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기 개념
2. 자기-지각의 기본 원리들
3. 자기 효능감
4. 자기-제시
5. 자기존중감
2. 자기-지각의 기본 원리들
3. 자기 효능감
4. 자기-제시
5. 자기존중감
본문내용
가위로 오려낸 것처럼 다 지난 일이야
후회하지 않는다면 소중하게 간직해
언젠가 웃으며 말할 수 있을 때까지
너를 둘러싼 그 모든 이유가
견딜 수 없이 너무 힘들다해도
너라면 할 수 있을거야 할 수가 있어
그게 바로 너야
굴하지 않는 보석 같은 마음있으니
어려워마 두려워마
아무 것도 아니야 천천히 눈을 감고
다시 생각해 보는거야
세상이 너를 무릎 꿇게 하여도
당당히 니 꿈을 펼쳐 보여줘
너라면 할 수 있을거야
할 수가 있어 그게 바로 너야
굴하지 않는 보석 같은 마음있으니
할 수 있을거야 할 수가 있어
그게 바로 너야
굴하지 않는 보석 같은 마음있으니
굴하지 않는 보석 같은 마음있으
표
자기효능감(self-efficacy)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행위 과정을 조직화하고 실행할 수 있는
자기의 능력에 대한 신념("너라면 할 수 있을꺼야")
-목표 달성 정도는 기술 자체보다는 자기 효능감에 의해 더 많이 좌우됨
1)자기-효능감의 영향
자기효능감은
-개인의 목표에 대한 개입 및 과제 수행
-장애에 직면했을 때 끈기 또는 인내심
-미래 결과에 대한 성공 예상
-부정적 사고에 대한 전환
→심리적 적응에 중요
-시험불안/성폭행공포/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약물중독 치료에 효과적
2)자기-효능감의 개발
(1)통달 경험(Mastery Experience)
-탄력성있는 효능감을 지니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한 경험이 있어야!
(2)대리 경험(Vicarious Experience)
-기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타인을 관찰하는 것
-선택 모델이 그 과제에 유능해야 하며, 당신과 유사하면 더 도움이 됨!
(3)설득과 격려
-주변 사람들의 설득과 격려 역시 수행에 도움이 됨!
-그러나, 항상 효과적이지는 않다(효과 없는 방법 시도는 오히려 부정적 영향!)
→구체적인 방법이나 제안을 포함해야 성공적!
(4)정서적 흥분의 해석
-정서적 흥분과 심리적 반응에 대한 해석
예)시험시간에 손바닥에서 식은땀이 나고 가슴이 두근거림
→두려움(시험을 망칠 가능성) vs 자연스러운 경험
4. 자기-제시
공적 자기(public self)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어떻게 봐주기를 원하는지와 관련됨
-전적으로 자신이 느끼는 대로 행동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에게 제시하고 싶은 바람직한 모습에 따라 어느 정도 꾸며진 행동을 보게됨
-상황이나 상대에 따라 각기 다른 공적 자기를 가질 수 있음
1)인상관리
인상관리(Impression management)
-자신에 대한 타인들의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 시도하는 의식적인 노력
-이유? 주의 깊은 자기-제시를 할 필요성!
(1)환심사기
전략들: 칭찬, 호의베풀기, 동조, 호의적인 자기상 제기 등
cf. 효과적인 칭찬 방법 (p.150)
(2)대리적 영광
반사된 영광 입기(basking in reflected glory)
-거리를 가깝게 하기 위해 "우리"라는 말을 많이 사용
반사된 실패 차단하기(cutting off reflected failure)
-거리를 두기 위해 "그들"이라는 단어 선택
(3)자기 불구화(self-handicapping strategy)
-자신의 실패를 외부적이고 통제 불가능한 원인들에 기안하는 것
→Kelly의 절감원리: 능력에 대한 귀인이 절감됨!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실패를 변명하기 위해
-자존감이 높은 살마들은 긍정적인 이미지를 더욱 고양시키기 위해 사용!
