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학-마취약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취학-마취약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정맥마취제(Intravenous Anesthetics)
1. 펜토탈(Sodium Thiopental) -> BARBITURATES
2. 벤조디아제핀 유도체(Benzodiazepines)
3. 케타민(Ketamine)
4. 프로포폴(Propofol)
5. 에토미데이트(Etomidate)

Ⅱ. 흡입마취제(Inhalation Anesthetics)
6. 엔풀루란(Enflurane)
7. 아이소풀루란(Isoflurane)
8. 데스풀루란(Desflurane)
9. 세보풀루란(Sevoflurane)

Ⅲ. 국소마취제(Local Anesthetics)
10. 국소마취제(Local Anesthetics)
11. 침윤마취시 국소마취제의 상용양
12. 척추마취시 국소마취제의 상용양
13. 경막외마취시 국소마취제의 상용양

Ⅳ. 근육이완제(Muscle Relaxants)
14. 썩씨닐콜린(Succinylcholine)
15. 판크로니움(Pancuronium)
16. 베크로니움(Vecuronium)
17. 아트라쿠리움(Atracurium)
18. 피페쿠로니움(Pipecuronium)
19. 로쿠로니움(Rocuronium)

본문내용

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그 속도에 대한 환자간 개체차가 많0| 나타난다. 환자의 상태를 최적으로 통제하기 위해서 신경근전달을 모니터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현재까지 최장 7일 간 투여한 예가 조사된 바 있으며 소아 및 노인 환자에게 인공호흡을 돕기 위해서 사용시 권장 용량에 대한 데이터는 아직 없다.
사용상 주의사항
1. 경고
1) 이 약은 약물의 작용과 그 사용으로 인한 합병증을 잘 알고 있는 숙련된 임상의사에 의해서 또는 그 지시하에 적정용량이 조심스럽게 투여되어야 한다. 삽관촉진이 아니거나, 인공호흡 산소요법이 용이하지 않으며 길항제가 즉시 유효하지 않을 때는 투여되어서는 안된다. 이 약과 같은 신경근차단제를 투여하는 임상의사는 약물의 반응, 이완제의 추가투여 필요성, 자발회복 또는 충분한 역전을 모니터하기 위해서 말초신경자극기의 사용이 추천된다.
2) 이 약은 의식, 통증역치, 또는 뇌작용에 대한 효과가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적절한 마취 또는 진정상태에서 투여되어야 한다.
3) 중증근무력증, 근무력(Eaton-Lambert)증후군 환자는 소량의 비탈분극성 신경근차단제에도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말초신경자극기 그리고 소량의 실험용량을 통해서 근육이완제 투여에 대한 반응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4) 산성 pH인 이 약은 같은 주사기 내에 염기성 용액(예, 바비튜레이트 용액)과 혼합되어서는 안되며 같은 주사바늘을 통한 정맥내 주입을 해서도 안된다.
2. 로쿠로니움이나 브롬이온에 아나필락시스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상호작용
1. 석시닐콜린
석시닐콜린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 석시닐콜린 투여 전에 이 약을 투여하는것은 아직 연구되지 않았다. 석시닐콜린 투여 후에 이 약을 투여할 경우에는 석시닐콜린으로부터 회복이 관찰되기까지 이 약을 투여해서는 안된니다. 석시닐콜린 1 mg/kg 투여후 T1이 대조군의 75%로 되돌아 왔을 때 투여 된 이 약 0.6 mg/kg의 정중 작용지속은 38분(14~57분, n=12)이었으며 석시닐롤린이 없는 경우에는 28분(17-51분, n=12)이었다. 다른 비탈분극성 근육이완제가 연속투여되었을 때는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2. 흡입마휘제
흡입마취제는 엔플루란〉아이소플루란〉 할로탄의 순서로 다른 신경근차단제의 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이소플루란과 엔플루란은 이 약의 초기 유지용량의 작용지속시간도 연장시킬 수 있으며 opioid/nitrous oxide/oxygen 마취와 비교해서 이 약의 평균주입요구량을 40% 정도 감소시킨다.
3. 정맥마취제
