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개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3장 교육목적론

제 4장 교육과정론

제 5장 교육방법론

제 6장 교육평가론

본문내용

지만 학습은 기술적(가치 중립적)
학습
- 반복과 연습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의 변화
교수
- 개인으로 하여금 특정한 조건하에서 또는 특정한 상황에 대한 반응으로서 특정한 행동을 나타내도록 학습하 게 하거나 또는 그 특정 행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개인을 둘러 싼 환경을 계획적으로 조작하는 과정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자 중심 활동
- 수업은 특정 신분이나 직위를 가진 사람에 의해, 교수는 특정신분을 가지지 않은 부모, 선배에 의해 가능
- 수업의 내용은 국가나 공공기관에 의해서 교육과정으로 정해지지만 교수는 교수자에 의해 정해짐
- 수업은 정해진 특정의 장소에서 이루어지지만 교수는 특정의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음
제 6장 교육평가론
교육평가
교육평가는 일정한 기간의 교육활동에 관한 내용, 방법, 결과 및 이에 관계되는 여러 환경적 요소들의 내용, 작용, 정도를 정확히 탐구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평가는 오늘의 교육을 개선하고 더욱 훌륭한 내인의 교육을 창조하기 위한 반성 자로를 얻으려고 하는 것이다.
제 1절 교육평가의 기능
기능
주요 내용
학습결과의 진단과 치료
학습결과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함으로써 적절한 치로를 통해 수업 효과를 극대화함( 교육목적에 얼마만큼 도달했는가)
수업지도 개선
학습결과가 올바르지 못할 때 그 원인을 분석하여 수업을 개선하는 기능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평가는 적절한 생활지도와 상담활동의 중요한 자료가 됨
학습촉진과 동기유발
학습결과에 대한 정기적 또는 수시 평가는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시키며, 결과의 확인으로 학습의욕이 촉진될 수 있음
교육정치
학생들을 그들이 지닌 능력이나 조건에 알맞게 위치지워주는데 자료로 활용(진학지도, 취업지도)
학교교육의 수준유지
학교와 사회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
환경 및 교사의 평가
교사의 자질을 평가하고 적절한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기능
제 2절 교육평가의 유형
유형
개념
목적
기능 및 특징
진단평가
수업이 시작되기 전에 학습자의 초기상태를 진단
출발점 행동파악
학습중복의 예방
학습의 사전준비
정치를 위한 기능
출발점 행동의 진단
교과목표의 습득수준의 진단
교수전략을 위한 진단
수업장애의 진단
형성평가
학습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어진 교육목표달성을 위하여 정상적으로 진행되는지를 점검해가는 평가활동
학습보조의 개별화
학습곤란의 진단과 교정
학습진전의 효율화
학습행동의 강화
교수-학습방법의 개선
주기전인 평가
학습결함의 교정
교수활동에의 활용
절대평가의 원칙
총괄평가
어떤 단원이나 학습과제 또는 학과목을 모두 끝마친 다음에 하는 평가
다음 학습의 성공예언
교수방법 개선
교수목표의 달성도 측정
학습자의 성적 결정
학습 성공의 예언
교수-학습의 개선
집단간 학습효과의 비교
제 3절 교육평가의 방법
상대평가 :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그가 속해 있는 집단의 결과에 비추어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평가 방법교육목적의 도달 달성도에는 관심이 없음
절대평가 : 학습자가 달성하려고 하는 교육목표의 실제적인 달성도의 평가결과로 표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1.26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53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