→'승-승'전략일 수 있지만 위험부담이 있는 전략
2)자기-감찰
자기-감찰(self-monitoring)이란?
-자신이 타인에 의해 어떻게 지각되는지를 인식하고
타인에게 주는 인상에 주의를 기울이고 자신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정도
자기-감찰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타인들에게 끼치는 영향에 민감하고
-상황적 단서에 민감하고 상대방에 원하는 것을 해독하는 기술이 뛰어남
-상황적 요구에 부합하는 적절한 행동을 찾아내어 자신의 행동을 조정함
-인상관리 능력이 능하고 다양한 행동 레파토리가 있음
-진짜 감정과 태도보다는 상황적 기대와 더 일치하게 행동
-정서통제를 잘 하고 비언어적 신호들을 신중히 조절
→적극적인 자기 제시 전략을 선호/ 남과의 대화 시작/ 적절한 자기-노출
→현실적인 자세의 사람: 효과적 상호작용/ 이기적인 기회주의자로 낙인?
낮은 자기-감찰자들은
-상황의 요구나 상대방의 반응에 관심을 덜 기울이고
-인상관리 능력도 떨어짐
-내적 감정과 일관되게 행동하도록 동기화되어 있기에 진짜 신념을 더 많이 표현
→자기의 신념을 고수하는 사람/ 비타협적인 사람으로 배척당할 수 있음
5. 자기 존중감
자기 존중감이란?
-한 개인으로서 그가 가지는 가치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긍정적인 자기 개념:
1)자기 존중감의 중요성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①더 많은 정서적 문제를 가지는 경향
(불안, 우울, 긴장, 공격, 분개, 소외감, 불행, 불면증, 정신신체증상 등)
②수줍음
-사회적으로 어색함
-자의식이 강함
-거절에 취약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지만 그것을 성취할 수 있는 시도를 하지 못함
→외톨이가 됨
③기대에 영향을 미침
-자존감의 결여 → 부정적 기대 → 높은 불안/ 노력 포기 → 실패 경험 → 자기 비난
→ 자존감이 더 낮아짐!
2)자기 존중감의 결정요인들
①부모의 영향(p161 자존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녀양육법)
-애정 표현을 많이 함/ 아동의 활동이 관심/ 아이를 인정/
건전하고 일관성있는 훈육/ 어머니 자신의 자존감이 높음
②사회적 비교에 따른 자기 판단: 선택한 준거집단이 중요!
(소의 꼬리보다는 닭의 머리가 낫다)
3)자기 존중감의 결여로 나타나는 행동들
①허풍이나 과장
②헐뜯기
③자기 합리화
④완벽주의
⑤수줍음
⑥자기 평가절하
⑦방어적 순응
⑧외톨이 되기
⑨과잉성취욕구
⑩절대적으로 좋은 사람
ⓐ냉소적 태도
4)자기 존중감의 증진방법
①자기의 모습은 자기가 통제할 수 있음을 인식하라.
②남들을 당신의 기준에 끌어들이지 마라.
③비현실적인 목표를 인식하라.
④부정적인 자기말을 변화시켜라.
⑤자신의 강점이나 장점을 찾고 이를 부각시켜라.
