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병원의 중국 진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1. 아이캉(�h) 병원 선정의 이유
2. 중국 의료체계의 변화와 현실

Ⅱ. 본론

1. 중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병원
2. 중국 진출의 방식
3. 아이캉(�h) 병원 소개
4. 실패사례 및 분석
5. SWOT 분석
6. 4P 분석

Ⅲ. 결론

본문내용

, 호흡기 내과, 전염병과, 신장내과 및 많은 중국 국내외 전문가를 보유하였다.
총 투자액은 6000만 달러이다. 그 중 베이징시 종합투자공사가 37%의 지분을 보유한 2대 주주이며 캐나다 측은 5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최대 주주이다.
당시는 <중외합자, 합작의료기관 잠정관리법>이 아직 출시되기 전으로서 외국 측이 정책의 한계를 뛰어넘어 지분을 보유함에 따라 중국시장 진출을 원하는 많은 해외 의료그룹에게 선망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이는 분명 중국 측 합작업체인 베이징시 종합투자회사의 독특한 지위와 매우 큰 관련이 있다. 이 업체는 베이징시 정부가 1989년에 투자하여 설립한 업체로서, 시정부의 기초건설기금을 경영. 관리하는 대표적인 대형 국유기업이다. 뿐만 아니라 당시 이 프로젝트는 베이징시 정부가 추진하는 베이징 경제기술개발구의 상징적인 의료 프로젝트로 분류되었다. 이로서 베이징 토론토 국제병원은 심의를 순조롭게 통과할 수 있었던 것이다. 베이징 토론토 국제병원은 1999년 5월 준공됨과 아울러 진료에 들어갔다. 중국과 캐나다 양국의 합작 프로젝트로서 양국 정부는 이 프로젝트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주룽지 총리와 캐나다의 크레티앵 총리가 모두 병원 프로젝트 서명식에 참석하였다. 실력이 뛰어난 이 합자병원의 전망은 자연스럽게 낙관적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안타까운 사실은 그 후 2년간 이 국제병원이 예상처럼 그리 성공하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적자가 심각해지면서 병원은 점차 운영중단상태에 처하게 되었고, 캐나다 전문가들 또한 고국으로 돌아갔다.
최종적으로 토론토 국제병원은 남경의 남경(南大)과학기술원 투자지주회사와 미국Galichina 그룹에 매각되었다. 토론토 국제병원이 실패한 원인은 의료비용과 지리적 위치로 인해 더 많은 환자를 진료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 병원의 의료비용표준은 국제 통용표준의 79%로 규정되었지만 중국 국제 공익성 병원에 비해 너무 높은 수준이었기 때문에 중국 공립병원의 의료비용에 익숙한 중국인의 심리에 부응할 수 없었다. 또 다른 치명적인 문제점은 병원의 지역선정 문제였다. 더욱이 현지화가 없었던 것은 토론토 국제병원이 중국시장에서 실패한 주요원인이다 병원이 상대적으로 비교적 먼 베이징 경제 기술개발구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더 때문에 더 많은 환자들을 흡수하기가 어려웠다.
2>실패사례 분석
중국에 진출하여 실패한 한국과 캐나다의 병원을 알아보았다. 이 두 가지 사례를 보면 공통된 실패원인의 배후에는 사실 합작 쌍방의 중국 의료서비스 시장에 대한 이해부족과 맹목적인 낙관이 존재한다. 외자 측은 외국의 개념과 관리방식을 중국에 이식시키려고 했지만 이것이 실현되기란 쉽지 않다. 분명한 문제점은 바로 토론토 국제병원의 이사장과 사장, 그리고 정순규 MaxWay 치과 동사장 CEO는 중국시장에 경험이 없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직원들 간에 갈등이 생기고 현지화 할 수 없었던 것이다. 외자가 중국 의료서비스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충분한 준비가 필요하여 도움을 받아야하며 심지어는 작은 행정기관과도 우호적 관계를 구축해야한다. 이것이 바로 중국의 특색이다.
5.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중국의 인구억제정책
◇중상류층의 증가
◇한류열풍
◇유학생 증가
◇한국기업의 중국진출
◇ 높은 진료비
◇ 인지도 부족
OPPORTUNITY
THREAT
◇중국의 인구억제정책
◇중상류층의 증가
◇한류열풍
◇유학생 증가
◇한국기업의 중국진출
◇외자병원 중국내 진출
◇중국법규의 차별성
6. 4P 분석
PRODUCT
PLACE
◇치과
◇안과
◇피부과, 성형외과
◇이비인후과
◇북경의 중심상업지구에 위치
◇외국기관 및 국내외 대기업 본사
운집지역
PRICE
PROMOTION
◇중상류층을 대상으로 하는
高의료비용
◇회원제
◇건강기록부
◇골드카드
◇다이아몬드 카드
◇비즈니스카드
◇지역주민에 대한 의료봉사를
통한 이미지 개선
◇한류스타를 활용한 인지도 확충
Ⅲ. 결론
▷ 향후 SK 아이캉(愛康) 발전 방향
① 한류 열풍의 주역을 광고모델로 내세운다.
한류 열풍으로 인하여 한국 연예인에 대한 인지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심지어는 한국 연예인과 똑같이 성형하려는 사람마저 나타나고 있는데, 아이캉 병원이 성형 미용을 중점으로 하여 진출하는 기업인만큼, 이를 중국 진출 사업에 적극 활용한다면 커다란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② 인지도 향상을 위한 의료봉사를 실시한다.
아직도 중국에는 한국의 아이캉 병원을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현재는 상위층을 대상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앞으로 점차 병원의 이용자 범위를 높이기 위해 타 지역에서의 의료봉사를 실시하여 한국 병원에 대한 인지도 상승을 노린 후에 다른 지방도시에도 점차적으로 병원 설립 계획을 추진한다.
③ 주식상장을 통하여 자금을 확보한다.
병원의 주식상장은 아직 우리나라에겐 생소하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이미 시행되고 있다.
의료를 이미 산업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 제도를 실시 중인 싱가폴의 래플즈병원의 경우 병원 투자시 생기는 이자를 증시에서 자금을 조달해서 금전적 부담을 줄이기도 했다
현재 아이캉병원은 중국주식시장에 진출할 준비를 하고 있다. 이는 앞으로 출자를 통해 자본을 끌어와 병원의 의료서비스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현행 국내 의료법은 주식회사형 영리병원을 허용하지 않는다. 돈을 벌어도 병원에 재투자해야만 투자자들이 가져갈 수 있다.
출처 : 둥팡조간
Beijing Business Today
소후넷 (http://sohu.net)뉴스
신화넷 (http://www.xinhuanet.com)뉴스
SK Hospital홈페이지 (http://www.skhospital.com.cn)
시나넷 (www.sina.com)
千龍 (http://www.qianlong.com)
중화공상시보(中華工商時報)
후이충넷(후이충넷의 제약의 공업업무 채널)
카인즈(http://www.kinds.org)
청년의사(http://www.fromdoctor.com)
시노코(http://www.sinoko.co.kr)
CSF(http://csf.kiep.go.kr)

키워드

중국,   sk,   병원,   의료,   아이캉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4.11.24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9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