마취를 유도 ·유지하기 위한 프로포폴 투여는 이 약의 추천용량에 의한 임상지속 또는 회복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4. 항경련제(anticonvu|sants)
장기간동안 항경련제를 투여받은 환자 4명중 2명에서 신경근차단 감소 또는 임상지속 감소의 형태로 이 약의 효과에 대한 내성이 관찰되었다. 다른 비탈분극성 신경근차단제와 마찬가지로 카바마제핀 또는 페니토인과 같은 항경련제를 만성적으로 투여받고 있는 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한다면 비탈분극성 근육이완제에 대한 내성으로 인하여 신경근차단 지속이 감소될 수 있으며 주입속도는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내성에 관한 메카니즘이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수용체의 상승조절적용 때문일 수도 있다.
5. 항생제
이 약과 같은 비탈분극성 약물의 신경근차단작용을 상승시킬 수 있는 약물에 항생제(예;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반코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계, 바시트라신, 폴리믹신, 콜리스틴, 소디움 콜리스티메테이트)가 포함된다. 이 약을 이러한 약물들과 같이 투여할 때 신경근차단작용이 연장될 수 있다.
6. 기타
다른 근육이완제 투여로부터 회복되는 동안 퀴니딘을 주사했을 때 재발성 마비가 나타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으며 이 약 투여 후에도 이러한 중상이 나타날 수 있다. 다음의 약물들은 비탈분극성 신경근차단제의 작용지속시간 및/또는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 증가효과
(1) 마취제
- 할로탄, 엔플루란, 아이소플루란
- 고용량의 치오펜탈, 케타민, 펜타닐, 애토미데이트 및 프로포폴
(2) 다른 비탈분극성 근육이완제
(3) 기타 약물
- 항생제: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및 폴리펩티드계 항생제, 아실아미노 페니실린계항생제, 고용량의 메트로니다졸
- 이뇨제, 베타-아드레노수용체 차단제, 치아민, MAO엑제제, 퀴니딘, 프로타민, 알파-아드레노수용체 차단제, 마그네슘염
2) 감소효과
- 네오스티그민, 에드로포늄, 피리도스티그민, 아미노피리딘 유도체
- 코르티코이드의 만성적 전투여, 페니토인 또는 카바마제핀
- 노르아드레날린, 치오필린, 염화칼슘
사용상 주의할 점
1. 이 약은 다음 용액과 배합할 수 있다.
- 0. 9% NaCl
- Dextrose
- 5% dextrose in saline
- 주사용 멸균수
- Lactated Ringers
2. 다음 약물을 함유하는 용액에 이 약의 추가시 물리적으로 배합금기임이 확인되었다.
암포테리신 아목시실린, 세파졸린, 클록사실린, 덱사메타손, 디아제땀, 에리스로마이신, 파모티딘, 프루쎄미드, 하이드로코티손 소디움 석시네이트, 인슐린, 메토핵시톤, 메칠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솔론 소디움 석시네이트, 치오펜, 반코마이신, 인트라 리피드
3. 이 약은 다음 정주용 약물의 주입 용액을 정주하는 line에 함께 주사할 수 있다.
아드레날린, 알펜타닐, 아미노필린, 아트라쿠리움, 아트로핀, 시메티딘, 클로니딘, 도부타민, 도파민, 에페드린, 펜타닐, 겐타마이신, 헤파린, 케타민, 리도카인, 만니톨 20%, 미다졸람, 모르핀, 니페디핀, 니모디핀, 니트로글리셰린, 노르아드레날린, 옥시토신, 판쿠로니움, 페티딘, 피페쿠로니움, 염화칼륨, 프로메타진, 프로포플, 라니티딘, 살부타몰, 탄산나트룸, 니트로프루사이드, 수펜타닐, 석사메타니움, 베쿠로니움, 베라파밀, 겔로플라즈마, 탈라모날
저장상 주의할 점
차광하여 2-8 에 저장하며 8-30 에 보관할 때는 12주 동안 사용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대한마취과학회 편저. 마취과학 제 3판, 1994
http://nopain365.com/cl.html
  • 가격2,8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4.11.30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60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