⑥끊임없이 자기 개발을 위해 노력하라
⑦긍정적인 시각으로 타인을 대하라
후회하지 않는다면 소중하게 간직해
언젠가 웃으며 말할 수 있을 때까지
너를 둘러싼 그 모든 이유가
견딜 수 없이 너무 힘들다해도
너라면 할 수 있을거야 할 수가 있어
그게 바로 너야
굴하지 않는 보석 같은 마음있으니
어려워마 두려워마
아무 것도 아니야 천천히 눈을 감고
다시 생각해 보는거야
세상이 너를 무릎 꿇게 하여도
당당히 니 꿈을 펼쳐 보여줘
너라면 할 수 있을거야
할 수가 있어 그게 바로 너야
굴하지 않는 보석 같은 마음있으니
할 수 있을거야 할 수가 있어
그게 바로 너야
굴하지 않는 보석 같은 마음있으니
굴하지 않는 보석 같은 마음있으
표
자기효능감(self-efficacy)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행위 과정을 조직화하고 실행할 수 있는
자기의 능력에 대한 신념("너라면 할 수 있을꺼야")
-목표 달성 정도는 기술 자체보다는 자기 효능감에 의해 더 많이 좌우됨
1)자기-효능감의 영향
자기효능감은
-개인의 목표에 대한 개입 및 과제 수행
-장애에 직면했을 때 끈기 또는 인내심
-미래 결과에 대한 성공 예상
-부정적 사고에 대한 전환
→심리적 적응에 중요
-시험불안/성폭행공포/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약물중독 치료에 효과적
2)자기-효능감의 개발
(1)통달 경험(Mastery Experience)
-탄력성있는 효능감을 지니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한 경험이 있어야!
(2)대리 경험(Vicarious Experience)
-기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타인을 관찰하는 것
-선택 모델이 그 과제에 유능해야 하며, 당신과 유사하면 더 도움이 됨!
(3)설득과 격려
-주변 사람들의 설득과 격려 역시 수행에 도움이 됨!
-그러나, 항상 효과적이지는 않다(효과 없는 방법 시도는 오히려 부정적 영향!)
→구체적인 방법이나 제안을 포함해야 성공적!
(4)정서적 흥분의 해석
-정서적 흥분과 심리적 반응에 대한 해석
예)시험시간에 손바닥에서 식은땀이 나고 가슴이 두근거림
→두려움(시험을 망칠 가능성) vs 자연스러운 경험
4. 자기-제시
공적 자기(public self)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어떻게 봐주기를 원하는지와 관련됨
-전적으로 자신이 느끼는 대로 행동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에게 제시하고 싶은 바람직한 모습에 따라 어느 정도 꾸며진 행동을 보게됨
-상황이나 상대에 따라 각기 다른 공적 자기를 가질 수 있음
1)인상관리
인상관리(Impression management)
-자신에 대한 타인들의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 시도하는 의식적인 노력
-이유? 주의 깊은 자기-제시를 할 필요성!
(1)환심사기
전략들: 칭찬, 호의베풀기, 동조, 호의적인 자기상 제기 등
cf. 효과적인 칭찬 방법 (p.150)
(2)대리적 영광
반사된 영광 입기(basking in reflected glory)
-거리를 가깝게 하기 위해 "우리"라는 말을 많이 사용
반사된 실패 차단하기(cutting off reflected failure)
-거리를 두기 위해 "그들"이라는 단어 선택
(3)자기 불구화(self-handicapping strategy)
-자신의 실패를 외부적이고 통제 불가능한 원인들에 기안하는 것
→Kelly의 절감원리: 능력에 대한 귀인이 절감됨!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실패를 변명하기 위해
-자존감이 높은 살마들은 긍정적인 이미지를 더욱 고양시키기 위해 사용!
→'승-승'전략일 수 있지만 위험부담이 있는 전략
2)자기-감찰
자기-감찰(self-monitoring)이란?
-자신이 타인에 의해 어떻게 지각되는지를 인식하고
타인에게 주는 인상에 주의를 기울이고 자신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정도
자기-감찰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타인들에게 끼치는 영향에 민감하고
-상황적 단서에 민감하고 상대방에 원하는 것을 해독하는 기술이 뛰어남
-상황적 요구에 부합하는 적절한 행동을 찾아내어 자신의 행동을 조정함
-인상관리 능력이 능하고 다양한 행동 레파토리가 있음
-진짜 감정과 태도보다는 상황적 기대와 더 일치하게 행동
-정서통제를 잘 하고 비언어적 신호들을 신중히 조절
→적극적인 자기 제시 전략을 선호/ 남과의 대화 시작/ 적절한 자기-노출
→현실적인 자세의 사람: 효과적 상호작용/ 이기적인 기회주의자로 낙인?
