업을 세계일류의 반도체 장비업체로 키울 것을 꿈꾸고 있다. 그는 자신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한 의지와 방법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나는 남이 하는 방식으로 따라하지 않는다. 같이 줄을 서서는 이길 자신이 없다. 나같은 사람에게는 차례가 오지 않는다. 미련스럽게 보일 만큼 우직한 방법으로, 正道로 가는 것이 시간은 오래 걸려도 결국 이긴다. 나는 많은 경우 통념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남이 하지 않는 방법으로 승부를 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