낮은 자기-감찰자들은
-상황의 요구나 상대방의 반응에 관심을 덜 기울이고
-인상관리 능력도 떨어짐
-내적 감정과 일관되게 행동하도록 동기화되어 있기에 진짜 신념을 더 많이 표현
→자기의 신념을 고수하는 사람/ 비타협적인 사람으로 배척당할 수 있음
5. 자기 존중감
자기 존중감이란?
-한 개인으로서 그가 가지는 가치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긍정적인 자기 개념:
1)자기 존중감의 중요성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①더 많은 정서적 문제를 가지는 경향
(불안, 우울, 긴장, 공격, 분개, 소외감, 불행, 불면증, 정신신체증상 등)
②수줍음
-사회적으로 어색함
-자의식이 강함
-거절에 취약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지만 그것을 성취할 수 있는 시도를 하지 못함
→외톨이가 됨
③기대에 영향을 미침
-자존감의 결여 → 부정적 기대 → 높은 불안/ 노력 포기 → 실패 경험 → 자기 비난
→ 자존감이 더 낮아짐!
2)자기 존중감의 결정요인들
①부모의 영향(p161 자존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녀양육법)
-애정 표현을 많이 함/ 아동의 활동이 관심/ 아이를 인정/
건전하고 일관성있는 훈육/ 어머니 자신의 자존감이 높음
②사회적 비교에 따른 자기 판단: 선택한 준거집단이 중요!
(소의 꼬리보다는 닭의 머리가 낫다)
3)자기 존중감의 결여로 나타나는 행동들
①허풍이나 과장
②헐뜯기
③자기 합리화
④완벽주의
⑤수줍음
⑥자기 평가절하
⑦방어적 순응
⑧외톨이 되기
⑨과잉성취욕구
⑩절대적으로 좋은 사람
ⓐ냉소적 태도
4)자기 존중감의 증진방법
①자기의 모습은 자기가 통제할 수 있음을 인식하라.
②남들을 당신의 기준에 끌어들이지 마라.
③비현실적인 목표를 인식하라.
④부정적인 자기말을 변화시켜라.
⑤자신의 강점이나 장점을 찾고 이를 부각시켜라.
⑥끊임없이 자기 개발을 위해 노력하라
⑦긍정적인 시각으로 타인을 대하라
추천자료
자기주도적학습력(능력) 정의, 특징, 기반, 자기주도적학습력(능력)과 독서교육(독서지도), ...
자기주도적학습의 의미, 자기주도적학습의 의의, 자기주도적학습의 특성, 자기주도적학습의 ...
자기주도적학습 개념, 자기주도적학습 조건, 자기주도적학습 특징, 자기주도적학습 원리, 과...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정의,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정보원과 형성과정,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학습력(능력)의 개념, 자기주도적학습력(능력)의 필요성과 실태, 자기주도적학습력...
자기조절학습(SRL)의 의미, 자기조절학습(SRL)의 특성, 자기조절학습(SRL)의 이론, 자기조절...
자기주도적학습 특성과 의의, 자기주도적학습 중요성과 기본조건, 자기주도적학습 정보통신기...
자기주도적학습의 개념, 자기주도적학습의 특성과 필요성, 자기주도적학습의 조건, 자기주도...
자기주도적학습의 개념과 중요성, 자기주도적학습의 원칙과 단계, 자기주도적학습과 창의적재...
자기주도적학습의 의미, 자기주도적학습의 특성, 자기주도적학습의 기본, 자기주도적학습의 ...
자기주도적학습력의 정의, 자기주도적학습력의 특성, 자기주도적학습력의 필요성, 자기주도적...
자기주도적학습의 개념, 자기주도적학습의 의의, 자기주도적학습의 성격, 자기주도적학습의 ...
자기주도적학습의 의미와 특성, 자기주도적학습의 기본원리와 단계, 자기주도적학습과 제7차...
자기주도적학습의 개념, 자기주도적학습의 특성, 자기주도적학습의 원칙, 자기주도적학습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